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SK(대표이사 구나 리디거)는 의료진을 대상으로 자사의 대상포진 예방 백신인 싱그릭스의 역할을 공유하는 ‘화룡점정 싱그릭스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9월 1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전국 5개 도시(서울, 대구, 광주, 대전, 부산)에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 173명이 참석했다. ‘화룡점정 싱그릭스 심포지엄’은 심각한 통증을 유발하고 통증으로 인한 수면, 근무, 사교활동 등 일상 생활을 방해할 수 있는 대상포진의 질병 부담과 재발 위험에 대해 알리고, 대상포진 예방 접종의 중요성과 대상포진 백신으로서 싱그릭스의 임상적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진행됐다. 우리나라는 올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1천만 명 대에 진입하며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다. 이처럼 인구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상포진 발병뿐 아니라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발병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50세 이상은 전체 연령층 대비 연간 대상포진 발생률이 약 1.9배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9월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서울 지역 심포지엄의 연자로 참여한 문지연 서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세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히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백신 연구기관인 힐레만 연구소(Hilleman Laboratories)의 이사회 멤버들이 한국을 방문, 경기도 판교 본사 및 연구소를 둘러보고 양 기관 간 중장기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힐레만 연구소가 SK바이오사이언스와의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해 이례적으로 한국에서 이사회를 개최한 후 이뤄진 일정으로, 백신 연구개발 및 기술 협력 확대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힐레만 연구소는 지난 2023년 ‘차세대 자이르 에볼라 백신’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본격화했다. 이후 백신 후보물질의 공정 개발, 기술 이전,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전주기 협력을 이어오고 있으며, 향후에는 감염병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플랫폼 및 신규 백신 기술 개발 등 협력 범위를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힐레만 연구소는 글로벌 제약사 MSD(머크)와 영국 비영리 재단 웰컴트러스트(Wellcome Trust)가 공동 설립한 기관으로,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의 백신 접근성
HLB파나진은 자회사 바이오스퀘어가 지난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체외진단의료기기(4등급) ‘나노팩 HIV 1/2 Ab(NanoPACK HIV 1/2 Ab)’의 수출용 제조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NanoPACK HIV 1/2 Ab’는 사람의 전혈·혈청·혈장 검체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HIV-1 및 HIV-2 항체를 정성 확인하는 체외진단용 신속 검사키트로, 바이오스퀘어의 NanoPACK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제품이다. NanoPACK은 금나노입자를 정밀하게 제어된 광학소자(Optical Element)로 구현해 체외진단(IVD) 제품의 감도와 신뢰성을 획기적 향상시킨 기술이다. HIV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로, 신체에 있는 특정 면역 세포를 파괴해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그 결과 각종 감염성 질환과 종양이 발생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에 따르면 2024년 HIV 감염자는 총 4080만명이며, HIV와 관련된 질병으로 인한 사망 건은 63만건으로 확인된다. 특히 카네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시 갑)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의료기관 수용곤란 고지 건수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수용곤란 고지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총 5만 8520건에서 2024년 11만 33건으로 88% 증가했다. 사유별로 보면 ‘인력부족’이 4만 3658건을 기록하며 2023년 1만 8750건 대비 2.3배로 늘었고, 기타(진료과 사정·이송 전 문의 등)가 96%(2만 6583→5만 2050), 장비부족 33%(1500→1999), 병실부족 24%(9680→1만 2041) 순으로 증가했으며, 수술 중 사유는 86%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를 보면, 전체 8만 3181건 중 기타가 52.9%(4만 3985)로 가장 많았고, 인력부족 36.7%(3만 504), 병실부족 9%(7462), 장비부족 1.3%(1062)가 뒤를 이었다. 2024년 수용곤란 고지건수 기준 상위 20개 응급의료기관의 수용곤란 고지건수는 총 4만 1904건을 기록했다. 인력부족이 2만 166건으로 48.1%를 기록했으며 기타가 32.6%(1만 3679), 병상부족 13%(5453건)이었다. 상위 20개 기
