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연대는 새 정부가 예정대로 보건복지가족부 수장에 김성이 후보자를 장관에 임명하자 국민여론과 국회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건강연대는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임명자에 대해 그동안 도덕적 흠결과 자질문제를 지속적으로 지적하며 사퇴를 촉구해왔다.
건강연대는 김성이 장관 임명에 대해 “비록 장관임명권이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국민에게 위임받은 것으로서 국민여론과 국회 인사청문회를 무시하는 이번 인사 강행은 어떤 변명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비난했다.
김성이 장관은 이미 인사청문회와 언론을 통해 논문 중복게재와 책 표절, 미국 국적 자녀의 건강보험 수정수급, 부동산 이면계약서 및 임대수익 축소신고, 5공 정화사업 훈장, 공금 유용 등 각 종 편법․탈법 사례들이 드러났고, 여기에 ‘신앙심’, ‘건강보험당연지정제’ 등의 발언으로 보건복지의 수장으로서 자질 부족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돼 왔다.
건강연대는 “이미 내정자에 대한 부적격 여론은 범야권은 물론 보수적 시민사회단체와 각 종 여론조사 등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앞선 인사검증과정에서 탈락한 인사들보다 도덕성이나 자질 면에서 훨씬 더 정도가 심하다는 점에서 이명박식 인사의 무원칙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은 “장관 직무수행에 하자가 없고 새 정부 출범 초기 국정공백을 막기 위해 장관 임명을 하기로 했다”며 임명의 이유를 밝혔으나 건강연대는 “이는 파행인사를 정당화하기 위한 구차한 변명”이라는 것을 국민은 모르지 않는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또한, 김정이 복지부 장관 임명자에 대해 그간에 검증된 도덕성 문제와 보건복지 현안에 대한 전문성 부족 등을 미루어볼 때 보건복지의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건강연대는 “국민의 의사를 무시한 대통령의 보건복지가족부장관 임명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이번 인사가 파행인사의 마지막이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거 강조하며, “이번 인사처럼 국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권력을 남용할 경우 국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해 앞으로 시민단체와의 갈등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