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361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비엘이 자사 특허 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소재로 사용해 점탄성과 내구성을 높인 필러 시제품 개발을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피부 필러’는 젤리 형태로 피부의 볼륨 증가, 주름 및 얼굴 라인을 줄이는데 사용되며, 최근에는 젊은 여성뿐만 아니라 고령자 및 남성시술도 증가하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인 ‘리서치 네스터 프라이빗(Research Nester Private)’은 글로벌 피부 필러 시장은 2031년까지 연간 약 8%대의 성장율을 보여 2031년 약 310억 달러(약 40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필러 제품은 콜라겐을 직접 주입하는 1세대 제품부터 시작해, 2세대 ‘히알루론산 필러’, 3세대 ‘칼슘 필러’, 4세대인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PCL 고분자 필러’로 지속적인 신소재 개발이 이뤄져 왔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히알루론산 필러는 핵심기능인 점탄성 조절을 위해 ‘BDDE’, ‘DVS’ 등 화학적 가교제가 사용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경우 인체에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비엘이 이번에 시제품 개발을 완료한 ‘폴리감마글루탐산 필러’는 화학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럽 히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최국명) 병리과 장보근 교수, 제주의대 병리학교실 김혜성 교수 연구팀이 위의 전암병변에 대한 치료제 후보물질 ‘Pyrvinium’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위의 전암성 병변 연구를 이끌고 있는 미국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의 최은영, James R. Goldenring 교수팀과의 국제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특히 20명의 위암 환자에게서 유래한 위장 오가노이드(인공장기)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 수립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가 중 위암 발병률 1위를 유지하고 있고 해마다 1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위점막의 장상피화생과 이형성 병변은 위암의 전구 병변으로 알려져 있다. 장상피화생은 위점막 세포의 반복적인 손상과 재생을 거쳐 위 점막세포가 소장이나 대장의 상피로 대체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의 장상피화생의 유병률은 30대 연령층에서 11%, 40대에 31%, 70대에서는 50%에서 발견될 만큼 흔하고, 장상피화생은 없는 경우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도가 무려 11배 가까이 증가하는
-- Chula Pharmaceutical Science [https://www.chula.ac.th/en/ ]는 천심련의 효능과 신중한 사용에 대해 설명하면서 소비자들이 이것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선택하고 사용하기 위해선 '의약품 라벨'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방콕 2023년 11월 15일 /PRNewswire=연합뉴스/ -- 태국에서 Fah Talai Jone[https://www.chula.ac.th/en/highlight/50619/ ]으로 알려진 허브인 천심련(Green chiretta, 학명: Andrographis paniculate) 수요가 급증하면서 제품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 무엇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태국 보건부가 코로나19[1] 치료에 이것이 효과가 있다고 발표한 영향이 컸다. 쭐랄롱꼰대학교(Chulalongkorn University) 조제학부[https://www.pharm.chula.ac.th/ ] 강사인 Kitiyot Yotsombut 박사가 천심련의 효능과 안전한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준비했다. 그는 "대중이 천심련이 가진 여러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 게 중요하다"면서 "이런
-- COMPAMED 및IPF Japan 2023에 참가해 TPU 신제품 시리즈 선보일 예정 신주 2023년 11월 3일 /PRNewswire=연합뉴스/ -- 아시아 최초의 의료용 등급 T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제조 및 공급업체인 ICP DAS – Biomedical Polymers는 2023년 11월과 12월에 독일에서 열리는 COMPAMED와 일본 IPF에서 전시회를 가질 예정이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인 텅스텐을 30~80% 첨가하여 제조한 신제품 Arothane™ ARP-W시리즈를 선보이며 홍보와 마케팅, 브랜드 노출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ICP DAS – BMP, 의료용 등급 적합 TPU 공개. COMPAMED 및IPF Japan 2023에 참가해 TPU 신제품 시리즈 선보일 예정 2차 조제 공정 대신 단일 공정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필러를 추가함으로써 TPU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가공성을 확보했다. 