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각막내피세포 이식술이 개발됐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은 안과병원 황호식 교수 연구팀이 기증자의 데세메막(Descemet membrane)을 두 개의 캐뉼라를 이용해 ‘더블 롤’ 형태로 변환하는 새로운 술기를 발표했다고 12월 17일 밝혔다. 전통적인 전층각막이식은 각막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혼탁한 각막의 전층을 잘라낸 후 기증각막을 봉합)이지만, 최근 각막내피세포 이상 치료에는 DMEK(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수술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DMEK는 각막난시, 녹내장 발생 확률, 거부반응 위험을 줄이고 수술 후 시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데세메막의 두께가 약 10μm에 불과해 다루기 어려우며 수술 과정에서 내피세포 손상 위험이 크고, 특히 데세메막을 펼치는 과정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황 교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수술 방식을 개발했다. 기증 각막의 데세메막을 수혜자의 눈에 삽입하기 전, 두 개의 캐뉼라를 이용해 ‘더블 롤’로 변환하고 이를 삽입 후 바로 펼치는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수술 과정에서 기증 각막의 데세메막을 트립판 블루 염료로
당뇨환자의 각막이 일반인보다 경직됐다는 생체역학적 인자가 재확인했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은 안과병원 정윤혜 교수, 온경 임상강사 연구팀이 최근 도입된 각막의 생체역학적 요소를 고려한 안압측정장치 ‘동적 샤임플러그 분석 장비(Corvis ST)’로 정상군 230안, 당뇨환자군 35안을 대상으로 각막생체역학인자를 비교 분석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당뇨 유무가 전체 안구 운동값(Whole eye movement)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당뇨군이 정상군보다 각막생체역학인자 중 WEM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당뇨 환자군의 생체 역학적 변화는 당뇨 유무 뿐 아니라 고혈당증 또는 당화혈색소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경 임상강사는 “안압은 녹내장의 중요 예후 인자이며 안압조절은 필수”라면서 “당뇨 환자에서 각막 경직도가 높은 것이 안압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이런 요소들을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안압 측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윤혜 교수는 “보다 정확한 안압 측정 뿐만 아니라 당뇨 환자에서 보이는 경직도 차이가 높은 녹내장 발생률에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본 연구는 국제
각막 알칼리 화상 치료에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약제의 치료효과가 입증됐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은 나경선 교수 연구팀(박선경 임상강사)이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점도, 소수성의 특정을 변화시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각 막 알칼리 화상에 대한 치료 효과와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분석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생후 7주령 수컷 21마리의 21안을 알칼리 손상을 입힌 뒤 ▲치료하지 않은 군, ▲히알루론산 안약을 처치한 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처치한 군 등 세 개 그룹으로 분류, 각 군에 대해 각막 재상피화, 혼탁, 신생혈관, 두께 및 조직을 평가했다. 또한, 약물 전달체로써의 실제적인 활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투명도 평가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로 치료한 각막은 알칼리 화상을 입힌 후 치료하지 않은 각막에 비해 화상 후 1, 2, 4, 7일 째 각막의 재상피화가 더 우수했으며, 중등도 이상의 각막신생혈관이 더 낮은 비율로 확인됐다. 세포조직 평가에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로 치료한 각막은 치료하지 않은 군에 비해 염증세포의 침윤이 상대적으로 적고 치밀한 실질의 구조를 보였으며, 면역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