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0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삼성서울병원은 슬로건 ‘함께하는 진료 함께하는 행복’을 이미지화한 브랜드 디자인으로 9월26일 발표된 아시아 브랜드 프라이즈(Asia Brand Prize) 2022에서 대상인 ‘Grand Prize’를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아시아 브랜드 프라이즈 (Asia Brand Prize)’는 아시아 최고 브랜드를 선정하고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창설된 국제 디자인 공모전이다. 삼성서울병원이 수상한 브랜드 디자인은 지난 2019년 개원 25주년을 맞아 새로 선포한 슬로건 ‘함께하는 진료 함께하는 행복(Care Together Happy Together)’을 시각화한 디자인이다. 이번 공모전에는 총 9개국에서 135개 출품작이 제출돼 3개국, 19명의 심사위원이 디자인의 심미성, 독창성, 실용성 등을 평가했으며 이중 7개 작품에 ‘Grand Prize’ 타이틀을 부여했다. 삼성서울병원 커뮤니케이션팀은 디자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미래 의료와 환자 행복의 가치를 담은 디자인을 매년 새롭게 선보여 왔으며, 병원 곳곳에 해당 디자인을 적용해 미래 의학 선도 의지를 알기 쉽게 설명함과 동시에 따뜻하고 정감있는 공간으로 변모시켰다는 호평을 받고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김경태 교수가 9월 22~24일에 열린 13차 아시아 스파인 학회(Asia Spine 2022)에서 '척수 손상 후 치료초음파의 치료 효과’라는 주제로 학회 최고의 영예인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학술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척수 손상 후 급성기에 발생하는 염증 반응 및 산화 반응을 치료 초음파로 조절해 척수 손상의 기능 회복 및 치료 효과를 입증한 논문으로, Nature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2022년 3월호에 게재됐다. 본 논문은 치료 초음파를 척수 손상에 적용한 최초의 논문으로 추후 척수 손상의 초기치료에 유용하게 쓰여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김경태 교수는 2017~2019년 캐나다 UBC 대학, ICORD 연구소에서 척수 손상을 연구하였고, 그 이후로 약 40여 편의 척수 손상 국제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에도 척수 손상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초음파 치료 외에도 신경줄기세포 치료를 활용한 1상 임상 연구를 준비 중에 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가줄기세포은행이 국제 첨단바이오의약품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세포치료제의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한 점검항목을 발표했다. 세포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조직 등을 이용해 개발되는 치료제로, 희귀난치성질환 등 기존 의약품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질환의 치료제로 기대를 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세포치료제를 포함한 첨단재생의료 시장은 연평균 22%로 빠르게 성장 중으로, 2030년 기준 2980억 달러(428조4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문제는 세포치료제 기술은 임상 진입 속도가 매우 빠르고 생산 경험이 축적돼 있지 않아 세포치료제를 다루는 기업과 연구자가 시행착오를 겪는 동안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했다. 이에,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국제 전문가들과 함께 세포치료제 또는 원료 세포 생산 경험을 토대로, ‘비용 절감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항목’을 사례별로 30일 발표했다. 국립보건연구원 난치성질환연구과 김정현 보건연구관은 “세포치료제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처음부터 잘 짜여진 계획과 관리가 필요하며, 연구단계에서부터 대규모로 세포를 생산하는 수준을 미리 염두에 두고 공정을 수립해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라고 밝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은 지난 29일 본관 2층 임상강의실에서 2022년도 협력병원 실무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협력병원 실무진 간담회’는 경기북부지역 진료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의정부성모병원과 협력 관계를 맺은 병원의 실무진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대면으로 진행되는 것은 지난 2019년 개최 이후 3년만이다. 이번 간담회에는 협력병원 관계자 70여명이 참석하여 진료의뢰 및 회송 절차 개선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각 병원 실무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특강이 이루어졌다. 특강은 ▲갈등관리(정신건강의학과 이경욱 교수) ▲환자경험조사대비 대응방법(CS실 윤소연 강사) ▲욕창관리(멘리케헬스케어 손효정 부장)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유동수 대외의료협력센터장은 “의정부성모병원은 앞으로도 협력병원들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최선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전했다.