방사선 불투과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텅스텐을 넣은 TPU는 가이드 와이어용 TPU 코팅과 같은 소형 및 박막 기기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AlithanTM(ALP 시리즈), DurathaneTM (ALC 시리즈),ArothaneTM(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와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지난 14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2023 오픈 이노베이션 플라자’의 부대행사로 ‘기술사업화·투자촉진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국내 기업의 기술사업화와 투자유치 촉진을 위해 마련된 이번 경진대회에는 에필바이오사이언스, 브이에스팜텍, 니오바이오파마슈티컬스, 아테온바이오, 큐제네틱스, 라벤텍, 큐피크바이오, 파이메드바이오 등 8개 바이오기업이 참여했다. 주최 측은 기술사업화와 투자 두가지 항목에 대해 심사했으며, 심사 결과 금상에 아테온바이오, 은상에 큐제네틱스, 동상에 파이메드바이오가 선정됐다. 금상 수상 기업은 ‘해외 라이센스 아웃용 기술가치평가서’, 은상 수상 기업은 ‘코스닥 상장용 가치평가서’, 동상 수상 기업은 ‘글로벌성장전략보고서’를 부상으로 받았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새로운 형식의 오픈 이노베이션 촉진 장치로 경진대회를 활용하였다”며 “지속적으로 협회 차원에서 산업계의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 마련을 위해 적극적으로 장을 마련해 나갈 것”고 적극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건국대병원이 13일 최신형 4세대 단일공 로봇수술 기기 ‘다빈치 SP’ 도입 기념식을 가졌다. 건국대병원은 지난 9월 다빈치 SP를 도입했으며 11월 8일 첫 수술을 시행했다. 다빈치 SP는 하나의 팔에 관절이 있는 3개의 기구와 360도 회전이 가능한 3DHD 카메라가 탑재돼 있어 단일공(Single Port) 수술이 가능한 로봇수술 기기다. 환자 몸에 작은 절개 하나로 수술하지만 각 관절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또, 흉터가 작아 환자의 회복이 빠르고 미용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건국대병원 로봇수술센터는 2017년 10월 다빈치 Xi를 도입하고 개소했으며 현재 2,900례를 넘어 월평균 55회의 로봇 수술을 시행 중이다. 지난 2022년 2월에는 산부인과 단독으로 로봇수술 1,000례를 달성하고 2023년 10월에는 외과 단독으로 1,000례를 달성하는 등 의료진들의 높은 로봇 수술 숙련도로 환자들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황대용 의료원장은 “로봇 수술 기기 도입 당시에는 걱정과 고민이 많았지만 모든 직원의 노력으로 최고의 치료를 환자들에게 안전하게 시행하고 있다”며 “곧 달성할 3천 회와 다빈치 SP 도입을 자축하며 감사의
보건복지부가 대한전문병원협회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보건복지부가 15일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서울 중구 소재)에서 대한전문병원협회와 의료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전문병원 운영에 대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전문병원 지정 제도는 화상, 수지접합, 알코올중독 등 특정 질환군에 대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중소병원을 육성하여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환자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에 도입했다. 현재 17개 분야의 114개 전문병원이 지정돼 있으며, 필수의료 기반시설(인프라)이 부족한 지역 등에서 지역완결적 필수의료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주재로 진행됐으며, 대한전문병원협회 이상덕 회장(하나이비인후과병원장)을 비롯해 심뇌혈관, 화상, 수지접합, 안과, 중독, 소아과 등 다양한 진료과목과 질환군을 진료하는 전문병원의 대표자들이 참석해 지역·필수의료 확충에 기여하기 위한 전문병원 역할 강화와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전문병원협회 허준 교육수련위원장(한강성심병원장)은 “정부의 필수의료정책 비전에 공감하나, 전문병원이 응급의료체계에 참여하기에는
*일시: 2023년 12월 3일 11시, *장소: 양재 엘블레스 다이아몬드
헬스케어 데이터 양방향 플랫폼 기업 레몬헬스케어(대표 홍병진)가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서울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ASOCIO 디지털 서밋 2023’에 참가, 환자·병원·약국·금융기관 등과 의료 데이터를 연동하는 ‘레몬케어’ 등 스마트병원 생태계를 조성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소개했다고 15일 밝혔다. ‘ASOCIO 디지털 서밋’은 한국, 일본, 인도,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등 아시아 대양주 24개국 IT 협회로 구성된 국제 민간단체로 아시아 지역 최대 IT 행사로 손꼽힌다. 지난 2000년 서울에서 개최된 후 23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는 디지털 아시아 구현을 위해 아시아 지역 정부, 기관, 기업의 전략과 협력 방안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올해 주제는 ‘디지털 아시아 : 공동 번영을 위한 우리의 비전(Digital Asia:Our Vision For Co-Prosperity)’였다. 레몬헬스케어는 행사 이튿날인 14일 ‘디지털 서밋 컨퍼런스’ 오후 트랙 세션에 참가했으며, 임치규 부사장이 ‘Nextstep for Digital Healthcare Innovation! – How to make smart hospitals in
