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3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보건당국이 겨울철 한파를 대비해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을 시작한다.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감시하기 위해 12월 1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11월 30일 밝혔다.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관리청과 협력해 응급실에 내원한 한랭질환자를 파악하고 한파로 인한 건강영향을 감시하는 것으로, 감시체계로 수집된 한랭질환 발생현황 정보는 질병관리청 누리집(www.kdca.go.kr)을 통해 매일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에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지난 절기(’22-’23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447명(추정사망자 12명 포함)으로 ’21-’22절기 대비 환자는 300명→447명으로 49.0% 증가했고, 사망자는 9명→12명으로 3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2022-2023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의 주요 발생특성을 살펴보면, 남자(67.8%)가 여자(32.2%)보다 많았고, 65세 이상 고령층(42.3%)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직업별로는 무직(33.8%)이 가장
위암의 주요 위험인자인 ‘장상피화생’이 위암으로 진행되는 현상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가 규명됐다. 한국·싱가포르 공동연구팀이 진행한 역대 최대 규모의 장상피화생 유전자 분석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Cancer Cell(IF:50.3)’에 소개됐다. 장상피화생의 유전자 특성과 환자의 개별 임상 정보를 결합하면 위암 진행 고위험군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정현수 교수)·싱가포르국립대병원(Jimmy So, Khay Guan Yeoh 교수)·듀크-싱가포르국립대의과대학(Patrick Tan 교수) 다기관 공동연구팀이 1256개의 위 조직 샘플을 유전적으로 분석해 위암으로 진행하는 장상피화생 세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암 진행 고위험군 선별 모델을 제시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 5위, 사망률 4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특히 지속적인 염증반응으로 인해 위점막 조직이 파괴되고 장점막처럼 변형되는 ‘장상피화생’ 환자는 위암 위험이 6배까지 높아진다. 그러나 이제껏 장상피화생의 발생 및 진행 기전은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장상피화생으로 진단받는 경우 언제, 얼마나 심각한 위암으로 진행될지 예측하기 어려워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지난 11월 7일 발간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Health at a Glance) 2023」에 수록된 보건의료 질 지표들을 통해 우리나라 의료의 질 현황을 분석·발표했다. 총 7개 영역(①급성기 진료, ②만성질환 입원율, ③외래 약제처방, ④정신보건, ⑤환자경험, ⑥통합의료, ⑦생애말기돌봄)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각 국가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의료 질 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대부분의 지표가 과거와 비교해 개선됐으며, 특히 만성질환 입원율과 외래 항생제 총 처방량에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다만, 환자안전과 관련된 장시간 지속형 벤조디아제핀계 약제 처방, 75세 이상 환자의 다제병용 처방 등이 OECD 평균보다 높았고, 정신보건 영역의 질 수준이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급성기 진료영역에서 급성기 진료의 대표적인 질환인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은 8.4%로 매년 지속적으로 개선됐으나, OECD 평균(7.0%)보다 높았다. 반면, 허혈성 뇌졸중 30일 치명률은 3.3%로 OECD 국가(평균 7.9%) 중 네 번째로
국내 여성 암 발생률 1위인 유방암은 조기발견을 통해서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가천대 길병원 여성암센터 박흥규 교수(유방외과)가 유방암은 조기발견과 치료 시 생존률을 2배 가까이 높일 수 있어 검진 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방암은 지난 2013년 할리우드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BRCA1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져 예방적 차원에서 유방을 절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유방암은 병기와 전이 정도에 따라서 생존율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발견 후 맞춤 치료를 통해 극복해야 하며, 유방암 환자를 위한 정서적 지지도 중요하다. 유방암 발생률은 매년 증가해 2020년 기준 2만 4806명의 환자가 발생해 전체 여성암 중 1위로 등극했다. 특히 여성 암 중 2번째로 환자가 많은 갑상선암 2만 1722명 보다 3000여 명 많고, 1만 1392명으로 3번째인 대장암 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이다. 이같이 유방암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지만 생존율 또한 높아지고 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전체5년 생존율은 1993~1995년(발생기간 기준) 기준 79.2%이던 것이 2001~2005년 88.7%로 상승했고, 2016~2020년에는 93.8%
