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욱 대한의사협회 전 의료정책연구소장(사진)이 21일 경상남도의사회가 △자신에 대해 음해성 문건을 게시했다며 △공식사과를 요구하면서, △공개사과하지 않으면 법적으로 대응하겠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경상남도의사회는 21일 의협 홈페이지 플라자에 ‘의료정책연구소의 해명을 요구합니다.’라는 게시물을 통해 최재욱 전 소장이 불합리한 혹은 부정적인 재정운영 등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재욱 전 소장은 “의협 플라자에 게시하기에 앞서 사실관계 확인이나 의료정책연구소에 해명을 요구하는 절차가 없었다. 특히 경남의사회 문건은 순수한 목적에서의 문제제기가 아닌 악의적인 헐뜯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공개사과 방식에 대해서는 정기대의원총회 석상에서, 혹은 언론을 통해서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음해성 게시물의 건 건에 대해 반박했다.
경남의사회는 의협 플라자 게시물에서 “의료정책연구소가 의협에 대한의사협회지의 논문 게재료로 매년 3천만원을 지급했다. 이는 아마도 전무후무한 불합리한 혹은 부정적인 재정운영의 대표적인 예로서 지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최재욱 전 소장은 “매년 3천만원이 연구소 재정에서 의협으로 건너간 것은 지난 경만호 집행부 때부터 협회 재정이 어려워 연구소에서 도와주는 차원에서 관례적으로 지속된 것이다.”라고 반박했다.
경남의사회는 “대한의사협회지 의료정책 세션이 갑의 위치에 있는 의료정책연구소 연구원 및 소장의 연구실적을 위한 논문게재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재욱 전 소장은 “대한의사협회지에는 교수들이 논문을 쓰려들지 않는다. 더욱이 대한의사협회지에는 의료정책관련 논문이 너무 적어서 이를 독려하느라 힘들었다. 마침 2015년에는 메르스 사태 관련 게재 논문이 늘어 평소 1~2개에서 6개로 늘었다. 칭찬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비난을 받게 됐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나.”라고 반박했다.
경남의사회는 ‘원격의료체계 기술적 안전성 평가’라는 연구용역을 최재욱 전 소장이 몸담고 있는 고려대학교에 준 것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재욱 전 소장은 “원격의료 저지를 위한 긴급한 대응 논리가 필요하다는 집행부의 요구에 의해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이경호 교수에게 기술적 안전성 및 경제적 피해산출을 의뢰했다. 집행부 상임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추진된 것이다.”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재욱 전 소장은 “대부분의 교수들은 정부 정책에 반하는 연구용역을 하지 않으려 한다. 그럼에도 이경호 교수가 맡아 준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경남의사회는 “용역을 줄 당시에 상임이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을 했고, 논문에 교신저자도 아닌 공동연구자로 등록이 됐다. 논문에 표시된 최재욱 소장의 소속을 의료정책연구소 외에도 고려대학교 예방의학교실과 본인이 소장으로 있는 환경의학연구소를 포함해서 본인의 학교 실적의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재욱 전 소장은 “대한의사협회지는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일 뿐 SCI 논문이 아니다. 대학교수로서 SCI 논문 이외에는 평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연구소 조장으로서도 협회 내 평가에 반영조차 되지 않는다.”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