't'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66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GC셀이 세포치료제 연구개발 및 임상 부문 강화에 나선다. GC셀(대표: 박대우)은 최고기술책임자(CTO)로 김호원 전 K2B 테라퓨틱스 CSO(Chief Scientific Officer)를 영입했다고 9일 밝혔다. 김호원 신임 CTO는 서울대학교 약대를 졸업, 같은 대학에서 석사(면역학)를 마치고 미국 UCLA의대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템전트(Stemgent), 오리진(ORIG3N), 스템셀 테크놀로지(STEMCELL Technologies) 등 글로벌 바이오텍에서 세포치료 연구를 주도했다. 최근까지 미국 보스턴에 소재한 바이오텍 회사인 K2B Therapeutics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과학연구책임자(CSO)로 항암제 개발을 주도했다. GC셀 관계자는 “김 신임 CTO는 mRNA의 세포 리프로그래밍, 세포 분화, 만능줄기세포 등 세포치료제 개발 및 기획 경험이 풍부해 향후 NK, T 등 면역세포치료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의 새로운 이정표를 써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 2022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은 의약품이 총 141개로 확인된 가운데 전문의약품의 비중은 전체의 약 73%인 103개로 확인됐다. 일반의약품은 38품목을 허가받았다. 전문의약품 중에서는 희귀의약품 1품목을 포함해 신약 4개가 허가를 받았다. 또 자료제출의약품이 75개였으며 기타 품목이 23개로 확인됐다. 12월 중 유일하게 희귀의약품으로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한 제품은 한국다케다제약의 ‘리브텐시티정200mg(성분명 마리바비르)’다. 리브텐시티는 이식 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제다. 거대세포바이러스는 감염 후 무증상 잠복상태로 있지만 장기이식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될 경우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서 심각한 질환을 유발한다. 리브텐시티는 거대세포바이러스에서 복제와 증식에 관여하는 UL97 단백질 인산화 효소의 활성을 낮춰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 미국 FDA의 리브텐시티 시판허가의 근거가 됐던 임상3상 ‘TAK-620-303(SOLSTICE)’에 의하면 리브텐시티 치료군의 8주차 CMV DNA 수치 최저정량한계 미만 도달 비율은 56%였던 반면, 기존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은 환자군 24%에 그쳤다. 신약 부문에서는 국내 제약
GC셀(대표 박대우)은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 Inc., 이하 아티바)와 T세포 림프종 치료제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AB-205’는 T세포 림프종에서 발현하는 CD5를 타깃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를 장착한 동종 제대혈 유래 NK세포치료제다. 현재 T세포 림프종은 항암화학요법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옵션이 거의 없고 미충족 의료수요가 매우 큰 질환이다. CAR-T 세포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배양 및 제조상의 어려움으로 이를 극복할 신규 모달리티로 Off-The-Shelf(기성품)형태의 CAR-NK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GC셀의 독자적인 CAR-NK플랫폼 기술로 개발중인 CD5 타깃 CAR-NK치료제는 CAR-T치료제 대비 비임상시험에서 부작용 감소와 뛰어난 효과를 확인해, T세포 림프종에 대한 혁신신약(first-in-class)으로 기대된다. GC셀은 아티바와 협력해 국내 및 FDA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임상 1상을 주도하게 되며, 이후 아티바와 GC셀은 각각 북미 및 아시아 시장에서 임상 2상을 진행해 공동개발한
진원생명과학은 “자체 개발 흡인작용 피내 접종기 진덤(GeneDerm)을 이용한 코로나19 DNA 백신(GLS-5310)의 안전성 및 면역원성에 대한 임상1상 결과를 국제감염병학회 (International Society for Infectious Diseases, ISID) 학술지인 국제감염질환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21년 인용지수: 12.074)에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해당 1상 연구(NCT04673149)는 용량과 접종 간격에 따라 각 15명씩 총 3개의 군으로 설계됐으며, 1a군의 경우 0 주와 8 주차에 GLS-5310 을 0.6mg을 투여했고, 1b군의 경우 0 주와 8 주차에 1.2mg을, 1c군의 경우 0 주와 12 주차에 1.2mg을 투여한 후 48주간 추적 관찰했다. 회사측은 “임상1상 결과, GLS-5310의 내약성이 우수하고, 백신과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으며, 높은 수준의 항체 및 T세포 반응을 유도하며 그 효과가 1년간 지속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하고, “백신 접종 4주 후 항체 생성율은 95.5%로 48주 동안 지속됐고, 중화항체 생성율은 55.5%였
(베이징 2023년 1월 3일 PRNewswire=모던뉴스) 의료 전문가부터 택배기사까지, 지역사회 사업가부터 이웃 주민까지, 중국의 보통 사람들이 최근의 코로나19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한편,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작년 12월 3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3년 신년사[https://news.cgtn.com/news/2022-12-31/Full-text-Chinese-President-Xi-Jinping-s-2023-New-Year-Address-1gdrXcZKGly/index.html ]에서 "중국은 비범한 노력을 통해 팬데믹과의 싸움에서 전례 없는 어려움과 도전을 극복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료들과 일반 대중, 특히 의료 전문가와 지역사회 사업가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본인의 자리를 용감하게 지켰다고 전했다.