“간호조무사 학력제한 폐지 없는 간호악법 재발의, 88만 간호조무사를 농락한 민주당을 규탄한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가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간호조무사 학력제한 폐지 없는 간호악법을 재발의하며 88만 간호조무사를 농락했다’며 민주당에 대해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간무협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여 지난 2년 동안 보건의료계를 갈등과 분열의 파국으로 몰아넣었던 간호법이 폐기된 지 6개월밖에 안 되었다. 그런데 기어이 민주당이 다시 간호법을 발의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간무협은 민주당의 행태를 강력히 비판했다. 민주당은 지난 7월부터 간호법 재발의를 추진하면서 ‘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 학력제한 폐지’를 의원총회에서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하지만 이번에 간호법을 발의하면서 그때의 대국민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쉽게 번복해버렸다. 간무협은 “민주당은 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 학력제한 폐지와 관련한 우리 협회의 요구를 잘 알고 있으며, 민주당이 재발의한 간호법안이 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과 관련한 위헌성을 해결하지 못했다는 사실도 이미 알고 있다”라고 꼬집으며, “그런데도 민주당은 간호조무사 요구를 ‘일부 수용했다’라고 말장난을 하면서 88만 간
휴온스메디텍이 독일 뒤셀도르프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에 참가해 참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주)휴온스메디텍(대표이사 천청운)은 최근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 2023에 참가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휴온스메디텍은 독보적인 체외충격파(Extracorporeal Shockwave) 기술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높은 쇄석률을 보여주는 쇄석기 URO-UEMXD를 선보이며 바이어들의 눈길을 끌었다. 소독·멸균 영역에서는 공간멸균기 휴엔 IVH ER과 내시경 소독기 휴엔 싱글과 휴엔 DR 02를 전시했으며, 에스테틱 영역에서는 음압을 이용한 전동식 의약품 주입펌프 더마샤인 프로와 3개의 의료기기(펄스광선조사기, 범용전기수술기, 고주파자극기)를 조합한 여드름 치료용 의료기기 더마 아크네 등 다양한 의료 영역을 아우르는 대표 기기들을 소개했다. 지난 9월 엠아이텍으로부터 인수한 SDS-5000 과 MASON M1그리고 FDA, CE 인증을 받은 ASADAL M1 과 기존 URO-SERIES 모델을 포함한 총 6개 모델의 체외충격파 쇄석기와 국내 최초 발기부전 치료와 만성골반통증 임상을 마친 체외충격파 치료기IMPO88도
각 제약사마다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2022년 대비 2023년 3분기 주요 제약사들의 수출액이 확대된 모습이다. 전자공시에 게시된 주요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통해 2023년 3분기 상위 30개 제약사들의 수출액 현황이 확인됐다. 다만 2022년 JW중외제약의 수출액 현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상위 5개사는 모두 전년 대비 수출액이 늘어났다. 1위 제약사인 유한양행은 2023년 3분기 수출액이 2083억원으로 매출의 14.7%를 차지했다. 2022년에는 수출액이 매출의 12%인 2128억원으로 확인되면서 수출액 달성률은 97.9%로 나타났다. 녹십자는 수출액 비중이 낮은 제약사지만 수출액 달성률은 높은 편이다. 2023년 3분기 녹십자의 수출액은 매출의 0.2%인 20억원으로, 2022년 수출액 23억원에 비하면 86.6%를 달성했다. 종근당의 수출액 역시 예년 대비 뒤쳐지지 않는 편이다. 2022년 수출액은 매출의 4.4%인 651억원이었으며 2023년 3분기에는 매출의 4.2%인 488억원으로 75%의 달성률을 보였다. 광동제약은 수출액 비중이 낮은 제약사들 중 한 곳이다. 하지만 녹십자와 마찬가지로 수출액의 달성률은 우수하게 나타났다. 2
“내 의료·건강정보 민영보험사와 기업에 넘겨주는 ‘디지털헬스케어법안’ 폐기하라!” 오는 22일 국회 보건복지위 법안심사 소위에서 ‘디지털헬스케어법’ 법안이 논의될 예정인 가운데, 해당 법안에 대해 노동·시민사회단체들과 환자단체들이 모여 한 목소리로 결사 반대를 표명했다.이날 ‘디지털헬스케어법’ 반대 의사를 표명한 단체로는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를 비롯해 민변 디지털정보위원회,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한국폐섬유화환우회, 한국루게릭연맹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등이 참여했다. 이날 환자·노동·시민단체들은 개인 동의 없는 가명처리 의료·건강정보의 상업적 활용이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가명정보의 경우에는 추가 정보가 있으면 재식별이 가능한 정보로, 특히 의료·건강정보는 다른 정보와 결합될 경우 그가 누구인지 찾아내기가 쉬운 정보이자 가장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디지털헬스케어법’은 민감한 의료·건강 정보를 개인 동의도 없이 기업들이 교류·구매·판매·결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법안으로, ▲알츠하이머나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 ▲성매개 감염 ▲임신과 분만 ▲자연유산과
