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중증 응급환자를 중점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 14개소를 지정했다.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역량 있는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중증 응급환자(KTAS 1-2등급) 치료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정한 것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의 부담을 줄이고 국가 전체적인 중증 응급환자 치료 역량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보건복지부는 지역응급의료센터 중 허가병상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중 신청한 35개 기관을 대상으로 인력 구성과 진료역량 등에 대한 평가를 거쳐 총 14개소를 지정했다. 이번에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의료기관으로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 이대 서울병원, 노원을지대병원 ▲인천: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경기: 한양대 구리병원, 인제대 일산백병원, 부천세종병원 등이 지정됐다. 비수도권의 경우, ▲부산: 인제대 부산백병원 ▲울산: 동강병원 ▲충북: 한국병원 ▲충남: 아산충무병원 ▲전북: 대자인병원 ▲경북: 동국의대 경주병원 ▲경남: 창원한마음병원 ▲제주: 제주대병원 등이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됐다. 신청기관이 없는 대구, 광주, 대전, 세종, 전남은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가 미지정됐다.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환자이송-전원-최종치료로 이어지는 통합형 뇌혈관 응급환자 전달체계가 취약하다는 지적과 함께 지역완결형 급성심뇌혈관질환 응급환자 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개선점이 제시됐다.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이 15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서울대병원 연합 공공의료 심포지엄에서 대한응급의학회 류현욱 정책이사는 “환자이송-전원-최종치료로 이어지는 통합형 뇌혈관 응급환자 전달체계가 취약하다”면서 “뇌혈관 응급의료에 관해서는 응급·신경·신경외과 전문의-119구급대·상황실-의료지도의사들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시스템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병원 전 단계에서부터 이송, 치료까지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준지침과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 류 이사는 “뇌졸중 선별검사를 통해 이송 실패 없이 적정 치료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선 구체적인 대응지침이 119구급대 현장응급처치 표준지침에 포함돼야 한다”며 “급성기 뇌졸중 환자 병원 이송지침이 개발돼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이고, 이것을 좀 더 현실화되게 적용하고 지역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도록 하는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현재 인력 수준으로 높은 수준의 의료지도까지 담당하기 어려운 점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