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6텔MBE24!*직장인디비{'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6,47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 글로벌 여성 심사위원단 공개 런던 , 2023년 11월 23일 /PRNewswire/ --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브랜드 Häagen-Dazs는 2023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선구적인 업적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한 Häagen-Dazs의 여성 창립자 Rose Mattus를 기리는 '로즈 프로젝트(The Rose Project)'를 출범한 바 있다. 이 프로젝트는 Rose Mattus처럼 뛰어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한 여성들을 선정해 총 10만 달러의 상금을 지원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Häagen-Dazs는 Rose Mattus의 생일이기도 한 11월 23일, 뛰어난 업적을 이룬 50인의 여성 후보를 발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여성 5인으로 구성된 로즈 프로젝트 심사위원단을 공개하며 그녀의 유산을 기렸다. The Häagen-Dazs Rose Project announces Top 50 #WomenWhoDontHoldBack 전 세계 여성들의 선구적인 노력과 사회적 기여를
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의 유럽법인 (이하 마크로젠 유럽)이 미국 생명공학 전문지 ‘라이프 사이언스 리뷰(Life Sciences Review)’가 발표한 ‘2023년 생어 시퀀싱 서비스 기업(Top Sanger Sequencing Services Company 2023) Top 10’에 선정됐다. 라이프 사이언스 리뷰는 과학, 기술, 생물학 서비스 분야의 진보된 기술을 소개하는 글로벌 매거진으로, 한 해를 빛낸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매년 선정한다. 이번 수상은 마크로젠 유럽이 그동안 자사의 풍부한 유전체 분석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술을 주도해 온 것을 인정받은 것을 의미한다. 마크로젠 유럽은 2008년 설립 이후 3,000곳 이상의 유럽 및 아프리카 리서치 고객을 대상으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으며, 현재 9개 지놈센터에서 매주 25,000개 이상의 샘플을 처리하는 등 생어 방식의 시퀀싱(CES)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높은 처리량을 가진 대규모 시퀀싱 프로젝트를 처리하기 위한 NGS 설비를 자체 보유하고 2023년 세계 최대 유전체 분석 기기 업체인 일루미나의 노바식 X(NovaSeq X) 플랫
엔자임헬스(대표 김동석)가 11월 22일(수) 서울 세빛섬 플로팅 아일랜드에서 개최된 ‘2023 한국PR대상’에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3 자살예방 캠페인’ 프로젝트로 공공/공익캠페인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31회를 맞이한 한국PR협회의 ‘한국PR대상’은 매년 우수PR활동 사례 및 우수 실무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국내 PR 산업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 중 하나이다. 엔자임헬스가 기획 및 운영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3 자살예방 캠페인’은 우리가 충분히 지킬 수 있었던 13,352명(2021년 자살 사망자 수)의 생명을 지키지 못했다는 점에 집중해, 자살 예방에 대해 사회적 관심을 갖고 함께 행동할 것을 강조했다. 동시에 ‘13,352(2021년 국내 자살 사망자 수)+1393(자살예방 상담전화)=0’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자살 예방 상담전화 ‘1393’번을 널리 알리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자살예방 공익광고와 디지털 콘텐츠, 대중교통 및 야구장 옥외광고 등을 통해 ‘1393’ 콜센터 번호와 자살예방 수칙을 적극 홍보했다. 또한 청년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캠페인을 기획하기 위해 ‘같이 살자,