삼성서울병원과 파인헬스케어(대표 신현경)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 욕창 관리 시스템 ‘SkineX’이 활용성을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삼성서울병원은 11월 20일 저녁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아폴로홀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 관리 시스템 소개 및 피부상처 치료관련 최신동향 공유’ 포럼을 개최하고, 인공지능 욕창 관리 시스템의 활용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이날 포럼의 진행자이자 첫 발표는 삼성서울병원 디지털혁신센터 부센터장으로 있는 강미라 교수가 맡았다. 삼성서울병원 강미라 교수는 “2021년 국책 과제를 통해 개발돼 원내에서 시범 운영중인 앱에 대해 임상 시험을 시행하고 의료기기 허가를 받을 계획이다. 상처장루실금 간호사들이 검토하고 9,000개 가량의 욕창 사진을 활용했다”고 말했다. 본 과제의 주관기업인 파인헬스케어 신현경 대표는 “화상병원에서 30여 년을 기획이사로 근무했다. 병원에서 이뤄지는 의사·간호사의 반복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의 욕창 관리 솔루션을 참고해 국내에서 ‘인공지능 욕창 관리 솔루션’을 공동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가 앞으로 더욱 뻗어나갈, 매력적인 분야는 간호 분야라고 생각한다”며, “‘SkineX’는 진
한국다케다제약(대표이사 문희석)은 아시아태평양알레르기천식임상면역학회(APAAACI) 2023 국제 학술대회에서 유전성 혈관부종 질병부담에 대한 글로벌 환자 설문조사 중 한국인 대상 하위 분석 결과를 지난 10월 25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유전성 혈관부종은 반복적인 통증을 동반하며, 보통 얼굴, 사지, 복부 및 상기도에 주로 발생하며 상기도에 심각한 부종이 발생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희귀 유전질환이다. 유전성 혈관부종 증상은 소아청소년기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에서 심각한 진단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27명의 한국인 유전성혈관부종 환자의 증상 발현(평균 19.6세)부터 최초 진단(평균 38.1세)까지 19년이 소요됐다.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추세로 많은 국가에서 진단검사 시설이나 기반 자원이 부족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점수가 높을수록 더 나은 질병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혈관부종조절검사(AECT, Angioedema Control Test; range from 0 to 16) 결과 환자들의 약 60%가 10점 미만으로 조절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
주요 제약사들의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 투자가 예년 대비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3분기 매출 상위 30위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이번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로 총 1조 3353억원을 사용하면서 2022년 전체 연구개발비인 1조 8387억원의 73.7%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1년에는 연구개발비가 1조 5952억원으로 보다 달성률은 높은 편이다. 상위 5개 제약사 중 유한양행의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는 1353억원으로 확인돼 매출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인 1800억원의 75.2%로, 지난 해에는 매출의 10.1%를 연구개발비로 사용한 모습이다. 2021년에는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10.6%인 1782억원을 투자했다. 녹십자는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2.2%인 1488억원이다.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5%인 2136억원으로 확인돼 전년 대비 이번 3분기 달성률은 6.97%에 그쳤다.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1.2%인 1723억원이었다. 종근당은 연구개발비 투자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번 3분기 연구개발비 누계는 102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윤재호 교수가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조혈모세포이식학회(2023 Asia-Pacific BMT)에서 40여편의 구연 발표자 중 최우수 구연상(1st Winner Prize)을 수상했다. 