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의 자유로운 활용은 환자의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가 의료인 면허증을 부여한 한의사의 당연한 의무이자 권리이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가 한의사를 의료인의 범주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는 대한의사협회(회장 노환규)의 주장에 맞불을 놨다.
의협은 지난 11일, 한의사를 의료인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더 나아가 한의사제도를 폐지하라고 정부에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한의협이 지난 8일, 한의계 역사상 최초로 전회원 총회를 개최하고 ‘한의사의 의료기기에 대한 자유로운 활용 보장’ 등 6대 현안이 담긴 ‘2013 한의사 선언문’을 발표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한의협은 12일 성명을 통해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의 자유로운 활용은 환자의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정부가 의료인 면허증을 부여한 한의사의 당연한 의무이자 권리“라고 주장했다.
현대과학의 산물인 현대의료기기는 양의사만이 사용하는 전유물이 아니며, 모든 의료인들이 환자의 상태를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인류 공동의 자산이라는 것이다.
한의협은 의협에 대해 “한의사가 현대의료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마치 불법행위인 것처럼 국민을 기만하고 언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활용 허용 문제뿐만 아니라 의료일원화와 관련해서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한의협이 정작 한의계 내부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논의조차 없는 의료일원화를 의협에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뻔뻔한 작태를 의협이 보이고 있다는 것.
한의협은 의협이 의료일원화와 관련, “대한한의사협회가 의료일원화 문제의 해결을 원했으나 이제는 대한의사협회에서 그에 대한 노력을 중단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의협이 성명서를 통해 “한의사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의료기기의 사용을 주장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한의협은 “전혀 사실과 다른 해괴망측한 망발로 국민과 언론의 조롱거리가 되고 있다”고 일축했다.
한의협은 의협에 대해 “자신들만이 옳다는 오만방자한 생각을 지금이라도 버리고 무엇이 진정으로 국민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길인지 자숙과 반성의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의협이 진료일선에서 묵묵히 환자치료와 임상연구에 혼신을 다하고 있는 한의사들을 거짓과 왜곡된 사실로 비방하기 이전에 국민들 앞에 본인들의 과오와 잘못에 대해 뼈를 깎는 각성과 진실된 사죄를 선행해야 한다는 것.
한의협은 오히려 “의협이 한의사와 한의약에 대한 열등의식과 패배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억지와 궤변으로 중상모략 하는 행태를 즉시 중단하고 의료인으로서 기본적인 품위와 소양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