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지역 흉부외과 수련, 사실상 붕괴…“필수의료법 이상의 대책 필요”

국립대병원 17개 중 흉부 전공의 수련하는 병원 52.9%…수도권·빅5 집중 가속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이하 ‘흉부외과학회’, 회장 정성운, 이사장 강창현)는 2025년 9월 전공의 현황분석을 통해 2023~2025년 의–정 갈등의 여파로 지역 흉부외과 수련 시스템이 사실상 붕괴 단계에 들어섰고, 그 결과 전문의 공백이 가속되며 국민 생명·안전에 경고등이 켜졌다고 밝혔다.

강창현 이사장은 “수년간 학회가 앞장서 재건에 매달린 결과 2023년에는 20년만에 전공의 지원자가 40명대로 회복돼 반등을 기대했으나, 갈등 이후 필수의료 기피가 심화되면서 지역 전공의 이탈·미복귀가 이어져 지역 수련체계는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적 특단책 없이는 재도약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필수의료법안이 논의 중인 현시점, 2025년 전공의 현황은 의–정 갈등이 수도권 외 지역의 수련 기반을 직접 파괴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이 추세가 지속되면 지역 심혈관센터·폐암수술 등 중증·응급진료의 연속성이 붕괴하고 환자 사망·합병증 위험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논의하고 있는 필수의료법만으로는 이미 붕괴된 지역기반을 복구할 힘이 부족하므로, 법 이상의 비상대책·국가 실태조사·즉각 지원이 즉시 가동돼야 한다”고 밝혔다.

흉부외과학회 분석에 따르면, 갈등 이후 전국 전공의는 36.5% 급감했다(1년차 −28.6%, 2년차 −42.1%, 3년차 −29.4%, 4년차 −41.7%). 전공의 가동률은 63.5%에 불과하다. 이는 수련 질 저하와 단기 공백을 넘어 2022년부터 진행된 전문의 자연감소를 가속시켜 ‘유입 < 유출’ 구조를 고착했고, 연간 순감 전문의가 10~20명 → 30~40명 수준으로 확대시켰다. 

그 결과 중증·응급 진료 역량 붕괴와 국민 건강의 중대한 위험이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다. 의–정 갈등의 폐해를 차단할 즉각적인 국가 대책과 실질적 자구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 전공의 감소는 더욱 심각하다. 강원·충북·제주는 전공의 0명인 ‘수련 공백지’ 상태가 지속되고, 전통적 수련권이던 대구·경북(−70%)·부산·울산·경남(−62.5%)·전남·광주(−66.7%)에서 대규모 유출이 발생했다. 그 결과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서 1~4년차가 모두 갖춰진 수련병원은 전무해졌다. 특히 해당 권역의 대표 수련병원들이 연차별 교육 기능을 상실하며 전통적 수련체계의 붕괴가 확인됐다. 이는 비수도권 야간·응급 수술 라인 유지와 교육 인증을 동시에 위협하고, 지역 우수 인력 유출을 가속하는 구조적 붕괴를 의미한다.

전국 수련병원 상황은 이미 임계치를 돌파했다. 심장수술 시행하는 89개 병원 중 전공의가 한 명이라도 있는 곳이 28→21곳으로 줄어 현재 76%(68곳)이 전공의 ‘제로’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5→3), 부산·울산·경남(4→2)에서만 4곳이 전공의를 상실하며 지역 수련 허브가 정지했다. 

상급종합병원 중 심장혈관흉부외과 전공의가 있는 병원 비율은 44.7%(21/47)에 불과하고 국립대학병원 17개(분원 포함) 중 흉부외과 전공의가 수련하는 병원은 52.9%(9/17)에 불과하다. 상급종합병원 및 국립대거점병원 모두에서 흉부외과 수련기능이 광범위하게 소실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지역거점의 필수의료 강화가 흉부외과 분야에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다년차 수련이 시행되는 병원은 14→9곳으로 급감했다. 수도권 이외는 3곳(부울경 1, 대전·충남 2)만 다년차 수련이 시행되고 있으며, 대구·경북·전남·광주 권역은 다년차 수련 병원은 0곳이다. 결과적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다수 권역에서 1–4년차를 모두 갖춘 수련병원은 사실상 전무하고, 다수 병원이 ‘1인 전공의 병원’으로 전락해 대체 불가한 흉부외과 분야의 야간·응급 수술 라인과 교육 인증이 동시에 무너지고 있다.

수련과 전문의 공급의 축이 수도권으로 급격히 쏠리는 현상이 가속화됐다. 서울·경기 비중 74%→79%, 지역 26%→21%으로 증가해 그동안의 ‘지역 전공의 수련 → 빅 병원 전임의 수련 → 지역 복귀’라는 인력 순환 사다리는 사실상 단절됐고, 수도권·과밀·과로의 악순환, 지역은 인력의 일방향 유출만 남았다. 지역 중증 진료의 지속 가능성은 급속히 저하되고 있다.

의–정 갈등은 흉부외과 인력·수련의 공급을 사실상 멈추게 했다. 전공의 36.5% 급감, 전공의 보유 수련병원 28→21개(−25%), 다년차 수련병원 14→9개(−35.7%), 서울·경기 79% / 빅5 68%로의 집중 심화는 지역 수련·재생산 기능의 소멸 단계를 의미한다. 이미 거점 기관이 능력을 잃은 상태다. 현 상태에서 추진되고 있는 책임·거점의료기관 지정이나 일반적 필수의료 대책만으로는 효과가 미미하다. ‘은퇴 > 신규’ 구조적 선감(연 −30~40명)은 이미 고착화되었다. 심혈관·폐암 등 중증·응급 치료의 지역 붕괴 구조적 변동이 현실이 되고 있다.

흉부외과학회는 “현재의 긴박한 상황을 인식하고 정부와 의료전문가들이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긴급한 비상대책을 논의할 것을 제안한다” “의–정 갈등의 여파가 가장 약한 고리인 지역과, 필수의료를 강타했고, 자력으로 넘어서기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국가적 대책이 필요하다.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아 필수의료법 이상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