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는 지난 9월 1일 ‘국가 위암검진 권고안 개정 공청회’를 열고, 국제 표준 방법론을 적용해 10년 만에 개정된 국가 위암검진 권고안을 공개·검토했다고 16일 밝혔다.
그간 국가위암검진은 위암생존율이 세계 최고 수준을 이루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국가 위암검진 권고안은 2001년 국립암센터와 관련 학회가 공동으로 처음 개발한 이후, 2015년 한 차례 개정됐으며, 이번 개정은 10년 만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동안 축적된 과학적 근거와 변화된 의료 환경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권고안은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GRADE (권고 평가·개발 등급화 기준) 방법론을 적용해 개발됐다. GRADE는 세계보건기구(WHO), 코크란(Cochrane) 등 주요 국제기구 및 연구단체에서 채택한 가이드라인 개발의 표준 방법론 중 하나로, 근거의 확실성과 질, 이익과 위해를 고려하여 권고를 도출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다.
개정위원회는 GRADE 방법론에 따라 ▲체계적 문헌 검색과 선별 ▲근거의 확실성 평가(높음/중등도/낮음/매우 낮음) ▲이익과 위해의 균형 검토 ▲환자의 가치와 선호도 반영 ▲자원 사용 ▲권고의 강도 결정(강한 권고/선택적 권고) 등의 엄격한 과정을 거쳐, 국내외 6,800여 편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과학적 권고안을 투명하게 도출하였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위내시경을 검진 방법으로 권고 ▲검진 권고 연령은 40세부터 74세까지 ▲위내시경 검진 주기 2년 설정 ▲위장조영촬영 검사에 대해서는 제한된 상황에서만 시행 등이다.
공청회에는 의료계, 언론계, 건강보험공단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 패널 토론에는 대한검진의학회 윤중원 총무이사, 대한복부영상의학회 이동호 진료지침이사, 대한소화기학회 정현수 학술위원, 대한위암학회 류근원 이사장, 중앙일보 신성식 국장 등이 패널로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주요 논의 내용으로는 위내시경 검진에서의 질 관리 방안, 고연령층에서의 검진 방안, 고위험군에 대한 검진 전략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특히 한국의 우수한 의료 환경과 위내시경의 효과성을 바탕으로, 향후 국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위암검진 표준을 제시했다는 데 전문가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개정위원회 최일주 위원장은 “이번 권고안은 기존 권고안을 기반으로, 방대한 문헌 검토와 메타분석, 시뮬레이션 모델링 분석, 한국인 대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번 개정은 한국 의료의 선진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한국에서 선진적으로 도입한 위내시경 검진의 효과를 주요 근거로 한 권고안”이라고 말해 기대감을 전했다.
개정 권고안은 추가 검토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향후 근거 기반 국가암검진 정책 수립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암센터는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권고안을 계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