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으로 전환했다. 기존 시스템을 종료하고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을 적용해 완전한 새 시작을 알린 것이다. 고려대 안암병원은 29일 이같이 밝혔다. 이번 시스템 전환은 만반의 준비를 통해 안정적으로 진행됐다. P-HIS는 지난해 10월 개발이 완료되어 베타테스트를 거쳤으며, 12월 23일 안암병원의 P-HIS 적용선포식을 진행하고 기존시스템과 동시·병행 운영해 안정화 단계를 마무리했다. 고려대 안암병원은 시스템 전환 전날 26일 오후 10시에 기존 시스템을 종료했다. 이어 데이터 이관작업이 27일 새벽 3시까지 진행됐으며, 새벽 4시에는 P-HIS가 전면 가동되어 병원 전체 시스템에 적용됐다. P-HIS 개발 사업은 고려대의료원이 2017년부터 주관연구기관으로 참여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보건복지부 국책사업이다. P-HIS는 고려대의료원을 중심으로 6개 의료기관, 삼성SDS, 비트컴퓨터 등 8개 ICT(정보통신기술) 기업의 참여로 개발됐으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해 서비스된다. P-HIS에서 P는 정밀의료(Post, Precision, Personalized)를 의미하며,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신생아집중치료실(NICU) 리모델링을 마치고 병상을 확대 운영한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지난해 12월 말부터 고위험 신생아와 이른둥이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및 병상 확대를 위해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병상 간격을 150cm로 확보하고 전실을 포함한 음압격리실을 설치해 감염병 예방 환경을 구축했다. 병상은 기존 25병상에서 3병상을 추가해 총 28병상으로 늘렸다. 또 보육기 세척 및 보관실을 확보하는 등 진료 편의성을 높였다.이로써 신생아 분과는 물론 소아외과, 소아정형외과, 흉부외과, 안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등 다학제적 전문 진료가 상시 가능해 중증 질환 치료의 수월성도 함께 높였다. 소아청소년과 이순민 교수는 “확보된 병상 간격은 가족 중심의 치료를 지향하며, 9년째 활발히 진행하는 캥거루케어(산모와 아기가 피부를 맞대고 안는 육아) 환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고위험 신생아들이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양질의 치료를 받고 퇴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약품(대표 이상준)이 소화기능 및 위장운동을 돕는 성분을 함유한 복합성분 위장질환 치료제 ‘속시탈정’을 새롭게 출시했다. 속시탈정은 8가지 약효 성분이 복합 처방된 위장관 조절제로, 만성적인 위산과다와 속쓰림,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소화불량, 위부팽만감 등 광범위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디아스타제, 프로테아제, 셀룰아제, 리파제 등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 및 섬유소에 대해 강력한 소화작용을 돕는 소화 효소제와 트리메부틴말레산염, 스코폴리아엑스 등 위장관 운동조절제가 함유됐다. 또 탄산수소나트륨과 침강탄산칼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 3종의 제산제와 감초가루도 함유돼 위점막을 보호한다. 현대약품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속시탈정은 광범위한 위장질환 치료제로, 평소 소화불량이나 속쓰림 등이 잦아 불편을 겪는 소비자들에게 추천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엿새 만에 300명대로 떨어졌다. 주말인 탓에 추가 백신 접종자는 단 11명이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3월 2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70명, 해외유입 사례는 1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만 2141명(해외유입 755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만 73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140건(확진자 69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만 6875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384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69명으로 총 9만 4124명(92.15%)이 격리해제돼, 현재 629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0명이며,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726명(치명률 1.69%)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30명, 서울 105명, 부산 53명, 인천·경남 각각 18명, 충북 12명, 대구 9명, 전북 8명, 강원 6명, 울산·경북 각각 3명, 광주·대전 각각 2명, 충남 1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5명, 지역사회단계에서 9명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 9명, 외국인 5명이다. 누적 검사자 761만 6331명 중 743만 525
혁신적인 표적항암제로 개발 중인 JW-2286에 대한 전임상시험 결과가 세계 최고 권위의 암학회에서 발표된다. JW중외제약은 오는 4월 9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AACR Annual Meeting 2021)에서 STAT3을 타깃으로 하는 JW-2286에 대한 연구결과가 공식 발표주제로 채택됐다고 29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AACR)는 전세계 4만여명의 암 관련 의료인, 제약·바이오 업계 전문가를 회원으로 거느린 암학회로, 매년 연례학술행사를 열고 최신 암 치료와 항암제 신약개발 동향, 임상결과 등 연구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되고 있다. JW-2286(개발 코드명, 이전 코드명 ST-2286)은 STAT3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로 삼중음성유방암을 비롯해 위암, 대장암 등 고형암을 적응증으로 한다. STAT3은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 전이 및 약제 내성 형성에 관여하는 다수의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단백질(전사인자)이다. STAT3을 억제하면 강력한 항암효과가 기대된다는 사실이 다수의 연구에서 알려졌지만