한미약품이 혁신 신약으로 개발중인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efocipegtrutide, LAPSTriple agonist)의 ‘간 섬유화’ 직접 개선 효능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세계적 권위를 갖춘 미국간학회에서 발표됐다. 간 섬유화 개선 지표는 MASH(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 상용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핵심 잣대라는 점에서, 한미의 개발 속도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는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 GIP 수용체 3가지를 모두 활성화하는 삼중 작용 바이오신약으로, 다중 약리학적 효과를 토대로 MASH 환자의 지방간과 간 염증, 간 섬유화 등 복합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발표는 지난 10일부터 14일(현지시각)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간학회(AASL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됐다. 이번 연구에서 한미약품은 간 염증 및 간 섬유화가 유도된 모델에서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의 직접적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박수진, 정승원)의 탈모치료제 ‘헤어그로정(성분명 피나스테리드)’의 판매량이 월 100만 정을 돌파했다. 이는 올 10월 기준 헤어그로정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62.6% 증가한 것으로 2007년 출시 이후 최대 판매량이다.2022년 기준 헤어그로정의 판매량은 약 5년간 연평균 20% 성장했다. 헤어그로정은 제품력을 인정받아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연속으로 피나스테리드 1mg 제품 부문 연간 의사 처방의약품 중 상위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탈모증으로 치료받은 환자는 25만 명을 넘어섰다. 이 중 2030세대가 38%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노화, 유전적 요인 등을 모두 포함한 국내 탈모 인구는 1천만 명 정도로 추산돼 향후 탈모인구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헤어그로정은 만 18세에서 41세의 성인남성에서 나타나는 남성형 탈모(안드로겐 탈모증)의 치료제로 환자의 부담을 낮춘 것은 물론 생물학적 동등성이 입증돼 효능과 안정성을 인정받았다.한올의 또 다른 탈모치료제 제품군인 ‘아다모정(성분명 두타스테리드)’과 탈모보조치료제 ‘판그로정’ 역시 동반 성장률을 기록하며
대구지역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이송‧수용 지침’ 2개월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소방청은 대구 지역에서 추진 중인 ‘응급환자 이송지연(응급실 뺑뺑이) 개선 대책’이 시범운영 2개월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15일 밝혔다.앞서 지난 3월 대구에서 119구급대가 이송하던 10대 여학생이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2시간여 찾아 헤매다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대구 지역 의료계는 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응급환자 이송체계 개선 방안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그 결과,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를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이송병원 선정 권한을 부여하는데 합의했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구광역시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이송·수용 지침’을 마련해 올해 7월부터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이송‧수용 지침’은 기존 119구급대가 전화로 응급의료기관에 환자 수용 여부를 문의했던 것과 달리, 환자의 상태와 주변 응급의료기관의 여건을 감안하여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이송 병원을 선정‧통보한 뒤 119구급대는 현장에서 즉시 이송하며, 응급의료기관은 환자를 수용하도록 규정했다. 특히, 응급‧긴급 환