국민의힘 이종성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대한신장학회가 주관하며,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후원하는 ‘복막투석 환자의 재택관리 강화 대책은 무엇인가?’ 토론회가 9월 30일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종성 국회의원의 개회사와 임춘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의 인사말 등으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 김선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등의 축사 속에서 진행됐다. 김동기 대한신장학회 수련교육이사와 이영기 대한신장학회 재난대응이사가 각각 ‘우리나라 복막투석 치료의 현황과 문제점’, ‘복막투석 환자 재택관리 시범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 발표한다. 이어 주제발표를 진행한 이영기 재난대응이사와 김동기 수련교육이사를 비롯해 장지홍 복막투석 재택관리 시범사업 참여 환자, 방현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재택의료수가부 부장, 정연희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 과장 등이 패널 토론에 참석해 토론을 진행한다.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 대비 소폭 감소한 2만8406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월 3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52명, 사망자는 4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8406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13명(88.9%),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9명(92.9%) 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만8221명(최근 1주간 일 평균 2만8889.7명), 해외유입 사례는 276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만849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476만9101명(해외유입 6만7237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794명, 인천 1749명, 경기 8169명으로 수도권에서 1만5712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267명, 대구 1598명, 광주 651명, 대전 732명, 울산 486명, 세종 218명, 강원 923명, 충북 947명, 충남 1040명, 전북 892명, 전남 813명, 경북 1452명, 경남 1525명, 제주 218명 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7520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9월
모더나는 지난 29일(목) 자사의 오미크론 함유 2가 백신인 모더나 스파이크박스2주(엘라소메란, 이멜라소메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mRNA백신) 론치 웨비나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모더나 스파이크박스 2주 론치 웨비나’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국립중앙의료원 진범식 감염의학센터장이 좌장을, 모더나코리아 김희수 의학부 부사장이 연자를 맡아 진행됐으며 총 2124명이 참석하는 등 모더나의 차세대 코로나19 2가 백신에 대한 국내 의료진의 뜨거운 관심을 보여줬다. 이날 주요 발표 내용은 스파이크박스 2주의 효능을 평가한 2/3상 임상데이터로, 해당 임상 시험에서 스파이크박스 2주는 감염된 적이 없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스파이크박스 주 50μg 추가접종의 효능과 비교 시, 오미크론(BA.1)에 대응하는 중화항체반응을 포함한 모든 주요 평가 변수를 충족했다. 스파이크박스와 오미크론 함유 2가 백신(mRNA-1273.214) 부스터샷은 오미크론에 대한 중화 기하 평균 역가(GMT)를8배 높였다. 또한, 스파이크박스 2주는 기존의 스파이크박스주와 비교 시, 오미크론 하위 변이체 BA.4와 BA.5에 대해 더욱 강력한 중화항체역가를 유도했다. 접종 이전
2022 국제 병원의료산업 박람회가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코엑스 3층 C,D홀에서 열린다.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고 메쎄이상, 미래의료산업협의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이번 박람회의 주제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로 244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했으며, 480개의 부스가 운영된다. 운영되는 4개의 특별전인 스마트병원특별전, SaMD(디지털헬스 의료기기)특별전, 병원의료정보특별전, 힐링아트&병원인테리어특별전에서는 관련 분야의 여러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대한의사협회가 신현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안전한 진료환경 조성을 골자로 하는 의료법 개정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의협은 29일 각 산하단체 의견조회를 통해 정리된 협회 의견을 복지부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료법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의료행위가 이뤄지는 장소에서 안전한 진료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장관이 3년마다 진료환경 안전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는 한편 의료인 등 폭행죄를 범한 경우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에 관계없이 형사처벌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의협은 의료인 등 폭행죄 반의사불벌죄 단서 삭제, 진료환경 안전에 관한 실태조사 실시 등을 요구했다. 