*센터장국가감염병임상시험사업단 사무국장 하정은 *팀장신약접근성향상지원센터 신약개발정보관리팀장 유지영
조선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안태훈 교수는 제12대 대한호흡관리학회장에 취임해 2021년 4월부터 2년 동안의 임기를 수행한다. 대한호흡관리학회는 대한마취통증의학회의 세부전공학회로서, 호흡관리의 질 향상과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고 회원 상호간의 지식 및 정보 교류의 목적으로 1999년에 설립됐다. 현재는 10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했으며, 제3차 학술대회부터 호흡관리 워크숍을 함께 개최해 학술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실제 인공호흡기 사용의 기본적인 내용부터 중급이상의 교육과정까지 제공하고 있다. 안태훈 교수는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법제이사 및 광주·전남·제주지회장, 대한소아마취학회장, 대한신경근연구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한산과마취학회 및 대한소아마취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등 진료와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일산병원장에 김성우 병원장이 연임해 3년간의 임기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김성우 병원장은 2018년 4월부터 제7대 병원장으로서 임기를 시작해 일산병원의 진료, 간호,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국가 재난수준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을 우수하게 이끌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향후 공공병원의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보험자병원으로서 건강보험제도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거점 병원으로서 진료역량 강화에 매진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적임자로 평가되어 왔다. 김성우 병원장은 “일산병원이 지역 내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보건의료 향상을 위한 보험자병원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지역 내 의료기관 및 유관기관 등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그 역할을 적극 수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1990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김성우 병원장은 동 대학 의학석사를 취득했으며, 1998년부터 일산병원 건립 및 개원준비에 참여하고 개원 후 재활의학과장, 교육수련부장, 의료정보실장 등 주요보직을 맡아 일산병원의 발전을 이끌어왔으며, 대외적으로는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 이사장과 복지부 신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과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rea Organ Donation Agency, 이하 KODA)이 뇌사사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인천성모병원은 지난 25일 KODA와 ‘뇌사장기기증자 관리업무 및 기증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개선과 뇌사자의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진행됐다. 이에 따라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향후 KODA와의 공동 노력을 통해 장기기증 인식 개선과 더불어 뇌사추정자 인지율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뇌사추정자 발굴과 관리에 있어 상호 협력 프로세스를 구축해 장기이식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2020년 국내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478명으로, 뇌사기증자 1명당 기증한 장기는 3.58개로 저조한 편이다. 실제 국내 인구 100만 명 당 뇌사기증자 수는 2019년 기준 8.6명으로 스페인 49.6명, 미국 36.8명, 영국 24.8명, 독일 11.2명에 크게 못 미친다. 홍승모 몬시뇰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병원장은 “뇌사자 장기기증은 어려우면서도 새로운 생명 살리는 숭고한 일이다”라며 “더 많은 환자들에게 장기이식으로 새로운 삶과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KODA와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대표 이승우)는 ‘2021 길리어드 아시아 태평양 레인보우(Gilead Asia Rainbow Grant)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HIV는 여전히 중대한 공중 보건 이슈다. WHO(세계보건기구)의 세계 에이즈의 날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HIV에 새롭게 감염된 사람은 170만 명에 달하며, HIV 관련 사망 인구도 69만명에 이른다. 또한 최근 길리어드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는 아시아 국가에서 HIV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264명을 포함해, 총 1265명의 HIV 감염인, 위험군, 의료진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 HIV 감염 위험군의 HIV 진단 빈도가 감소했으며, 환자들의 항바이러스 치료 접근성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길리어드 아시아 태평양 레인보우 프로젝트는 ‘HIV 종식을 위한 더 나은 재건’을 목표로 한다. 