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헬스데이터 2006 GDP 의료비 약제비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1인당 1619만원을 벌어 1.5% 수준인 25만원을 약값으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2004년 기준).
또한 OECD 국가 평균 1인당 3459만원 소득에서 1.5% 수준인 51만원을 약값으로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지표는 우리 국민의 GDP 대비 약값 부담이 OECD 평균 수준임을 나타낸다.
이는 우리나라 1인당 GDP가 OECD 평균의 47%이고, 1인당 약제비는 OECD 평균의 49% 수준인 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1인당 의료비는 GDP의 5.6%인 90만원을 지출, 이는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OECD 평균 지출액은 1인당 GDP의 9.4%인 324만원이다.
우리나라는 이같이 OECD 평균 수준인 약제비와 달리 의료비가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의료비 대비 약제비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총의료비 대비 총약제비 비중은 27.4%로 OECD 평균 16.7%보다 10% 포인트 높다.
이처럼 의료비에서 약제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또 다른 이유는 우리나라가 OECD에 보고한 약제비 항목에 3조1000억원에 이르는 한방보약과 기타의료소모품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제외하면 약제비 비중은 20.7%로 낮아진다
제약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1인당 의료비’와 ‘1인당 약제비’ 수준은 고려하지 않고 유독 ‘총의료비 대비 총약제비’ 수치에만 주목해 약제비 절감정책 추진의 근거로 삼고 있어 약제비 비중이 높을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한 연세대 보건행정대학원 정형선 교수는 “국민의료비 중 약제비 비중 등을 가지고 의약품에 대한 물량적 소비 정도를 추정하려면 국가별 약품 구매력지수, 그리고 DDD(Defined Daily Doses)와 같이 물량규모를 단위로 하는 약품 소비량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밝히 바 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