의협은 “반의사불벌죄는 범죄로 인한 피해법익의 경미성을 감안해 피해자에 대한 배상이나 당사자 사이의 개인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분쟁해결을 촉진하고 존중하고자 만들어진 범죄유형”이라며 “그러나 의료인 폭행 등 의료기관내 폭력은 형법 상 폭행·협박죄와는 달리 진료공백을 발생시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침해하는 중대범죄이기 때문에 그 피해법익이 경미하다고 할 수 없고, 의료법은 형법보다 강력하게 처벌을 내리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피해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신속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프레다 린, 이하 바이엘)는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이하wAMD)치료제 아일리아의 프리필드시린지(Pre-filled Syringe) 제형을 1일 국내 출시한다고 밝혔다. 아일리아 프리필드시린지는 기존 아일리아 바이알 제형에서 허가받은 전체 적응증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됐으며 보험 역시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일리아는 프리필드시린지 제형 출시로 약물 투여 준비 시간을 줄여 환자와 의료진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치료가 가능해졌다. 아일리아 프리필드시린지는 1mL 유리 시린지로 외관(Barrel)과 누름대(Plunger button)의 사이즈가 크며, 용량 기준선(dosage line) 확인도 용이해 주사가 편리하다. 또한 주사기와 니들(needle)의 분리를 막는 장치인 루어락 어댑터(Luer-lock adaptor) 부분이 투명해 니들의 부착 상태 확인이 가능하고, 루어락 제거 방법은 돌려 따는(Twist off) 형식이다. 아일리아는 2018년 wAMD 치료 시 첫 3개월 간 매달 주사 후 환자 상태에 따라 2주 또는 4주씩 투여 간격을 점진적으로 연장해 최장 16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사장 배병준)은 오는 10월 11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다지역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를 위한 규제당국자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재단은 지난 2020년 APEC 규제조화운영위원회(RHSC)으로부터 전문교육 훈련기관(Center of Excellence, CoE)으로 공식 지정됐으며, APEC 국가 내 규제당국자, 업계 및 학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APEC 규제조화사업에 대한 교육을 매년 수행하고 있다. 올해로 3회째 개최되는 이번 교육은 일본 의약품 및 의료기기관리청(PMDA)과 유럽의약품청(EMA)의 전·현직 규제담당자, 영국 의약품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 산업계 전문가 등 7명의 강사진과 페루, 말레이시아, 러시아, 대만, 칠레, 필리핀 등 11개국 약 20여 명의 APEC 국가 규제당국자가 참여하며,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후 첫 대면으로 개최된다. 참가자들의 임상시험 품질관리 실무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최신 동향의 다기관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 전 과정에 대한 강의와 사례 공유가 이뤄진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가 서울시,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공동 개최한 제3회 ‘헬스엑스 챌린지 서울(Health X-Challenge Seoul)’ 공모 프로젝트에서 ‘바스젠바이오(대표 김호)’과 ‘에버엑스 (대표 윤찬)’를 29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헬스엑스 챌린지 서울 프로젝트는 올해 3회를 맞이해 ‘대국민 건강관리를 위한 예방의학’을 주제로 ▲디지털 기반 시뮬레이션 및 가상환자 ▲대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EMR(전자의료기록) 및 PHR(개인건강기록) 플랫폼 2개 분야에서 모집을 진행했다. 지난 6월 모집 시작 후 총 23개의 스타트업/예비창업자가 대거 참여했으며 서류, 발표 심사를 거쳐, 부문별 1 개 기업씩, 총 2개 기업을 최종 선발했다. 심사 기준은 주제 적합성, 기술혁신성, 사업성,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디지털 기반 시뮬레이션 및 가상환자 부문에서 최종 선정된 ‘바스젠바이오(Basgenbio)’는 다양한 연구 데이터로 바이오마커 발굴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EMR/PHR 부문에서는 에버엑스(EverEx)가 환자와 의료진의 원활한 운동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심사위원단