후원은 보건의료 혁신, 의료 격차 해소, HIV 영향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지며, 이를 통해 HIV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미충족 요구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한국화이자제약㈜이 신청한 ‘코미나티주’ 25만여명분(50만여회분)을 3월 28일(일) 자로 국가출하승인했다.이번 승인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중 적기에 필요한 물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코미나티주’ 백신을 신속히 출하승인 진행했다. 식약처는 ‘코미나티주’의 신속한 출하승인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제조원 시험법 자료에 대한 검증 등을 통해 시험법을 확립하고,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 시험에 필요한 장비를 신속하게 도입하는 등 철저하게 국가출하승인을 준비해 왔다. 아울러 시험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RNA 분석실을 새롭게 마련하고 국가출하승인용 검체 보관을 위한 초저온냉동고를 추가 확보했다. 식약처는 ‘코미나티주’ 50만여회분에 대한 검정시험과 제조‧시험에 관한 자료검토를 통해 효과성, 안전성, 품질을 확인한 결과 국가출하승인 기준에 적해 출하승인을 결정했다. ‘코미나티주’는 RNA 백신으로 ▲(효과성) 역가시험, 확인시험, 함량시험 등을 실시해 효과를 나타내는 유전물질과 유전물질을 둘러싼 지질나노입자 성분의 양 등을 측정했으며 ▲(안전성) 순도시험, 엔도톡신 시험 등을 실시해 제품이 오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했고 ▲(품
건보공단이 입원의료, 일차의료, 재활의료, 장기요양 등 분야 간 연계를 고려한 지역중심의 통합 의료공급체계 및 재정체계 모형 개발에 나선다. 총 연구기간 3년, 책정 예산 7억 5000만원의 대규모 연구 과제로, 공단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공급체계 개편의 최종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분야별 의료공급체계 개편 실행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연구자 공모에 나섰다. 앞서 공단은 2019년 ‘의료공급체계 개선 모형 개발 연구’, 2020년 ‘의료공급체계 개선 이행전략 개발 연구’ 등 기존 연구에서 의료기관의 지역별‧기능별 현황을 파악하고, 공급체계 개선모형과 이행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 연구의 주요 내용을 보면 1차 년도에는 입원의료, 일차의료, 재활의료, 장기요양 분야별 환자 의료이용행태 유형화와 이에 기반한 공급체계 모형을 고도화한다. 2차 년도에는 분야별 진료비 지불제도 및 지역의료 재정체계 개편방안을 개발하고, 3차 년도에는 분야별 의료공급체계 평가 지표 개발 및 실행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공단은 “지속가능한 지역 중심 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의료공급체계 개편의
*28일, *빈소 대구 파티마병원, *발인 3월30일, *(053)940-8198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400명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는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계속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3월 2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62명, 해외유입 사례는 20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만 1757명(해외유입 754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만 3028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만 5414건(확진자 8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8만 8442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482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380명으로 총 9만 3855명(92.24%)이 격리해제돼, 현재 618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4명이며,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722명(치명률 1.69%)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50명, 서울 135명, 부산 56명, 인천 32명, 강원 19명, 충북 16명, 경남 13명, 대구 9명, 충남 8명, 경북 7명, 대전 6명, 전북 5명, 울산 4명, 광주 2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9명, 지역사회단계에서 11명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 8명, 외국인 12명이다. 누적 검사자 759만 55
앞으로 3년간 서울시의사회를 이끌어 갈 35대 회장으로 박명하 후보가, 23대 의장으로 이윤수 후보가 당선됐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27일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열린 ‘제75차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새 회장과 의장을 선출했다. 회장선거는 1차 투표에서 과반 이상을 득표한 후보가 나오지 않아 결선투표까지 진행됐다. 1차 투표에서 박명하 후보는 76표, 이태연 후보는 56표, 이인수 후보는 29표를 득표해 결선투표에는 박명하 후보와 이태연 후보가 진출했다. 결선투표에서 박명하 후보는 83표를 얻어 67표에 그친 이태연 후보를 16표 차로 제치고 회장에 당선됐다. 의장선거는 90표를 얻은 이윤수 후보가 74표를 얻은 김영진 후보를 16표차로 따돌리고 당선됐다. 한편, 신임 감사에는 김태형 대의원, 박상호 대의원, 전영미 서울시의사회 부회장이 선출됐다.
