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티브코리아(Vantive Korea, 대표 임광혁)는 재택 복막투석 인식 증진 및 투석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응원하기 위한 사내 행사를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밴티브는 70여년간의 신장 치료 혁신을 이끌어 온 생명유지 장기 치료 기업이다.
이번 사내 행사는 국제신장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Nephrology, ISN)와 국제복막투석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Peritoneal Dialysis, ISPD)가 2024년 9월 공동 서명한 국제 가정 투석 컨소시엄(International Home Dialysis Consortium(이하 IHDC)) 선언문의 취지에 공감해 기획됐다.
IHDC 선언문은 말기콩팥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건의료 형평성을 확대하기 위해 환자와 의료진, 정책결정자, 학계 및 산업계가 협력해 재택 투석 확대를 실현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만성콩팥병은 전 세계적으로 약 8억 5천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이 중 약 400만명이 투석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투석의 유형에는 복막투석(PD)과 혈액투석(HD)이 있으며, 복막투석은 주로 환자가 수면 중 가정에서 시행하며, 혈액투석은 대개 병원에서 진행되나 가정에서도 진행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약 4.5%의 말기콩팥병 환자가 가정에서 시행하는 복막투석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복막투석을 선택하는 비중이 글로벌에서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이며, 복막투석 비율이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반면, 홍콩에서는 약 67.9%의 환자가, 캐나다·태국·덴마크 등 다른 국가에서는 20%의 환자가 복막투석을 시행하고 있다.
가정에서 복막투석을 진행하는 환자는 병원에 월 1회가량 방문하고 개인의 일정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학업이나 경제 생활의 지속이 가능하다. 친환경 투석(Green Dialysis) 측면에서도 복막투석은 혈액투석 대비 투석 시행 시 물 사용량이 5배 이상 적어 보다 지속 가능한 투석 옵션으로 평가된다.
선언문은 환자들에게 모든 신대체요법 옵션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고, 의료진과의 공유의사결정을 통해 환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투석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료 전문가에게는 재택 투석 관련 교육을 충분히 제공하고, 정책적 지원 역시 필수적이라고 명시했다. 더불어 정책결정자 및 산업계에는 각국의 보건의료 환경에 맞춰 실현 가능한 전략을 수립하고 재택 투석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는 등 환자 중심 치료를 위한 각 이해관계자의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명시했다.
밴티브코리아는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발맞춰 신장 관리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만성콩팥병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다양한 치료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나의 투석이야기(My Kidney Journey)’ 웹사이트를 통해 환자들에게 투석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신장학회와 협력해 재택 복막투석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의료진 교육 과정을 개발하여 의료진의 재택 투석 전문성 강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밴티브코리아는 디지털 솔루션을 활용해 환자들이 가정에서 복막투석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치료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디지털 환자 관리 플랫폼 ‘셰어소스(Sharesource) 커넥티비티 플랫폼’과 복막투석 환자 모바일 치료 관리 앱 ‘마이피디(MyPD)’는 환자와 의료진 간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재택 투석의 치료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밴티브코리아 임광혁 대표는 “IHDC 선언문에서는 말기콩팥병에 있어 환자 중심 치료를 위해 재택 복막투석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환자가 재택 투석의 치료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정부, 학계, 산업계가 다방면에 걸쳐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밴티브도 IHDC 선언에 의미를 되새기며 말기콩팥병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재택 복막투석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