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높은 고령 인구비율과 노인성 질환율을 기록하고 있는 농어촌에 의료시설 현대화와 의료서비스 개선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는 지난 5월 발표한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안’의 후속조치로 ‘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증진을 위한 제 1차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을 내 놓았다.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증진을 위한 제 1차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올해부터 2009년까지 농어촌 지역거점 공공병원 20곳을 이전 및 증축 등을 통해 의료시설을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중증환자 발생시 보건소 중심의 1차 의료기관에서 상급 의료기관으로의 의료서비스 연계가 부족하고, 2차·3차 의료기관 역시 의료장비의 노후화와 우수 의료인력확보가 미흡하다는 판단아래 정보화를 통한 업무의 생산성 제고 및 공공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시급히 해결할 과제로 꼽았다.
이에 따라 공공의료기관 시설 현대화에 착수 적십자병원과 지방공사의료원 등을 중심으로 올해는 2곳, 2006년 6곳, 2007~2009년까지 각각 4곳씩 총 20곳을 지정 치매, 요양 등 장기요양병상확충과 의료시설 현대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또 취약한 2·3차 의료기관의 특수 진료장비 부족, 보건의료 인력 절대부족(보건소 방문보건간호원 1인당 관리 가구수 1080가구) 등 공공보건의료기반 확충 및 현대화를 위해 *공공기관 정보화(e-health) 및 정보교류체계 구축 *공공보건의료인력 교육훈련 강화 및 농어촌 의료서비스 기술 지원 *급성병상 부족지역의 병의원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융자지원 등의 사업을 연차별로 추진키로 했다.
복지부가 밝힌 구체적 사업계획을 살펴보면 우선 1차 의료기관인 보건소의 노후시설 신·증축 및 의료장비 보강과 함께 건강검진, 물리치료 및 재활 등 공공보건사업 기능강화를 위해 노후시설 개선 및 장비보강 등 현대화를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농어촌 보건소에 배치된 공공보건의에 대한 보수교육의 전문화내실화를 꾀하고 교육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농어촌의료서비스기술지원단을 매년 1개소씩 운영할 계획이다.
또 병원자금 지원사업을 통한 의료서비스 수준향상 및 지역권내 공공병원의 여유병상 공동이용 추진 *국공립 종합전문요양기관과의 원격진료 시스템 구축 *취약 의료기관에 공중보건의 우선 배정 등이 시행된다.
이석기 기자(penlee74@medifonews.com)
200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