주요 제약사들의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 투자가 예년 대비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3분기 매출 상위 30위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이번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로 총 1조 3353억원을 사용하면서 2022년 전체 연구개발비인 1조 8387억원의 73.7%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1년에는 연구개발비가 1조 5952억원으로 보다 달성률은 높은 편이다. 상위 5개 제약사 중 유한양행의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는 1353억원으로 확인돼 매출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인 1800억원의 75.2%로, 지난 해에는 매출의 10.1%를 연구개발비로 사용한 모습이다. 2021년에는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10.6%인 1782억원을 투자했다. 녹십자는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2.2%인 1488억원이다.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5%인 2136억원으로 확인돼 전년 대비 이번 3분기 달성률은 6.97%에 그쳤다.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1.2%인 1723억원이었다. 종근당은 연구개발비 투자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번 3분기 연구개발비 누계는 102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희중 교수팀(김지언, 이승형, 정재승, 손호성 교수)이 심장판막수술과 관련한 수혈량과 치명적인 합병증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수혈은 심각한 빈혈과 대량 출혈 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지만 국내외 학계에서는 수혈이 가지고 있는 여러 치명적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수혈을 최소로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적혈구 수혈과 부작용 결과 간의 연관성에 대한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수혈후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추적연구를 통한 명확한 임상데이터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김희중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3년 부터 2019년 까지 심장판막수술과 관련해 수혈을 받은 58,299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중 13.50%는 수혈을 받지 않았으며, 30.22%는 1유닛의 적혈구 혈액을 수혈받았다. 2유닛을 수혈 받은 사람은 27.21%, 3유닛 이상 수혈받은 사람은 29.06%였다. 연구팀은 평균 약 5년의 추적기간 동안 치명적인 합병증인 사망, 뇌경색, 뇌출혈, 심근경색의 발생을 수혈량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 수혈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망위험은 1유닛수혈 시 1.53배, 2유닛
의정부성모병원이 2021년 플래티넘 등급과 2022년 골드 등급에 이어 올해 또다시 플래티넘 등급을 수상했다.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이 세계뇌졸중학회에서 공인한 ‘2023 WSO 엔젤스 어워즈’에서 2021년에 이어 플래티넘 등급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세계뇌졸중학회(WSO: World Stroke Organization)는 세계 뇌졸중 연구의 최상위 기관으로, 전 세계 국가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분석하며 다양한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뇌졸중 관리의 질을 증진시키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또한, 뇌졸중 치료와 관리 부문에서 세계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우수 뇌졸중센터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의정부성모병원이 수상한 ‘WSO 엔젤스 어워즈’는 세계뇌졸중학회와 베링거인겔하임의 ‘엔젤스 이니셔티브(Angels Initiative)’가 공동 제정해 뇌졸중 치료와 관리 부문에서 국제 기준에 맞는 뇌졸중센터에게 시상한다.
고신대병원이 제2회 서구의료특구 축제에서 최신 스마트 융합의료 체험부스 선보였다. 고신대복음병원이 11월 10~11일 양일간 부산 송도해수욕장 오션파크에서 벌어진 ‘제2회 서구 의료관광축제’에 참가해 홍보부스와 함께 관람객들이 스마트헬스케어를 직접 경험 해볼 수 있는 체험부스를 운영했다고 15일 밝혔다. 부산시 서구가 의료관광 특구지정 2주년을 기념해 주최한 이번 행사에서는 고신대병원을 비롯한 3개 대학병원과 1개 종합병원이 공동 주최해 전국 유일의 서구의료관광 특구의 우수한 의료 인프라를 지역민들에게 선보였다. 고신대병원은 시민들이 체험을 통해 건강증진의 기회를 갖고, 또 많은 외국관광객이 이 행사를 통해 세계적인 의료의 융합형 체험을 경험하길 바라며, 양일에 걸쳐 3D 보행분석, 패치형 심장 검사, 경동맥 초음파 검사 체험부스를 운영했다. 지난해 개최된 제1회 서구의료관광특구 축제 행사에서도 뜨거운 호응을 얻은바 있는 3D 보행분석검사는 태플릿 PC와 보행 분석계를 이용하여 족부압력 및 균형감각을 측정하며, 결과 분석과 함께 맞춤형 걷기 솔루션을 현장에서 제공했다. 패치형 심장검사도 고신대병원이 실증사업을 진행 중인 최신 스마트헬스케어 기술이다. 모바일