윤재호 교수는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diagnosi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liver dysfunction after allogeneic-HSCT’라는 제목의 구연 발표로 이식 후 간 손상이 생긴 환자의 진단 및 치료법, 위험을 감수한 불필요한 조직검사를 피할 수 있는 중요한 지침을 제시했고 연구 결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최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앞서 윤 교수는 혈액내과 김가영 임상강사, 병리과 이성학 교수와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간 손상이 확인된 환자 88명으로부터 획득한 간조직검사에 대한 약 92건의 임상 소견과 병리 소견을 분석해 이식 후 생기는 간 손상의 정확한 원인과 임상 양상, 병리 조직 사이의 연결점을 찾아낸 연구를 진행했다. 윤 교수는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생기는 다양한 합병증 중 간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 치료 성적과 생존율이 매우 좋지
이수앱지스가 창사 이래 첫 흑자 기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회사는 14일 발표한 분기보고서를 통해, 금년 3분기에 매출액 146억과 영업이익 20억원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영업흑자를 지속했고, 흑자폭은 더욱 확대됐다. 또한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액은 37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7.8% 성장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영업손익은 5억원 적자를 달성하며 전년 44억원 적자 대비 88.2% 감소했다.이러한 호실적은 회사의 주력 제품인 희귀질환치료제 애브서틴의 MENA(중동 및 북아프리카)지역 수출 확대에서 기인했다.먼저 알제리향 수출은 지난 6월에 체결한 약 130억원의 공급 계약에 해당하는 물량 중 44억원 규모가 3분기에 첫 출하됐다.또한 자국 환율 급등에 따라 상반기에 구매를 늦췄던 이란의 공급 요청이 이번 분기에 재개되며, 이란향 수출도 38억원에 이르렀다. 지난 11월 7일에는 약 109억원의 공급 계약까지 체결하며, 4분기에도 이란향 수출 확대는 지속될 전망이다.이수앱지스 관계자는 “알제리 계약 물량의 일부는 4분기에도 추가 선적될 예정이고, 최근 체결한 이란 계약 물량의 경우 4분기에 전량 공급될
우리나라의 2030세대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의 당뇨병에 대한 인식과 관리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원규장)와 노보 노디스크(사장 사샤 세미엔추크)가 공동으로 실시한 ‘당뇨병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30세대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자신의 공복이나 식후혈당 수치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59.9%, 344명 중 206명). 공복혈당 및 식후혈당 수치와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진단기준 중 하나인 ‘당화혈색소’에 대해서는 2030세대 중 ’73.6%(344명 중 253명)’가 모른다고 응답했다. 당뇨병 고위험군인 ‘당뇨병전단계’를 모르는 사람도 ‘54.2%(344명 중 186명)로 나타났다. 2030, 당뇨병은 ‘심각한 질환’ 인식 증가, 진단기준 인지율, 관리수칙 실천율은 제자리 우리나라 당뇨병 인구가 6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2030세대의 당뇨병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대 당뇨병 환자는 12만 1568명으로 4년 전보다 25.5% 늘었다(‘16년 9만 6891명). 같은 기간 20대 유병률은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자사의 CD20xCD3 이중 특이항체 ‘룬수미오(성분명: 모수네투주맙)’가 두 가지 이상의 전신 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룬수미오는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GIFT, Global Innovative products on Fast Track)’ 1호 의약품이다. GIFT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질환 또는 희귀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으로서 기존 치료법이 없는 치료제 등의 신속한 제품화를 돕는 제도로, 룬수미오는 ‘기존 치료제가 없는 의약품’에 해당돼 GIFT 프로그램 1호 제품으로 지난 2022년 11월 지정됐다.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은 림프 조직의 세포가 악성으로 전환되어 생기는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의 한 종류이다. 증상이 경미하고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약 80%의 경우가 질병이 진행된 이후인 3기 또는 4기에 발견되며, 재발할수록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인다. 실제로 1차 치료 환자들의 무진행 생존기
-- 참가 업체들 다양한 최신 의료 기술과 솔루션 선보여 선전, 중국 2023년 11월 1일 /PRNewswire=연합뉴스/ -- 제88회 중국 국제의료기기 박람회(China International Medical Equipment Fair, 이하 CMEF)가 10월 28일 선전 세계전시컨벤션센터(Shenzhen World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에서 공식 개막했다. 4일간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전 세계 2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4000여 곳의 전시업체가 1만 개가 넘는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CMEF는 그동안 글로벌 의료 장비 기업이 혁신적인 강점을 보여줄 수 있는 주요 국제 플랫폼 역할을 꾸준히 수행해 왔다. 제88회 CMEF는 전체 산업망을 아우르는 종합 전시회로, 참가업체들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혁신과 새