대한뇌졸중학회(회장 황성희·한림의대, 이사장 김경문·성균관의대)는 세계 뇌졸중의 날(World Stroke Day)을 맞아 뇌졸중 의심 증상인 ‘이웃손발시선’을 기억하고 골든타임 내 신속히 치료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매년 10월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WSO, World Stroke Organization)가 지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로, 우리나라에서는 대한뇌졸중학회가 1998년 창립 이후 진료·교육·연구·정책·홍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뇌졸중 환자들이 표준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오고 있다.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는 뇌혈류 장애(뇌혈관의 폐쇄: 허혈뇌졸중, 뇌경색; 뇌혈관의 파열: 출혈뇌졸중)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졸중은 국내 사망원인 4위 질환이자, 성인 장애 원인의 1위 질환으로 연간 11-15만명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는 향후 뇌졸중 환자 수가 더욱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뇌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골든타임 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다. 특히, 전체 뇌졸중 중 80%를 차지하는 뇌경색 치료에서 ‘골든타임’은 환자의 생명과 후유장애, 사회 경제적 부담과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회장 강혜영)는 2025년 후기 학술대회(2025년 11월 28일(금),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제3공학관 대강당(C040호), 제2공학관 B039호(병행세션: 자유연제))와 연수교육(2025년 12월 1일(월)~3일(수), Zoom을 통한 실시간 화상 교육)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후기 학술대회에서는 보건의료기술을 둘러싼 시장과 제도의 변화를 이해하고,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다양한 세션을 마련했다. 첫째, 국가예방접종사업 현황과 백신의 경제성평가 지침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둘째, 경계영역 의료기술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해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해당 주제로 기관세션을 운영하고, 셋째, 자유연제 세션을 통해 연구활동 성과를 공유하고, 근거 생성을 위한 과학적 연구방법론을 탐색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비용-효과분석에서 표준 건강결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질 보정수명(QALY)의 가치와 형평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최선의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12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 동안 지속될 실시간 화상 연수교육에서는 의료기술의 전주기 관점에서 재정영향분석(이론/실습)
대한안과학회(이사장 김찬윤, 이하 ‘학회’)는 오는 11월 6일(목)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 눈의 날 팩트시트’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근시, 관리하면 오래봅니다’를 주제로 구성된 올해 팩트시트는 근시 조기 진단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방치하면 성인기 녹내장, 망막질환, 백내장 등으로 이어지며 실명의 위험을 높이는 근시의 위험성을 알리고, 정기검진과 올바른 생활습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근시는 원래 망막 위에 맺혀야 하는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면서 먼 거리의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질환으로,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약 30%가 겪는 대표적 시력 질환이다. 학회는 오는 2050년에는 전세계 인구의 50%가량이 근시로 고통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근시 유병률이 높은 국가다. 학회에 따르면 1970년대 15% 미만이던 초등학생 근시 비율은 2020년대 들어 60%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에 정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학회 측은 이번 팩트시트에 △근시 종류와 국내 유병률 △근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안과질환 △근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증상 및 진단법 △예방과 관리법 등을 담았다. 근시를 단순한 시력 저하가