대한약사회 최광훈 회장과 김대업 대의원총회 의장이 11.21(화) 간담회를 갖고 내년 정기대의원총회 개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세부 운영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2024년 제70차 정기대의원총회’와 ‘총회산하 운영 및 예결위원회’ 개최 시기를 사전에 점검하는 한편 지난 총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정관 개정안 내용 중 보건복지부 감사 지적사항 등 반드시 개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개정 필요성과 세부적인 총회 운영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최광훈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약사회 최고 의결기구인 총회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신 의장단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집행부가 당면한 약사 현안을 단결된 힘으로 헤쳐나갈 수 있도록 대의원총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김대업 의장은 “대의원총회가 집행부와 대립이 아닌 상호 보완적 입장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약사회에 산적해 있는 현안 해결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총회 산하 운영 및 예결위원회는 1월 중에 개최하고, 보건복지부 감사 지적사항인 ‘회계연도 종료 2개월 이내 총회 개최’를 위해 제70차 정기대의원총회를 2024년
‘항생제 내성’은 전세계적으로 지금도 많은 사망자를 내고 있고 향후 큰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국내에는 7년째 관련 수가가 없는 등 미진한 측면이 있다. 현재 1,2차 병원에서는 시행되지 않고 있고, 상급종합병원에서도 별도의 보상이 없어 성장 동력을 잃고 있는 ‘항생제 관리 제도’의 활성화 필요성이 강조됐다. 질병관리청과 대한항균요법학회는 ‘2023 항생제 내성 포럼’을 11월 22일,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호텔에서 개최했다. 1부에서는 국내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항생제 스튜어드십, ASP)의 현황 및 발전 방향, 해외 제도와의 비교가 이뤄졌다. 현재 국내 의료기관의 항생제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KONAS(korea national antimicrobial use analysis system)는 현재 대한감염학회에서 관리·운영되고 있으며, 국가 관리 시스템으로 전환을 검토중이다. 이는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해 모니터링하는 체계인데, 자료 수집·분석에서 데이터 환류 시점까지 1~2년의 간극이 존재하고, 비보험 처방이 청구자료에 포함되지 않거나 중환자실의 항생제 사용량이 정확하게 반영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지적됐다. 2부는 ‘항생제 사용 관리전략
국내 발병률 높은 7대암의 온라인 정보의 48.6%는 광고성 컨텐츠로 나타나 암 관련 정보 검색시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종양내과학회와 대한항암요법연구회가 22일 제6회 항암치료의 날을 맞아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에서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암 치료 정보에 대한 신뢰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유경한 전북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와 윤호영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가 데이터 크롤링 방식과 데이터 마이닝 토픽 모델링을 이용해 신뢰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데이터 수집은 총 2차례 이뤄졌는데, 각각 ▲1차 데이터 수집은 9월 7~16일 동안 ▲2차 데이터 수집은 10월 13~20일 동안 네이버에서 상위 10개 검색페이지에서 나타나는 정보들과 구글에서 검색 시 나타나는 첫 페이지의 스크롤 허용 범위 내에 나타나는 정보들을 수집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회원가입을 해야 확인이 가능한 커뮤니티 게시글 ▲기간이 지나 삭제되거나 내용이 없는 글 ▲PDF·첨부파일 형태의 포스팅 글 등 내용 확인이 불가능한 포스팅은 제외됐으며, 이를 통해 네이버 598건과 구글 321건 등 총 919건의 게시글에 대한 신뢰
한국MSD가 지난 달 여성암 미디어세션에 이어 지난 22일 키트루다의 두경부‧소화기암종에서의 임상적 혜택을 확인하는 미디어세션을 개최했다. 이번에 소개된 적응증은 △MSI-H 또는 dMMR 전이성 직결장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암 △전이성 또는 재발성 두경부암으로, 이번 미디어세션에서는 한국MSD 의학부 심은결 상무가 강연을 맡아 진행했다. 심은결 상무에 따르면 MSI-H/dMMR 전이성 직결장암은 직결장암 환자의 6%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생존율이 높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기존 항암화학요법에 대해 반응률이 낮다. MSI-H/dMMR 전이성 직결장암 임상연구인 KEYNOTE-177에서 키트루다의 단독요법군과 항암화학요법은 무진행 생존기간이 16.5개월, 8.2개월이었으며 객관적반응률은 44%, 33%로 나타났다. 질병진행 위험도는 키트루다 단독요법에서 41% 감소한 가운데, 후속연구에 따르면 5년 생존율은 54.8%, 44.2%로 나왔다. 암이 상당히 진행된 후 증상이 나타나는 진행성/전이성 식도암은 전이 단계에서 진단을 받게 돼 5년 생존율이 5.7%인 등 경과가 좋지 않은 편이다. KEYNOTE-590 연구에 따르면, 키트루다 병용요법군과 항암화학요