‘K-Hospital Fair 2022’에서 지속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및 비전이 제시됐다. 2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2 국제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에서 GE헬스케어 코리아와 대한병원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지속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GE헬스케어 김은미 대표는 “전세계 헬스케어가 직면한 해결 과제는 의료서비스의 불균형 해소와 의료 생산성 향상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의 여지가 없다”라고 밝혔다. 특히 세계은행(WB)나 WHO에서 조사·연구한 바에 의하면 전 세계에 38억여 명의 사람들이 기본적인 의료서비스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고, 다른 환자는 20%에 달하는 의료비용이 낭비되고 있는데, 이는 비효율성, 고비용, 고장난 프로세스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한, 김 대표는 저소득 국가를 중심으로 약 260만여 명의 환자들이 안전이 검증되지 않은 의료로 생명을 잃고 있으며, 사망자 중의 대다수는 예방이 가능한 질환인 점을 강조했다. 이어 “이 같은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려면 정밀의학 발전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코시스템 구축에 있으며, G
한가위 가득 차올랐던 보름달처럼 이번 9월에도 지역사회를 위한 제약업계의 관심이 가득했다. 치매를 비롯해 각종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물론 취약계층 등 도움이 필요한 사회 곳곳에 온기가 전달됐다. 한국유씨비제약이 뇌전증 질환 인식 개선을 위해 두 번째 질환 만화 ‘나의 뇌전증 이야기’를 발간했다. 이번 만화는 여성 뇌전증 환자들이 생애주기 중 청소년기, 가임기, 출산과 육아 시기의 고민을 다룬 3편으로 구성됐다. ‘나의 뇌전증 이야기’는 책자로 제작돼 필요로 하는 환자 치료나 상담에 활용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에게 배부될 예정이다. 한국아스텔라스제약은 ‘혈액암 인식의 달’을 맞아 급성백혈병 투병의 어려움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높이고 환우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I AM LIVE’ 캠페인 웹툰과 영상을 공개했다. 웹툰과 영상은 급성백혈병 환우 및 보호자 대상 희망편지 공모전 수상작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급성성백혈병 환우가 보호자에게 전하는 감사의 마음, ▲환우 선배가 환우 후배에게 전하는 위로의 마음, ▲나 자신을 다독이는 응원의 마음 등 다양한 사연으로 구성됐다. 한국BMS제약은 ‘세계 환자 주간’을 맞아 암 환자들을 응원하는 걷기
-- FDA, 희귀 원발성 면역결핍증 APDS 치료제인 레니올리십에 대한 무작위 대조 및 장기 연장 데이터 기반의 NDA 제출 위한 PDUFA 목표 날짜를 2023년 3월 29일로 지정 (라이덴, 네덜란드 2022년 9월 29일 PRNewswire=모던뉴스) Pharming Group N.V.("Pharming" 또는 "회사")(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 PHARM)(나스닥: PHAR)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미국에서 12세 이상의 성인 및 청소년의 희귀 원발성 면역결핍증인 활성화된 PI3K 델타 증후군(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Syndrome, APDS)을 치료하기 위한 경구 선택적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제 델타(PI3Kδ) 억제제인 레니올리십(Leniolisib)의 신약신청(New Drug Application, NDA) 우선심사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FDA는 우선심사(Priority Review) 분류에 따라 PDUFA(처방의약품신청자수수료법) 목표 날짜를 2023년 3월 29일로 지정했다. 2022년 7월 29일에 P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정호 박사가 지난 23일 이대서울병원에서 진행된 한국의학물리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젊은 연구자상은 의학물리학에 입문한 신진연구자 중 연구업적이 우수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학술상으로, 한국의학물리학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김정호 박사는 올해 4월 ‘선형가속기(Linac)와 MRI를 하나의 장비로 융합한 자기공명선형가속기(MR-Linac)의 방사선 투과 정도 검증을 위한 3D 겔 선량계 개발’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방사선 측정에 대한 새로운 평가 방법을 제시한 김정호 박사는 방사선 치료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한 점을 높게 평가받아 이번 학술대회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기존에는 방사선 투과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필름을 이용한 2차원적인 평면상에서 이뤄졌다. 