항뇌전증제와 진정제, 수면제 및 항파킨슨제 등이 ‘자살·위해 물건’으로 지정된다. 보건복지부는 약물 중독으로 인한 자살사망이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해 ‘자살·위해 물건 고시’를 개정해 3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항뇌전증제 ▲진정제 ▲수면제 및 항파킨슨제에 의한 중독효과를 유발하는 물질을 이용한 자살사망자가 2019년 118명 → 2020년 143명 → 2021년 171명 순으로, 자살 시도 건수도 2018년 2989명 → 2019년 3425명 → 2020년 3379명 순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해당 물질이 온라인상 ‘자살약’으로 불리며 빈번하게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자살수단이 온라인상으로 불법적으로 유통·판매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물중독으로 인한 자살사망자 수를 줄이고자 이번 개정을 통해 항뇌전증제, 진정제, 수면제 및 항파킨슨제에 의한 중독효과(T42)를 유발하는 물질이 자살·위해 물건으로 추가 지정했다. ‘자살·위해 물건 고시’로 지정된 물질을 자살 유발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으로 유통한 사람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의 형사처벌이 가능하며, 온라인으로 자살·위해 물건을 구매·구매의사를 표현하는 등 자살 실
*부사장(1명)△중앙연구소 이우영 *이사(1명)△생산지원부 이웅주 *이사대우(2명)△서울사업부 신성학 △영남사업부 남성진 *부장(4명)△총무부 오기복 △강동지점 정승용 △전주지점 홍진의 △신사업팀 나종천 *부장대우(1명)△공무팀 고정규*차장(5명)△경기2지점 조훈희 △부산지점 박성호 △부산지점 이철희 △대전지점 권태균 △홍보디자인팀 유재웅 *차장대우(9명)△총무부 최상원 △Pilot팀 이순호 △강남지점 김철 △인천지점 유의영 △대구지점 신정현 △대구지점 박천경 △경남지점 송동국 △Medical D.T. 정효훈 △공장관리팀 이지영 *과장(9명)△강서지점 홍정우 △부산지점 허준원 △대전지점 천성현 △전주지점 최희돈 △안전팀 배용진 △시험분석팀 지영삼 △시험분석팀 김기쁨 △품질보증팀 김서경 △DI팀 김형민 *대리(11명)△구매팀 고아영 △융합기술2팀 장우진 △패치1팀 이원주 △영업지원팀 정한경 △강동지점 신명재 △인천지점 서정인 △물류팀 이광용 △설비팀 최윤호 △생산지원팀 이세진 △생산1팀 김세영 △시험분석팀 장한 *주임(11명)△환경사업팀 윤광운 △Pilot팀 김윤서 △강남지점 신필규 △부산지점 허진용 △대전지점 윤진용 △마케팅팀 최지희 △물류팀 이수환 △생산2
사랑하는 서울성모병원 교직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2023년 계묘년(癸卯年) ‘검은 토끼의 해’ 희망찬 새 아침이 밝았습니다. 지난 해 우리 병원은 기나긴 코로나19 팬데믹과 위드 코로나, 불확실성의 긴 터널 속에서 쉽지 않는 과정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 모두의 헌신과 노력으로 위기와 난제를 지혜롭게 극복하며 어느 해 보다 뛰어난 값진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국제 표준의 안전한 진료시스템의 구축, 글로벌 병원으로의 위상을 다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 끝에 탁월한 성적으로 다섯 번 연속 JCI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복지부의 의료질 평가 전 부문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였을 뿐 아니라 7년 연속 한국서비스품질지수 상급종합병원 부문 1위를 달성하였습니다. 또, 미국 뉴스위크에 암 등 8개 임상분야가 월드 베스트 병원으로 선정되었고, 심평원 적정성 평가 1등급 획득 등 국민 보건과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기관으로서 맡은 의무를 다한 한 해였습니다. 임상적으로는 국내 최고령 조혈모세포이식 성공, 최첨단 ‘CAR-T’ 세포면역 치료 성공과 본격화로 세계최고 수준 의료기관의 위상을 확고히 하였습니다. 또한 국내 최단 시간으로 다빈치 로봇수술 1만례를 달성해 글로벌 로
2022년 중 임상 3상 이상을 승인받은 건수가 4분기 들어 가장 많았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올해 출시를 기대할만한 제품들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공하는 의약품안전나라 서비스를 통해 4분기 제약바이오사가 허가받은 임상시험 건수가 216건으로 확인되면서 2022년 총 870건의 임상시험이 승인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3상 이상 단계에서 승인된 임상시험이 총 55건으로, 2022년 중 가장 많은 건수가 허가됐다. 먼저 1상 이상 2상 미만 단계에서는 120건이 승인됐는데 주로 다국적 제약사 대비 국내 제약사가 선전하고 있었다. 이 단계에서 가장 많이 승인받은 제약사는 4건을 허가받는데 성공했는데, 경보제약, 동구바이오제약, 동아에스티, 삼아제약, 영진약품 등이 이에 해당된다. 경보제약은 경보리나글립틴메트포르민에 대한 서방정 임상시험 2건, 속방정 임상시험 1건 그리고 경보리나글립틴정 임상시험 1건에 대해 승인받았으며 동구바이오제약은 DKB21003 임상시험 2건, DKB2206-T, DKB2207-T 임상시험에 대해 승인받았다. 동아에스티는 당뇨약인 슈가메트서방정에 대해 각각 5/1000mg 용량 임상시험 2건과 2.5/500mg 용
