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녹십자, 올 1분기 주요제약사들 중 정부보조금 최다 수령

한미약품 비롯해 동아ST, 대한뉴팜, 팜젠사이언스 등 정부보조금↑

2024년 1분기 녹십자가 가장 많은 정부보조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제약사들의 1분기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위 50개 제약사들 중 20개 제약사들의 정부보조금 수령현황이 확인됐다. 이들 제약사의 올 1분기 정부보조금 수령 규모는 약 11억원이었다.


정부보조금 수령현황을 공개한 상위 5개 제약사들 중 한미약품은 올해 1분기 연구개발비용 466억 규모 중 2억 3300만원이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에는 32억 700만원, 2023년에는 11억원을 정부보조금으로 받았다.

종근당은 2024년 1분기 325억원의 연구개발비용 중 약 3300만원이 정부보조금으로 확인된 가운데, 2023년에는 1512억원 중 4억 8200만원, 2024년에는 1813억원 중 12억원 5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수령했다.

또 녹십자는 1분기 연구개발비로 379억원을 사용한 가운데 정부보조금으로는 3억 3900만원을 지출했다. 2023년에는 연구개발비 1953억원 중 29억원, 2022년에는 2136억원 중 59억원이 정부보조금이었다.

대웅제약은 2024년 567억원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했으며, 이 중 1억 2100만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았다. 2023년 정부보조금은 35억원, 2022년 정부보조금은 7억 6900만원이었다.

제일약품은 2024년 1분기 연구개발비용 120억원 중 정부보조금이 8800만원이었다. 2023년에는 2억 8100만원, 2022년에는 20억 99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수령했다.

녹십자나 한미약품 외에도 정부보조금을 많이 받은 제약사들도 있었다. 동아에스티는 올 1분기 연구개발비로 411억원을 투자했는데, 이 중 2억 4500만원이 정부보조금이었다. 2023년과 2022년에는 52억 47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팜젠사이언스와 대한뉴팜은 1분기 정부보조금으로 2억 4200만원을 받았다. 대한뉴팜은 1분기 연구개발비용이 20억 1100만원이었으며, 2023년에는 6억 9300만원, 2022년에는 2억 99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사용했다.

팜젠사이언스는 2024년 1분기 연구개발비용이 19억 6400만원이었으며, 2023년 연구개발비는 6억 6900만원, 2022년 연구개발비는 3억 9000만원으로 확인됐다.

에스티팜은 연구개발비를 가장 많이 반환한 제약사로 확인됐다. 2024년 1분기 정부보조금은 연구개발비용 53억원 중 -4억 2200만원이었으며, 2023년에는 24억 7500만원을, 2022년에는 12억 1800만원을 연구개발비로 수령했다.

휴메딕스는 2024년 1분기 연구개발비용 18억원 중 6400만원의 정부보조금을 반환했다. 휴메딕스의 2023년 정부보조금은 -2억 9000만원, 2022년 정부보조금은 -8억 6400만원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