변준수 서울의료원 영상의학과장 장인상*21일, *빈소 세브란스병원, *발인 11월24일, *(02)2227-7597
*21일, *빈소 전북대병원, *발인 11월24일, *(063)250-2451
-- 국제당뇨병연맹의 글로벌 연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72%가 시력 상실, 신경 손상, 심장 질환 등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앓고 나서야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뤼셀 , 2023년 11월 22일 /PRNewswire/ -- 11월 14일 화요일 세계 당뇨병의 날(World Diabetes Day)을 앞두고 국제당뇨병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이 실시한 글로벌 조사 결과 당뇨병 환자 10명 중 7명(72%)은 당뇨병 합병증이 발생한 후에야 당뇨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부분(94%)이 당뇨병을 앓는 동안 한 가지 이상의 당뇨병 합병증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당뇨병 관련 합병증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IDF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및 남미 지역에 거주하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당뇨병&nbs
정부가 마약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정부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마약류대책협의회를 개최하고, 회의 종료 직후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통해 ‘마약류 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불법 마약류 집중·단속 ▲의료용 마약류 관리체계 개편 ▲치료·재활·예방 인프라 확충 등 3대 분야와 9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보건의료와 관련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내년 6월부터 마약류에 중독된 의료인이 자신 또는 환자에게 마약류를 처방하지 않도록 의료인 중독판별을 제도화한다. 중독 판정된 경우에는 면허를 취소하고, 재교부 심의기준을 강화하며, 재교부 시 교육프로그램 이수 의무를 부여할 수 있도록 시행할 방침이다. 또한, 프로포폴과 식욕억제제 등 사회적 이슈가 있는 성분에 대해서는 처방량과 처방횟수 제한 및 성분 추가 등 처방금지 조치기준을 강화하며, 환자 본인여부도 반드시 확인하도록 해 사망자·타인 등의 명의로 의료용 마약류가 처방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한편, 병원 현장 이행여부도 점검한다. 더불어 정부는 환자가 타 병원에서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투약받은 이력을 의사가 반드시 확인하도록 의무화해, 환자의 ‘뺑뺑이 마약쇼핑’을 차
-- 2023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및 제65회 65th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nnual Meeting and Exposition에서 각각 오르세르두® (엘라세스트란트) 및 엘존리스® (타그락소푸스퍼즈)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공개 이러한 요법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잠재적 유익성에 대한 추가 이해를 제시하는 고형종양 및 혈액암 전반의 11개 발표와 관련된 데이터 포함 오르세르두 데이터는 ESR1 돌연변이가 있는 ER+, 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mBC) 종양에서 주요 역할을 강조하며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도출된 최초 데이터 제시 엘존리스 발표는 모구 형질세포양 수지상세포종양 환자에서 업데이트된 실제 임상 데이터 포함 이탈리아 피렌체 및 뉴욕, 2023년 11월 22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선도적인 이탈리아 제약-진단회사 Menarini Group(이하 "Menarini")과 암환자에게 변
2020년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는 국민의 건강과 보건 의료제도의 발전, 그리고 지역의료, 필수의료, 의학교육, 전공의 수련 체계의 발전을 위해 주요 의료 현안에 대해 대한의사협회와 의정 협의체에서 협의하고, 협의 없이 의대 정원을 통보하는 등 일방적 정책 추진을 강행하지 않을 것을 의정 합의했다. 이후 의료현안협의체와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의대 정원을 포함한 여러 의료 현안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일방적 정책 추진을 강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당초 합의와 달리 정부는 사실상 의대 정원 확대를 강행하고 있다. 전일 보건복지부는 의대 정원 확대 관련 전국 40개 의대 수요 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정부가 발표한 증원 수요는 2025년 최대 2847명, 2030년에는 최대 3953명에 이른다. 정부는 지금까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적정 의사인력 확충 방안 논의", "미래 의료수요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필요인력 수급 추계"를 강조해왔으나 그들이 부르짖는 과학적 근거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 정부는 이런 터무니없는 숫자를 토대로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는 것인가? 보건의료분야는 노동집약적 특성이 강해 정확한 의사 인력 수요 예측과 수