혈관외과 전문의들의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면서 환자들도 점차 위태로워지고 있다. 혈관질환 관련 보험기준과 심사기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에 따른 중증 및 적합 진료군 분류에 따라 파생된 결과로, 혈관외과의 미래가 어둡다는 전망이 혈관외과 의사들 입에서 터져 나왔다. 지난 9월 12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에서 열린 혈관외과 추계학회에서도 이러한 목소리로 강의장을 메웠다.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의 전강웅 교수는 최근 상대가치점수 및 각종 수술관련 수가가 상승하고 파열성 동맥류에 대한 수가가 신설되는 등 고무적 상황이긴 하지만 수술과 시술을 같이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수술(관혈적 수술과 혈관내 치료를 병행) 수가가 사례나 지역, 평가자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로 총대퇴동맥을 노출시켜 같은 쪽 또는 반대쪽 혈관의 재개통을 같이 시행한 경우 심평원은 단순히 대퇴동맥 노출을 접근로로만 판단하는 경향이 있고, 대퇴동맥을 통해 여러 부분의 혈관내치료를 시행해도 피부절개선이 1개라는 이유로 수가를 2개를 초과해서 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정맥질환이나 동정맥루 관련 수가 관련해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왔다. 초이스외과 최찬중 원장은 최근
용인시의사회(회장 이동훈)는 최근 코로나19와 독감 등 호흡기 전염병의 반복적 유행 상황 속에서, 감염병 확산 방지와 환자 편의성 제고를 위해 ‘병원 내 직접 투약 허용’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행 제도는 팍스로비드, 타미플루 등 감염병 치료제의 경우 병원이 직접 투약하지 못하고, 처방전 발급 후 환자가 약국에서 조제·수령하도록 의무화돼 있다. 이에 대해 용인시의사회는 “이 같은 불합리한 절차가 감염병 확산 위험을 높이고, 특히 고령층이나 격리환자에게는 이중 이동의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해당 치료제들이 대부분 단일 포장 완제품 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에도, 약국 조제를 거쳐야 하는 현 제도는 불필요한 조제료 부담을 국민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문제도 제기했다. 용인시의사회는 “완제품 형태의 감염병 치료제는 포장 개봉이나 분할 조제가 필요 없기 때문에 병원 내에서 직접 환자에게 전달·투약하더라도 ‘조제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이는 국민건강보험 재정 절감뿐만 아니라 진료 효율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용인시의사회는 정부에 ▲감염병 치료제(팍스로비드, 타미플루 등)의 병원 내 직접 투약을 즉시 허용할
위고비가 마침내 12세 이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도 허가를 받으며 보다 비만병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위고비를 통해 청소년들의 비만이 적절하게 잘 관리되면 성인 비만율 역시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만성질환 측면에서도 판도가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대표 이사: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은 위고비 청소년 비만 적응증 확대를 기념해 ‘청소년 대상 승인된 최초·유일 주1회 GLP-1 RA 위고비의 임상적 가치 조명’을 주제로 미디어 세션을 개최하고, 국내 청소년 비만 현황과 치료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국내 청소년 비만율은 10년 사이 약 1.7배 증가하며 주요 보건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은 신체·정서 발달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체중 관리에서 성인과는 다르게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세션은 성인에 이어 대규모 글로벌 임상을 통해 청소년 (12세 이상 18세 미만) 대상으로 체중 감량 효과·대사 지표 개선을 확인한 국내 최초·유일 의 주1회 GLP-1 기반 청소년 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안전성 데이터를 공유하고, 생애주기 전반에서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KAP)는 2025년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몽골국립의과대학 치과대학(MNUMS School of Dentistry) 소속 치주과 전공의 및 몽골치주학회(Mongolian Association of Periodontology, MAP) 회원을 대상으로 제9회 KAP–MAP 교육 워크숍(The 9th MAP–KAP Educational Workshop)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몽골치주학회 회장과 주요 임원진이 모두 참석해, 양 학회 간의 우호와 학문적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첫째 날에는 양승민 국제위원회장의 개회사에 이어, 2010년부터 한·몽 학술 교류의 기반을 다져온 구영 전 KAP 회장(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이 ‘몽골과의 교류 역사와 발전 과정’을 회고하는 기념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김현주 교수(서울대학교치과병원)가 임플란트 식립의 기본 술기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강의했으며, 송영우 교수(중앙보훈병원)는 장기적 성공을 위한 임플란트의 위치 결정, 식립 시기, 골이식 병행 전략에 대한 최신 근거를 제시했다. 