울산대병원, 지역완결형 의료전달체계 구축 위한 교류의 장 마련했다. 울산대학교병원 진료협력센터는 지난 14일 울산대학교 국제관 국제회의실에서‘제8회 URC 협력 병·의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심포지엄에서는 지역 완결형 의료전달체계를 위한 진료의뢰·회송연계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안내와 함께 지역 진료교류의 활성화와 지방의료 위기를 타개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울산대병원과 참가한 협력병의원들이 머리를 맞댔다. 이날 소개된 울산대학교병원의 ‘진료의뢰·회송연계 클라우드 시스템’은 지역 의료기관들과 안전하고 효율적인 진료의뢰·회송을 위해 울산대학교병원이 자체 개발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최근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에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HIRA’시스템이 있었지만 접근 단계가 복잡하고, 제한된 진료정보 교류로 사실 상 이용률이 저조했다. 하지만 울산대학교병원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 시 1·2차 병원들은 기존보다 환자 의뢰를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울산대학교병원의 OCS데이터도 연동이 가능해진다. 환자의 중요한 진료 정보를 울산대학교병원과 1·2차 병원이 공유함으로써, 중증도에 따른 맞춤형 치료와 연계 진료를 제공하게
AI기반 수술 솔루션 제공 기업 애니메디솔루션(이하 애니메디)의 김국배 대표가 ‘2023 ICT 기기산업 페스티벌’에서 3D 프린팅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ICT 기기산업 페스티벌은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소개하고, 국내 우수 제품 및 서비스를 소개하는 등, ICT 기기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는 행사이다.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최하고,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 3D융합산업협회 등에서 주관했다. 이번 수상에서 김국배 대표는 3D 프린팅을 기술을 활용한 혁신 사례 발굴하고, 이를 의료현장에 적용하는 등 3D 프린팅 시장의 저변을 확대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혁신 사례 중 ‘환자 맞춤형 3D프린팅 유방암 수술 가이드를 이용한 유방보존술’은 3D프린팅 부문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유방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는 유방암 환자의 의료 영상(MRI 및 CT)을 분석하고, 이 데이터에 기반해 수술 현장에서 종양의 제거 범위를 유방의 내외 조직에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게 삼차원 형태로 제작된 환자 맞춤형 가이드이다. 해당 가이드를 활용하면, 정상조직은 최대한
HLB제약의 3분기 누적 매출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075억원의 매출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던 HLB제약은 올해 3분기까지 실적으로만 1022억원을 달성, 지난해 전체 매출에 근접하고 있어 올해도 사상 최대 규모의 매출을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HLB제약의 연평균성장률은 5년째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다. HLB제약의 가파른 성장은 전문의약품 매출이 이끌고 있다. 올해만 18개의 신제품을 출시하며 성장동력을 강화해가고 있기 때문이다. 생물학적동등성(생동성) 시험에 성공하며, 제품 경쟁력도 계속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향후 의약품 분야 매출 성장은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향남공장에서의 CMO(위탁생산) 규모도 꾸준히 증가해, 위탁생산 규모가 처음으로 100억원 이상을 상회한 것도 미래 성장 전망에 긍정적이다. 올해 4월 관절 전문 브랜드 ‘콴첼’을 새롭게 론칭하며 매출처를 다변화한 것도 유효했다. 특히 콴첼 출시 후 HLB제약의 인지도가 빠르게 증가하며, 회사 전체의 영업실적에도 크게 공헌하고 있어, 회사의 성장에 선순환적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오유경 처장은 비타민 K2를 제조하는 지에프퍼멘텍(식품첨가물제조업, 세종시 소재)을 11월 15일 방문해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영양성분 확대와 관련한 규제혁신 과제의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식약처는 올해 6월 발표한 ‘식의약 규제혁신 2.0과제’의 일환으로, 제외국에서는 이미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허용되지 않았던 건강기능식품의 영양성분 원료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 첫 사례로 소비자의 수요가 높은 비타민 K2를 건강기능식품 성분으로 인정하는 과제를 추진 중이다. 오유경 처장은 최신 바이오기술을 활용해 비타민 K2를 생산하는 현장을 둘러보고, 비타민 K2를 식품첨가물로 허용하는 데 따른 기대효과 등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한정준 지에프퍼멘텍 대표는 “국내에서 개발한 독자적인 기술로 비타민 K2 제조에 성공했으나, 그간 국내 건강기능식품 등에 사용할 수 없어 안타까웠다”면서, “향후 직접 생산한 비타민 K2를 건강기능식품 등에 활용하여 우리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유경 처장은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사용되는 영양성분을 확대하는 것은 국민의 건강 유지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