국립소록도병원과 국립나주박문관이 문화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한센병박물관 운영 활성화에 협력한다. 보건복지부는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이 국립나주박물관과 지난 21일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의 발전을 도모하고 협력 기반을 다지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국립나주박물관 협력망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한센병박물관 소장품 32건에 대한 보존처리를 지원한 것이 이번 협약의 계기가 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전시 및 소장품 대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별전과 문화예술사업 추진에 따른 홍보 확대 및 교육 체험 콘텐츠 등을 공유하해양 기관의 박물관 운영 활성화에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과 국립나주박물관은 협약의 목적 달성을 위한 제반 업무 및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 등을 상호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에스테틱 전문기업 디엔씨(DNC Aesthetics, 대표이사 유현승)는 콜라겐 스티뮬레이터(Collagen Stimulator) ‘볼라썸(VOLassom)’의 모델로 미스코리아 출신의 사내 임직원 김유리를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김유리는 2005년 미스코리아 대구 진(眞)에 선정된 것을 시작으로 2010년 tvN 연애 예능 러브스위치, 2022년 SBS 관찰 예능 미운우리새끼 등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넓힌 바 있다. 현재는 에스테틱 전문기업 디엔씨에 재직하며 동시에 뷰티 인플루언서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디엔씨 관계자는 “오랜 기간 뷰티 인플루언서로 활동하며 자신만의 독보적인 아름다움을 가꿔 온 김유리의 여성스럽고도 세련된 이미지와, 볼라썸이 대중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도회적인 아름다움이라는 브랜드 가치가 잘 맞아 모델로 선정하게 됐다”며 선정 배경을 밝혔다.향후 디엔씨는 모델 김유리와 함께 소비자 대상으로 전개될 각종 B2C(Business to Consumer) 마케팅 활동에 참여하고, 팜플렛 등 제품 홍보 자료의 모델로 활동할 예정이다.볼라썸은 생체 친화적인 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lcium Hydroxyapatite, CaHA) 입자로 만들어진칼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 부지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결과, 문화재 조사로 인한 지연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의료원은 국방부 주관 한국환경공단 위탁사업으로 추진됐던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 부지(서울 방산동 70번지 일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에 대해 지난 10월 30일 문화재청으로부터 완료 조치를 통보받았다고 22일 밝혔다. ‘문화재 정밀발굴조사’는 신축‧이전사업 부지가 4대문 안 매장문화재 유적 보존 조치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문화재청으로부터 건설공사 발굴허가를 받기 위한 필수 절차로, 지난 2022년에 시행된 시굴조사 결과에 따라 전체 부지(41,270㎡)의 약 30%(12,873㎡)에 해당되는 면적에 대해 올해 1월 착수해 10월까지 진행됐다. 발굴조사 결과, 조선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2개의 문화층이 확인됐으며, 조사과정에서 근·현대 건물지 및 조선시대 건물지 등의 유구와 일본자기, 조선시대 백자·분청사기 등의 유물이 발견됐다. 발굴된 유물·유구는 5차례에 걸쳐 개최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현장 내 보존이 아닌 기록보존하기로 결정돼,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사업은 문화재 조사로 인한 지연 없이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국립중앙의료원은 전
