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보건소 직원들의 업무가 가중되면서 여러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질적인 인력 부족에 대한 해결방안들이 제시됐다. 19일 한국일차보건의료학회 등 보건의료단체와 중앙대 지역돌봄연구소,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이 온라인으로 공동주최한 ‘보건소 코로나19 대응 현황 및 과제 토론회’에서 역학조사나 선별진료소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는 보건소 현장의 어려움과 함께 보건소 기능 개편에 부합하는 조직과 인력 및 운영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건강증진사업, 대민업무, 만성질환 관리업무, 진료업무, 취약계층 돌봄업무 등 현재 보건소의 많은 업무가 50% 이상 코로나19 판데믹으로 중단됐다. 하지만 행정업무는 고스란히 계속되고 있거나, 새로운 업무가 가중된 상태. 이와 관련해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장숙랑 교수는 보건소 직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코로나19 1년간의 업무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1000명 중 86.2%가 선별진료소를 한 번쯤은 거쳐봤고, 코로나19 관련 업무를 3개 이상 경험한 사람은 약 38%에 달했다. 문제는 1~2개의 전문적인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한 것이 아닌 여러 업무를 그때그때
코로나19 최전선에서 일하는 의사와 간호사, 역학조사관, 보건소 공무원 등 의료진과 현장대응팀의 육체적·정신적 피로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매번 전문가들이 강조해왔던 의료진 피로도 누적 문제가 현실화된 것이다.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지난 7월 21일부터 29일까지 의료·현장대응팀 621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2차 위험인식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지난 6월 1차 조사결과 발표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조사영역은 ▲스트레스 ▲신체·정신건강 ▲업무의지와 책임감 ▲업무환경 등이다. 먼저 코로나19 업무로 인한 울분 경험을 묻는 질문에 69.7%가 울분을 경험했고, 역학조사관 등 현장대응직에서 8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울분의 이유를 살펴보면 ▲낮은 연차 중심으로 근무 투입 등 불공정한 업무 분배(25.4%) ▲감정적, 억지 민원(19.6%) ▲비민주적인(독단적인) 의사결정(16.2%) ▲부당한 취급과 (차별)대우(12.7%) ▲불충분, 불공정한 보상(7.7%) 등이 주를 이뤘다. 또 10명 중 7명 이상의 치료·방역 인력이 코로나19 업무 강도를 높게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