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의무화된 전문의약품에 GS1-128 코드 표시는 다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는 2013년도 상반기 의약품 바코드 표시 및 RFID tag 부착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7개(요양기관 3개소, 도매업체 4개소)기관을 방문, 총 5,184개 품목, 206개 제약사를 조사했으며, 소형의약품(15ml, 15g 이하)의 바코드 표시실태, 금년부터 시행되는 전문의약품에 대한 GS1-128코드 표시 또는 RFID tag 부착 현황 및 기존 행정처분 품목에 대한 시정사항 확인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했다.
조사결과 5,184개 품목 중 150개 품목(2.9%)에서 오류가 나타나 전년(1.6%) 대비 오류율이 1.3%p 증가, 제약사로는 55개사(26.7%)로 전년(15.4%)대비 11.3%p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3. 1. 1.부터 최대유통일자 및 제조번호가 포함되는 GS1-128코드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는 전문의약품과 RFID tag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품목에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형의약품의 바코드 표시율은 99.9%로 의약품 표시가 정착된 것으로 판단되고, 2012년부터 의무화된 지정의약품(마약류 및 생물학적제제 등)은 98.6%로 전년도(97.1%) 보다 1.5%p 증가된 실적을 나타냈다.
금년도부터 의무화되어 있는 전문의약품의 GS1-128코드 표시율은 95.3%로 다소 저조한 실태로 조사되었다.
심평원은 RFID tag 설비를 갖춘 7개제약사의 제품 735개품목을 조사결과 324개품목(44.1%)이 RFID tag를 부착하고, 나머지는 바코드로 표시하고 있어 RFID tag에 대한 확산은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에서는 실태조사 결과 표시 등의 오류품목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을 의뢰하고, 잘못된 사례 등을 종합하여 제조·수입사 약540개소를 대상으로 19(금) 오후 3시 30분,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에서도 ‘RFID기반 마약류 관리 시범사업 추진방안’ 에 대한 설명이 함께 실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