--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치료를 위한 새로운 GLP-1 RA (중국 상하이 및 항저우 2022년 12월 27일 PRNewswire=모던뉴스) 인공 지능(AI) 기반의 신약 개발 기업 MindRank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MDR-001의 임상시험계획(Investigational New Drug, IND)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MDR-001은 비만과 제2형 당뇨병(T2DM)을 치료하는 경구용 저분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수용체 작용제(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 GLP-1 RA)다. MindRank는 2023년 1분기에 1상 안전성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Mindrank는 독자적인 AI 신약 개발 플랫폼인 Molecule Pro(TM)를 기반으로 MDR-001 프로그램을 시작한 지 19개월 만에 IND 승인을 받았다. Mindrank는 100건 미만의 화합물을 합성 및 시험한 끝에 이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정동진 교수가 지난 20일에 열린 2022 대한 ITA 영상의학회 학술상 시상식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정 교수는 ‘신장암(신세포암)에서 고주파열치료술과 복강경 신장 절제술의 치료효과 비교 분석:Radiofrequency ablation using real-time ultrasonography–computed tomography fusion imaging improves treatment outcomes for T1a renal cell carcinoma: Comparison with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라는 제목으로 본 상을 수상했다. 본 논문은 신장암(신세포암) 치료시 고주파열치료술의 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실시간 초음파-CT 융합영상을 적용한 고주파열치료술로 재원기간, 신장기능, 합병증, 5년 무병 생존율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했다. 정 교수는 “초음파-CT 융합영상을 이용한 고주파열치료술은 정확한 종양 확인과 정교한 선택적 종양 치료에 효과적”이라면서 “향후 신장암 환자의 예후 개선과 고주파 열치료 효과를 높이는 연구에 매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이슈부터 의약갈등까지 격동의 한 해를 기록했던 2022년이 어느새 끝을 바라보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에서는 국산 백신이 탄생해 우리나라도 백신주권을 가질 수 있게 됐으며 이와 함께 진단키트에 대한 수요도 잠시 급증했었다. 코로나19 문제와 함께 대두됐던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약제는 올해도 여전히 품귀 현상을 빚어냈다. 국정감사가 쏘아올린 성분명 처방 논쟁은 결국 의약계의 갈등 심화와 고소전으로 치달았지만, 1회 투여로 상당히 좋은 예후를 보여 꿈의 치료제라 불리던 고가약들의 급여 적용 성공 소식은 간절하게 소식을 기다렸던 환우와 부모들에게 희망을 선물했다. 메디포뉴스는 2022년 제약계에서 꼭 기억해야 할 이슈 10가지를 정리했다. ◆국산 코로나19 백신, 탄생은 했지만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간지 약 2년 반만인 지난 6월 말,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내 최초로 국산 코로나19 백신인 스카이코비원’에 대해 품목허가를 획득하면서 드디어 우리나라도 코로나19 백신 개발국에 합류하게 됐다. 스카이코비원은 글로벌 임상 3상에서 만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회 접종했을 때, 중화항체가 접종 전 대비 약 33배로 대조군 대비 3배 높았게 나타났으며, 항체
장의 CD4 T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조절을 통한 염증성 장 질환 개선 기전이 규명됐다. 경북대학교병원은 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이인규 교수, 소화기내과 김은수 교수(이상 교신저자), 경북대학교 대사질환 및 노화연구소 이호열 박사, 칠곡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전재한 교수(이상 1 저자)가 이 같은 기전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소기관으로서, 노화, 암, 당뇨병, 비만, 각종 염증성 질환에서 그 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나아제4(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4; PDK4)라는 미토콘드리아 효소가 염증성 장 질환 환자의 조직에서 증가하는 것에 착안, 키나아제4를 염증성 장 질환 생쥐 모델에서 저해하였고, 염증성 장 질환이 개선됨을 확인했다. 특히 CD4 T 세포에서 키나아제4를 결핍시켰을 때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회복되면서, 염증성 T 세포인 Th17 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고, 염증을 개선하는 Treg 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됨을 규명했다. 또 연구팀은 키나아제4가 CD4 T 세포 내에서 세포소기관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사이의 막