* 27일, *빈소 서울대병원 , * 발인 3월 30일, * 조찬휘(010-2737-4622)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500명대를 기록했다. 전남 지역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3월 2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90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만 1275명(해외유입 752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316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만 8066건(확진자 8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8만 1231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50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845명으로 총 9만 3475명(92.30%)이 격리해제돼, 현재 607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3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721명(치명률 1.70%)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41명, 서울 126명, 인천 39명, 충북 38명, 강원 35명, 부산 33명, 대구 22명, 경남 19명, 대전·경북 각각 10명, 광주 5명, 전북 4명, 울산 3명, 충남·제주 각각 2명, 세종 1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3명, 지역사회단계에서 12명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 4명, 외국인 11명이다. 누적 검사자 75
트리온은 현지시간 26일 유럽의약품청(이하 EMA, European Medicines Agency)이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개발명 CT-P59, 성분명 레그단비맙·Regdanvimab)’의 정식 품목허가 전 사용을 권고하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유럽국가들은 정식 허가 전 EMA의 사용 권고를 바탕으로 렉키로나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EMA는 지난 3월 초부터 EMA 품목허가 전 코로나19 치료제 사용이 시급한 유럽 개별 국가 방역당국이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Compassionate Use Program)’ 등을 통해 렉키로나 도입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전문의견 제시를 위한 검토 절차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 소속 전문가 그룹은 셀트리온이 제출한 렉키로나의 품질, 비임상 및 임상 데이터를 검토했으며, 그 결과 입원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렉키로나를 투여할 경우 중증 발전 비율을 낮추고 입원 비율을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해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의 신속한 글로벌 공급을 위해 이미 유럽 개별 국가들과 사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지난해 3월 24일부터 하루 1150원으로 책정해 지급되고 있는 ‘요양병원 감염예방관리료’ 기준이 체계적으로 마련돼 앞으로도 지급이 계속 이어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요양병원이 해야 하는 감염관리 일들이 웬만한 종합병원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감염예방관리료를 급성기병원의 1~2등급 수준 정도로 책정해줘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대한요양병원협회는 26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포스트 코로나, 요양병원 기능과 역할 제언’을 주제로 춘계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대한요양병원협회 손덕현 회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요양병원이 집단감염에 취약하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면서 요양병원의 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간병의 급여화 ▲다인병실 구조의 개선 ▲요양병원형 중환자 집중치료실 모델과 수가 마련 ▲거점요양병원에 대한 충분한 논의 등을 제시했다. 특히 손 회장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후에도 지속적인 감염예방·관리를 위해서라도 요양병원 감염예방관리료 지급이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정부는 요양병원의 의료·간병인력의 지원을 약속했지만, 제대로 된 인력지원이 안 되다 보니까 현장의 의료진들은 치료와 간호, 돌봄의 역할을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고,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의료악법들을 막는데 앞장서야 할 대한의사협회의 새 회장으로 현 의협부회장 겸 전라남도의사회장인 이필수 후보가 당선됐다. 대한의사협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6일 저녁 7시부터 실시한 제41대 대한의사협회 회장 선거 결선투표 개표 결과, 이필수 후보는 1만 2431표를 득표해 1만 1227표를 얻는데 그친 임현택 후보를 1204표차로 제치고 새로운 의협 회장으로 당선됐다. 지난 25·26일 이틀간 실시된 전자투표에는 총 선거인 수 4만 7885명 중 2만 3007명이 참여해 48.05% 투표율을 보였다. 지난 1차투표의 2만 5030명(52.27%)보다는 투표율이 낮아졌다. 우편 투표를 통해 선거에 참여한 유권자는 총 658명으로 역시 1차투표 1084명에 비해 줄었다. 이날 이필수 당선자는 당선증 수여식 후 밝힌 당선 소감을 통해 ‘회원들의 권익 보호’와 ‘협상’, ‘투쟁’을 세가지 과업으로 꼽았다. 이 당선자는 “제가 출마한 이유는 우리 회원의 권익을 최대한 보호하고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 목표를 나아가는 과정에서 회원들의 다양한 의견들을 충분히 듣고 수렴해 적극 존중할 것임을 약속드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