-- 하이엔드급 의료 영상 산업체인 구축 청두, 중국 2023년 11월 1일 / PRNewswire=연합뉴스/ -- 지난 10월 28일, Vital Group 산하의 하이엔드급 의료 영상 장비 개발 업체 Alltech가 제88회 China International Medical Equipment Fair (CMEF)에서 '삶의 기쁨, 혁신의 꿈(Joy of Life, Dream of Innovation)'이라는 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최신 제품 개발 전략과 Vital Group의 하이엔드급 의료 서비스 시장진출 계획을 발표했다. press conference titled “Joy of Life, Dream of Innovation” Alltech는 자기공명영상(MRI)용 하이엔드 초전도&n
국산신약 엔블로가 혈당강하, 목표혈당 달성 외에도 인슐린 저항성, 체중, 혈압, 지질, 포도당 등 여러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24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대한내분비학회 SICEM 2023에서 마련된 세션에서, SGLT-2 억제제인 ‘엔블로(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에 대해 조명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는 ‘SGLT-2 억제제의 등장과 엔블로의 첫 걸음‘에 대해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위약 대비 이나보글리플로진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ENHANCE-A에 대해 소개했다. 이나보글리플로진을 성분으로 하는 엔블로는 0.3mg로 적은 용량이지만 10mg를 사용하는 다조군 대비 약효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복용 6주차부터 혈당이 감소한 가운데, 복용 24주차에는 위약군 대비 당화혈색소가 1%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24주차에 당화혈색소는 -0.88%, 공복혈당은 -30.00mg/dL로 확인됐다. 또 70% 이상의 환자에서 목표혈당 7% 미만을 달성했으며, 치료적 반응비율이 약 83%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 김 교수는 “위약 대비 요당 포도당 배출량도 47.76g/g로 대조
지난해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에 0.3%의 장애인만 참여하고, 시범사업 활동 주치의가 10명 중 3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지역은 단 한 명의 주치의만 활동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이란 중증장애인이 자신의 거주 지역이나 이용하던 의료기관의 의사 1인을 일반건강관리 의사 또는 주장애관리 의사로 선택해 만성질환(일반건강관리), 장애 관련 건강상태(주장애관리)를 지속적으로 관리받는 사업으로 지난 2018년부터 현재까지 3단계에 걸쳐 시행 중에 있다. 2018년 5월부터 2020년 5월까지 1단계 시범사업이 진행됐고, 2020년 6월부터 2021년 8월까지 2단계 시범사업, 2021년 9월부터 현재까지 3단계 시범사업 추진 중에 있다. 3단계 시범사업부터는 주장애관리에 지적, 정신, 자폐성 장애가 추가됐으며 방문진료횟수도 18회로 확대되고 만성질환 질환별 검사비의 본인부담금이 면제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장애인 건강주치의 사업현황’에 따르면 장애인 주치의 시범사업에 대한 최근 5년간 연도별 투입예산을 보면 2018년 4
당뇨병과 관련한 디지털 기기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며, 꼭 필요한 이들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당뇨병 전문가의 목소리가 나왔다. 세부적으로는 성능 및 유통 관리 정책 수립과 기기 성능 수준에 따른 비용 산정 구분화, 요양비 제도 변화, 인슐린 펌프 렌탈 등이 그 대안으로 제시됐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오는 19일부터 진행될 국제학술대회를 맞아 11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기자간담회에서는 문준성 총무이사가 ‘간행 및 교육, 환자 관리사업’에 대해 소개했다. 먼저 간행 부문에서는 대한당뇨병학회의 공식 저널인 DMJ가 당뇨병 및 대사분야의 아시아 대표 저널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본질적 가치에 집중한 학술디로서 질적 성장 △젊은 연구자 우대를 통한 미래세대 육성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다고 전했다. 또 교육에 대해서는 수준높은 관련 교육자 양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이사는 당뇨병학회 교육프로그램과 인증제도를 언급하면서 “학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격증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교육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한 해에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2년 이상 소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