큐로셀(대표 김건수)은 입셀(대표 주지현)과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유래 CAR(Chimeric Antigen Receptor)-NK(Natural Killer cell) 제조 및 효력 검증을 위한 협력 관계 구축 업무 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월 20일(현지 시각) 발표했다. 이번 업무 협약식은 큐로셀 김건수 대표, 입셀 주지현 대표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 사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CAR-NK 세포의 분화, 효력 평가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가며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또 이날 오후 4시부터 업무 협약식 진행에 앞서 양 사 연구 개발 인력이 함께해 큐로셀의 CAR-T 세포치료제 연구와 입셀의 iPSC 유래 NK 세포 연구에 대한 테마로 공동 워크숍이 개최됐다. 양 사의 실제 공동 연구에 필요한 연구 내용 공유와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양 사의 그동안 연구 경험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주지현 대표는 “이번 업무 협약식을 통해 자사가 보유한 iPSC 기술 및 NK 세포 분화 기술과 국내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얼바인, 캘리포니아주, 2022년 12월 22일 /PRNewswire/ -- 암과 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임상 단계 생물 공학 회사인 페프로민 바이오(PeproMene Bio, Inc.)는 오늘 PMB-CT01(BAFFR-CAR T세포)의 1상 재발 또는 난치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r/r B-NHL) 임상 시험에서 치료를 받은 첫 피험자가 치료 후 1개월 만에 완전 관해에 도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임상 실험은 미국 내 가장 큰 규모의 암 연구 및 치료 조직 중 하나인 시티 오브 호프(City of Hope)에서 진행 중입니다. 치료 중 첫 번째 달 동안, 환자는 완전히 회복된 1등급의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DRS")을 포함한 낮은 등급의 치료 응급 독성만을 경험했을 뿐 면역세포연관 신경독성증후군("ICANS")은 경험하지 않았습니다. "이 외투세포림프종 환자는 화학 면역 요법, BTK 억제제, 베네토 클락스 정제 및 CD19-CAR T 치료를 포함해 이전의 몇 가지 치료법으로는 치료되지 않았습니다. 최소한의 잔류 질병이 음성인, 극도로
학교법인 인제학원이 2023년 1월 1일 자로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이연재 원장을 연임 발령했다. 이연재 원장은 소화기내과 전문의로, 1987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제대 대학원에서 의학석사, 고신대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부산백병원에 부임해 25년 동안 인제대 의과대학 연구담당 부학장, 인제대 의무산학협력부단장, 부산백병원 인당생명의학연구원장, 연구부원장, 진료부원장 등 대학과 병원의 주요 보직을 역임했으며, 2019년부터 부산백병원 원장을 맡고 있다. 이어서 양재욱 진료부원장과 신정환 연구부원장이 각각 신임·연임됐다. 먼저 양재욱 진료부원장은 안과 전문의로, 1994년 인제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학석사, 고신대 대학원에서 의학박사를 받았다. 이어 2002년부터 부산백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한 양재욱 진료부원장은 의료기기 임상시험센터장, 안신생혈관질환특성화연구센터장,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 센터장, 안과질환T2B기반구축센터장, 연구중심병원 육성R&D센터장, 교육수련부장, 기획실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백중앙의료원 부산지역 통합 기획실장을 맡고 있다. 