박진영 교수(연세대학교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 제65회 종합학술대회가 10월 25(토) ~ 26(일), 양일간 오스템임플란트 마곡 사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종합학술대회의 주제는 ‘치주치료 전문가를 위한 네 번의 기회(Four opportunities for experts in periodontal treatment)’로, 치주치료 전문가들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네 가지 핵심 가치인 ▲창의성(Creativity) ▲효율성(Efficiency) ▲일관성(Consistency) ▲끈기(Tenacity)를 ‘네 번의 기회’로 정의하고, 각 기회를 심도 있게 탐색하는 네 개의 심포지엄으로 구성됐다. 이번 학회는 다양한 국적을 가진 참석자(10개국: 한국, 일본, 호주, 몽골, 인도, 중국, 베트남, 터키, 파키스탄, 온두라스)를 포함해 총 550여명이 등록을 했다. 10월 25일(토) 오전 9시부터 각 수련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임상과 연구분야의 결과에 대한 전공의 구연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학회의 국제적인 경쟁력의 함양을 위해서, 11시 30분부터 진행된 Oral presentation V(전공의 구연발표 5) 세션의 모든 발표, 질의 및 응답이 영어
한미약품이 항암 분야 바이오신약 ‘롤론티스’를 비롯해 한미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혁신 제품들을 앞세워 글로벌 진출의 보폭을 넓힌다. 한미약품은 28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각)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의약품 전시회 ‘CPHI(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Worldwide 2025’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CPHI는 매년 유럽 주요 국가를 순회하며 세계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제약바이오 전시회로, 올해는 세계 166개국, 2400곳 이상의 제약바이오 기업들에서 6만 2000명 이상의 관계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행사에서 단독 부스를 운영하는 한미약품은 의약품 제조 역량과 우수한 제제 기술력이 집약된 로수젯과 아모잘탄, 에소메졸 등 자체 개발 블록버스터 제품을 선보이며, 한미의 성장 동력인 차세대 개량·복합신약 분야에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인 열풍이 불고 있는 비만대사와 항암, 희귀질환 분야에서 가동 중인 30여개의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소개하며, 유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의 발전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동제약그룹이 ‘CPHI’와 ‘BIO-Europe’ 등 유럽 지역에서 열리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비즈니스 행사에 참가해 대원제약과 공동 개발 중인 P-CAB(칼륨경쟁적위산분비억제제) 신약 후보물질 ‘파도프라잔(padoprazan)’과 관련한 글로벌 파트너링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올해 ‘CPHI’와 ‘BIO-Europe’ 행사는 각각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11월 3일부터 5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파도프라잔은 위벽 세포의 양성자 펌프(H+/K+-ATPase)에 작용해 칼륨 이온(K+)과 수소 이온(H+)의 교환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위 식도 역류 질환 치료제다. 해당 약물은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계열사인 유노비아가 발굴해 비임상 및 임상 1상 연구를 거쳐 대원제약에 라이선스 아웃한 신약 후보물질로, 현재 국내에서 임상 3상 시험 단계에 진입해 있다. 지난해 유노비아는 대원제약과 파도프라잔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대원제약이 파도프라잔에 대한 임상 2상·3상과 허가 추진 등 후속 개발 작업을 수행하고 한국 내 개발 및 상용화 등의 권리를 갖는 한
은성글로벌(대표 이기세)이 자사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장비 ‘울트라인(ULTLINE)’ 이 유럽 CE MDR 인증을 획득하며, 안검하수와 복부 비만 치료 효과를 공식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단순한 HIFU 장비 등록을 넘어, 울트라인이 ‘비침습적 안검하수 치료 및 복부 둘레 감소를 통한 비만 치료’ 용도로 유럽 규제 기관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를 통과한 결과다. CE MDR은 제품의 안전성, 임상적 유효성, 품질관리 체계 전반에 걸친 엄격한 임상 및 기술 평가 절차를 거쳐야 인증이 부여된다. 은성글로벌은 이번 인증을 통해 울트라인의 기술력과 안전성이 국제 기준을 충족했음을 입증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울트라인은 HIFU 기술을 활용해 피부 탄력 개선과 지방 감소를 돕는 장비로, 얼굴 전용 ‘라인 핸드피스’와 바디 전용 ‘울트라 핸드피스’를 탑재해 다양한 부위에 섬세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깊이별 맞춤형 카트리지를 적용해 시술 부위와 목적에 따라 최적의 에너지 전달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은성글로벌 관계자는 “이번 CE MDR 인증은 울트라인의 비침습적 피부 및 체형 관리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