가천대 길병원(병원장 김우경)이 최신 4세대 로봇수술기 ‘다빈치Xi’를 추가 도입하고 고난도 영역에서 정밀 수술역량을 한단계 높였다. 가천대 길병원은 21일 고화질 3D 영상과 기존 복강경 대비 10배로 확대된 시야, 그리고 자유자재로 회전하는 로봇팔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최신의 4세대 ‘다빈치Xi’를 추가 도입하고, 기념식을 암센터에서 개최했다. 로봇수술은 정교하고 섬세한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후 흉터가 작고, 회복이 빠른 것이 장점이다. 환자의 상처, 통증, 출혈이 적고 입원 기간 단축과 합병증 발생 위험 감소 그리고 빠른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하다. 특히 가천대 길병원은 지난 2019년 로봇수술센터 개소와 동시에 다빈치Xi를 도입 및 운영하며 빠른 시간 내 로봇수술 1천례를 달성한 바 있다. 로봇수술센터 개소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고난도 수술 영역에서 총 1400여 건의 로봇수술이 이뤄졌다. 로봇수술의 진료과별로 현황으로는 미세한 신체 구조가 많은 비뇨의학과에서 총 793건으로 전체의 57.46%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이뤄졌다. 이어 외과가 420건(30.43%) (갑상선 334건(24.2%), 대장항문 24건(1.73%), 간담췌 25건(1.81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 산하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연구회장 장관영)은 ‘2023년도 제1회 세미나’를 오는 11월 29일(수) 수원컨벤션센터 105+106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약조합과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가 공동 주최하고 신약조합 산하 마이크로니들융합연구회가 주관하는 “2023년도 제1회 세미나”는 최근 마이크로니들이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차세대 약물전달 기술로 주목받는 가운데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한 융합 제품 시장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마이크로니들 융합 제품의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 동향 및 발전 방안을 공유하고 시장 확대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장관영 연구회장의 인사말과 동국대학교 식품·의료제품 규제정책학과 서경원 석좌교수(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 마이크로니들 융합 의약품의 확장성 및 발전전략(㈜커서스바이오 장관영 전무), △ 마이크로니들 의약품 연구개발 및 품질 평가(단국대학교 제약공학과 진성규 교수), △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과 향후 시장 전망(㈜스몰랩 이정규 대표이사), △고용량 生백신의 피내 정량전달을 위한 코팅 마이크로니들 플랫폼(㈜에스엔비아
서울시약사회(회장 권영희) 동물약품위원회(부회장 우경아, 위원장 김은아)는 12월 16일 오후7시 대한약사회관 4층 강당 및 줌웨비나로 ‘하루에 끝장내는 동물약 임상투약법’ 교육을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교육에는 약국 동물약품 선구자로 유명한 임진형 약사를 초청해 다빈도 동물약과 동물약품 조제에 관한 노하우를 주제로 90분간 심도 있는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신청은 금년 회원신고를 완료한 회원에 한하며, 21일부터 온라인 접수 사이트(https://vo.la/qRcAP)를 통해 접수받는다. 수강료는 2만원이다. 권영희 회장은 “반려동물은 이제 우리 사회의 소중한 가족 구성원으로 자리 잡았다”며“이번 교육을 통해 약사들이 반려동물의 다빈도질환에 대한 조제 노하우를 배우고, 약국 현장에서 반려동물과 보호자들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은아 동물약품이사는 “이번 교육을 통해 회원들이 반려동물의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 “강의 열기로 가득 찰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 소통위원회(위원장 이향란)는 약사사회 및 약국생활 현장에서의 ‘소통’과 ‘공감’을 주제로 「소통Talk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날 ‘소통의 날‘ 콘서트는 방송과 블로그 활동이 활발한 이지향 약사와 유튜브 ‘약들약’ 고상온 약사의 소통 특강이 진행되며, 최광훈 회장과의 소통을 통한 현안 관련 소통의 장도 마련된다. 최광훈 회장은 “회원분들도 아시는 바와 같이 가족 및 지인은 물론 각자의 일터에서도 소통의 가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소통을 보다 생활 가까이에서 원활하고 의미있게 나누는 방법에 대해 많은 회원이 함께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향란 소통위원장은 “콘서트를 통해 약국과 생활 현장에서 소통을 통한 공감대 형성 방안과 소통방안으로 SNS 활용법에 대해 많은 도움이 되실 것으로 기대된다.”며, 많은 회원분들의 참여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