그러나 3차원의 방사선 분포를 2차원 이미지로 나타낸다는 특성과 방사선 왜곡 현상 때문에 오차 검증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김정호 박사는 오차가 적고 정확성 측면에서 우수한 3D 겔 선량계를 개발해 3차원 계측을 통한 검증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한편, 김정호 박사는 지금까지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이 재난 현장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유연의료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고려대의료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5G 기반 이동형 유연의료 플랫폼 기술개발사업(35.8억 규모)’을 수주해 총괄기관으로서 4년 9개월간 과제수행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과기정통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다부처 협력을 통해 추진되는 것으로 기존 의료기기와 5Gㆍ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의료·헬스케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의료취약지역 및 응급·재난 상황 등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세부 과제별 연구개발과 실증이 함께 진행된다. 산업부 과제의 사업총괄과 1세부과제를 맡은 고려대의료원은 안암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윤승주 교수(의료서비스혁신연구소 소장)를 연구책임자로 유연의료 플랫폼 통합 운영기술을 비롯해 이동형 병원체 운용 매뉴얼 및 인적자원 활용 프로그램, 이동형 병원용 의료정보시스템 등의 연구개발에 나선다. 이동형 병원체와 모듈을 개발하는 2세부는 ㈜신광테크놀러지, 환자케어 및 통합 관제시스템을 연구하는 3세부는 ㈜보템이 맡아 의료원과 협업할 예정이다. 김영훈
CSL시퀴러스코리아(CSL Seqirus Korea)는 자사의 면역증강 4가 인플루엔자 백신 플루아드 쿼드 프리필드시린지(FLUAD QUADRIVALENT, 이하 플루아드 쿼드)가 19일자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플루아드 쿼드는 시퀴러스의 독점적인 면역증강제 MF59를 포함한 4가 인플루엔자 백신(aQIV)으로, 65세 이상 고령층의 인플루엔자 예방에 사용된다. 65세 이상의 고령층은 면역체계 노화로 백신을 통한 면역반응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면역증강제가 함유된 인플루엔자 백신을 통해 면역반응의 크기와 폭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SL 시퀴러스코리아는 이번 플루아드 쿼드 품목 허가를 기반으로 2023/24 절기 국내 런칭을 목표로 하고 있다. CSL 시퀴러스코리아 유기승 대표는 “65세 이상의 고령층은 청장년층보다 인플루엔자 위험에 더 크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면역반응을 강화할 수 있는 백신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며 “이번 플루아드 쿼드 품목허가를 통해 국내 인플루엔자 취약계층에서 효과적인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소개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플루아드 쿼드는 자사의 면역증
GE헬스케어 코리아가 주관하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를 주제로 병원 경영리더십 포럼이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이날 진행되는 포럼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1 국제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에서 경영리더십 세션을 마련해 대한병원협회와 공동으로 진행된다. 연사로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CIO 이호영 교수와 일산백병원 이성순 원장(대한병원협회 사업부위원장), GE헬스케어 코리아 김은미 대표, 코어라인소프트 강상우 CSO 등이 참여해 미래 헬스케어의 비전과 구축을 함께 모색했다. 포럼은 이호영 교수의 ‘지속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에코 시스템 파트너십’ 발표를 중심으로 의료의 디지털 생태계 구축을 위한 병원, 스타트업, 헬스케어 기업 파트너십의 비전 및 발전 계획을 공유하며, 120여 명의 국내 전문 의료진이 참석해 다양한 질의 및 의견을 나누면서 미래 헬스케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는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가 9월 29일부터 서울 코엑스(COEX)에서 성대하게 개막했다. 이번 주제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의료
KMI한국의학연구소(이사장 이상호, 이하 KMI)는 유연하고 긍정적인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 노사가 공동으로 추천하는 ‘KMI Good Friends상’을 신설해 시행했다고 29일 밝혔다. KMI는 선한 영향력으로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기여한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이번 포상제도를 도입했다.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의 공동 추천절차를 통해 KMI 전국 7개 검진센터와 재단본부 직원 등 총 9명이 선발됐으며, 지난 27일 수원센터에서 열린 ‘2022년 3분기 노사협의회’에서 시상식이 진행됐다. 이날 재단본부 정호영 수석, 박예진 과장, 본원센터 김주실 주임, 여의도센터 한송이 주임, 강남센터 임연진 부장, 수원센터 공숙경 부장, 대구센터 도유미 과장, 부산센터 이상엽 주임, 광주센터 임정민 과장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100만원과 ‘KMI Good friends 기프트 박스’가 수여됐다. 기프트 박스는 커피의 은은한 향기처럼 선한 영향력을 퍼뜨려달라는 의미를 담아 머그컵과 찻잔 세트로 구성됐다. KMI 이상호 이사장은 “선한 영향력으로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임직원들에게 감사하다”며, “상호 소통과 신뢰에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