연임한 신정환 연구부원장은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 199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최종영 교수,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팀이 최근 개최된 2022년 대한이식학회 제52차 추계국제학술대회(Asian Transplantation Week 2022)에서 최우수 구연상 및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최종영 교수(교신저자)·이순규 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Ide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functional microbiomes affecting immune homeostasis in long-term stable and tolerant patient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주제로 발표해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간이식 환자의 장내균총과 면역세포를 분석해 페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장내 유익균)을 포함한 기능성 장내균총의 감소와 불안정한 면역상태가 연관돼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간이식 환자 중 면역억제제를 중단하고도 면역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면역관용 환자들과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간이식 환자와 비교했을 때, 면역관용환자군은 페칼리박테리움과 조절 T세포가 회복되어 간이식 환자에서 기능성 장내균총과
멀츠 에스테틱스(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가 지난 10일 서울웨이브 아트센터에서 국내 에스테틱 의료 전문가와 함께 하는 ‘MASJ(MERZ AESTHETICS SERENDIPITY JOURNEYTM)’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MASJ 심포지엄은 멀츠와 국내 의료 전문가들이 한국의 에스테틱 소비자의 아름다움을 찾는 여정을 함께 하면서, 에스테틱이 전하는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고 건강한 미용의료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피부미용 분야 의료 전문가의 학술 교류의 장인 동시에, 멀츠의 사회공헌활동인 ‘뷰티플 프라미스(Beautiful Promise)’ 캠페인의 취지를 다시 한번 환기하고 ‘나 다운 아름다움’의 가치를 전하는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는 의료 전문가에게 감사의 마음을 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뷰티플 프라미스’ 캠페인은 획일된 미와 패스트 뷰티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경도되지 않고 ‘가장 나 다운 아름다움’을 찾아가며 내면의 자신감을 얻고, 이로 인해 건강한 에스테틱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됐다. 멀츠는 이 캠페인을 통해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과 안전하고 건강한
혁신적인 역동적 목 안정 기술 내재 생체 공학적으로 테스트 된 목 보호 셔츠는 나이나 기술 역량에 관계없이 모든 운동선수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모든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온타리오주 워털루, 2022년 12월 16일 /PRNewswire/ -- Kapsul Tech Corp.는 오늘 선수들의 목을 지지하도록 디자인된 보호 옷깃이 달린 가볍고 신축성 있는 셔츠인 Kapsul ATLAS를 발표했다. Kapsul ATLAS는 목 생체 역학에 대한 업계 최고의 연구를 기반으로 구축된 기술로 몸통과 머리 사이의 보호 장구의 부재를 채워준다. Kapsul의 내장된 역동적 목 안정 기술(Dynamic Neck Stabilization Technology)은 부상, 통증, 염좌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경기 중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선수의 가동 범위 또는 이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목을 지지
제64회 ASH 연례 회의 및 전시회에서 발표 V. Koneti Rao, MD, 희귀 원발성 면역결핍증인 APDS 치료를 위해 레니올리십을 복용한 환자에서 장기적인 안전성과 혈액 반응에 관한 새로운 증거 공유 임시 분석에 따르면, 레니올리십은 우수한 내약성을 입증했으며, 이는 2상/3상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나타난 효능의 지속성을 시사 라이덴, 네덜란드, 2022년 12월 15일 /PRNewswire/ -- Pharming Group N.V.("Pharming" 또는 "회사")(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 PHARM)(나스닥: PHAR)가 희귀 원발성 면역 결핍증인 활성화된 PI3K 델타 증후군(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Syndrome, APDS)이 발생한 성인 및 청소년 환자를 치료하고자 진행된 시험용 신약 레니올리십(Leniolisib) 평가 개방 레이블 확장 연구에서 나온 임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새로운 증거도 포함됐다. 레니올리십은 선택적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제 델타(PI3K Delta) 억제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