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최신일반병리학, (5th) : 병태생리학( I )

김창종, 서병세

최신일반병리학, (5th) : 병태생리학( I )  

 

  자 : 김창종, 서병세

 

출판사 : 신일상사 

 

발행일 : 2006-02-21

 

  형 : 19.0 x 25.7 x 2.6

 

페이지 : 518

 

  가 : 30,000원

 

우리나라 정부는 2009년부터 미국식 약학교육(2+4년제)으로 학제를 변경시키기로 결정하여, 이미 미국식이 도입된 의학전문대학원교육(4+4년제)과 더불어 전문의료인 교육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약사는 환자의 정보로부터 약물치료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복약지도를 철저히 수행할 수 있는 약사 또는 병동약사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병태생리학을 이해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게 되었다.

 

미국에서도 환자지향적 약학을 「임상약학」이라고 지칭하던 것이 「병태생리와 약물치료학」으로, 나아가 「약물요법학」및 「약료학(pharmaceutical care)」으로 부르고 있으며, 하루가 다르게 병리기전과 약물개발이 진전되면서 의학에서는 약학지식을, 약학은 의학지식을 공유하면서 환자에게 서비스하는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매년 「Current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Tierney L. A. 등이 저술)」을 구독하고, 또 필수적으로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roach(Dipiro, J. T. 등이 저술」,「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s」,「Robinso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등을 참고하여 교수하고, 그를 토대로 개정하였다.

 

저자가 1988년에 초판을 발행한 「병태생리학, (부, 진단?치료)」에서는 제1부 일반병리학, 제2부 병태생리학 총론, 제3부 병태생리학 각론으로 구성되었으나, 어언 20년을 넘기면서 그 동안 의?약학이 눈부시게 발전하였던 것을 수집?보완하여 5개정판을 발간하게 되었다. 「병태생리학 5개정판」에서 병태생리학(I)은 일반병리학으로 서론(기본개념), 세포상해와 적을, 염증, 유전질환, 종양, 면역질환, 환경영양질환 등을 취급하고, 병태생리학(II)는 비특이적인 일반증상?증후와 각 장기계 질환을 취급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 책은 약학을 연구하는 약학대학 학생이나 대학원생 및 신약을 개발하는데 관여하는 제약회사의 개발부 또는 학술부의 약사에게는 필독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나아가 의약분업에서 병동약사 뿐만 아니라 개업중인 약사가 환자에게 조제투약 및 복약지도 과정에서 양질의 약물요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이론을 터득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으므로 필독해야하는 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