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가 올해 초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내시경 검사실 대처법’ 준수를 15일 다시 당부했다. 소화기내시경학회는 지난 3월 20일 코로나19 관련 내시경 검사실 대처법을 발표한 바 있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소독위원회(이사 조수정)가 배포한 대처법에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추가 업무를 중심으로 ▲검사 시술 전 의사 및 직원의 보호방법 ▲내시경 시술 전후 환자의 준비 ▲시술 후 내시경 소독방법 ▲환경 소독약제, 소독범위 및 검사실 환기 ▲코로나19 감염환자 검사 후 검사 중단 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포함됐다. 우선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 전 의심환자 선별에 대한 지침의 준수가 중요하다. 반드시 코로나19 감염증 선별을 위한 문진을 하고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내시경 전에 코로나19 선별검사를 먼저 시행해 확인토록 했다. 검사 전 발열, 호흡기 증상 등의 선별 문진을 통해 무증상일 경우 검사를 시행하며, 코로나19 감염 증상이 의심되면 선별진료소에서 검사 후 음성 결과가 확인될 때까지 검사를 미루도록 했다. 확진검사가 양성일 경우 음성 결과가 확인될 때까지 검사를 연기한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확진환자의 내시경 검사가
조선대병원이 3관 병동촬영실을 개소하고 최신 X-ray 장비를 도입했다. 조선대병원은 14일 병원 3관 3층에서 ‘3관 병동촬영실’ 개소식을 가졌다. 이번 개소식에는 정종훈 병원장 및 집행부 등 최소한의 교직원만 참석했다. 기존에는 1관 7층 병동 촬영실과 1·3관 1층 촬영실에서 평일 주간 병동환자 X-ray 영상검사를 시행했으나, 외래와 병동환자가 집중되는 시간대에 환자가 다소 대기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환자 및 보호자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정확한 검사를 통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3관 병동촬영실을 개소하고 최신 디지털 X-ray(Digital Radiography, 이하 DR) 장비를 도입했다. 이번에 도입한 디지털 진단용 촬영장치인 ‘AccE GC85A’는 안정적이고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피폭량을 줄여 안전하게 X-ray 검사를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넓은 신체 부위를 검사해야 할 때, 한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Smart Stitching 촬영 기능’은 의료진이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재검사 위험을 감소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 2차 대비 종합점수는 상승하고 1등급 기관 수는 증가한 반면, 5등급 기관 수는 감소해 전반적으로 중환자실 의료서비스 질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은 중환자실의 균형적이고 지속적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제3차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평원 누리집을 통해 16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는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14년 처음 실시한 후 2017년부터 격년으로 실시하고 있다. 종합병원은 100병상 이상을 보유하고 의료법에서 정하는 7~9개 진료과목을 갖추고 있는 병원이고, 상급종합병원은 종합병원 중 중증질환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곳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다. 평가 결과, 종합점수는 4점 상승(69.2점→73.2점)했고, 1등급 기관 수는 17개 기관 증가(64기관→81기관)한 반면, 5등급 기관 수는 6개 기관 감소(19기관→13기관)했다. 7개 평가지표 중 6개 평가지표가 향상됐고, 1개 평가지표(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는 소폭 상승(1.01명→1.03명)했다. 상급종합병원의
LG화학 당뇨신약 ‘제미글로’가 국산신약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LG화학은 15일 유비스트(UBIST)의 원외 처방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당뇨 신약인 ‘제미글로(Zemiglo) 제품군’의 올해 11월까지 누적 매출이 1062억원을 기록, 국산신약 중 유일하게 1천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현재 30여개의 국산신약 브랜드 중 1천억원을 넘긴 브랜드는 제미글로가 유일하다. 제미글로는 LG화학이 2003년 제품개발에 돌입해 2012년말 출시한 국산신약 19호다. 출시 첫해 56억원 매출을 시작으로 2016년 500억원을 넘겼고 지난해 1,008억원을 기록하며 국산 신약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성장해왔다. 지난 8년간 7억 정 이상 판매되며, 누적 매출도 5천억원에 달한다. 그 동안 판매된 약들을 가로로 줄 세우면 약 1만km로, 이는 인천공항에서 미국 뉴욕 존에프케네디 공항까지 비행거리(약 1만 1000km)와 맞먹는다. LG화학은 제미글로의 제품력 강화와 함께 영업력을 확대해 왔으며, 그 결과 제미글로는 ’12년말 출시 후 현재까지 연평균 55%의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LG화학은 약 500억원을 투자해 제미글로를 개발하고, 출시한 이후에도800억원 이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사장 배병준)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내외 임상시험 동향을 분석해‘코로나19 임상시험포털’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12월 15일 기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ClinicalTrials.gov에 신규 등록된 코로나19 관련 약물 중재 임상시험은 전월 대비 92건 증가한 1636건이다. 전체 임상시험 1636건 중, 치료제 임상시험은 1509건으로 92.2%,백신 임상시험은 127건으로 7.8%를 차지했다. 이중 개발 마지막 단계인 임상 3상의 비중은 치료제 임상시험이 454건으로 30.1%, 백신 임상시험이 57건으로 44.9%를 차지했다. 연구주체별로는 연구자 987건(60.3%), 제약사 595건(36.4%), NIH 등 정부주도 54건(3.3%)으로, 정부, 연구계, 산업계 모두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현재 52개의 백신 후보물질이 임상시험 단계에 있으며, 이중 13개가 이미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162개의 백신 후보물질이 전임상 단계에 있어 앞으로도 활발한 백신 개발이 예상된다. FDA는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80명 발생했다. 격리 환자는 1만 1000대를 돌파했고, 집계 시작 11개월여만에 누적 사망자는 600명을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2월 1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48명, 해외유입 사례는 32명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만 4364명(해외유입 4962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57명으로 총 3만 2559명(73.39%)이 격리해제돼, 현재 1만 120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05명이며, 사망자는 1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00명(치명률 1.35%)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274명, 서울 246명, 인천 55명, 울산 49명, 부산 40명, 충남 37명, 대전 32명, 충북 24명, 대구 18명, 경남 16명, 경북 15명, 강원·전북 각 13명씩, 제주 9명, 광주 5명, 세종·전남 각 1명씩 발생했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8명, 지역사회단계에서 24명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 11명, 외국인 21명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344만 1220명 중 330만 3383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9만 3473명이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급속도로 확산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의료 인력 확보에 빨간불이 켜지자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에 전공의 투입 카드와 전문의 시험 면제 카드까지 만지작거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대한전공의협의회는 14일 성명서를 내고 “근로기준법 사각지대에서 이미 마른 수건 짜듯 일하며 자신들의 위치를 지키고 있는 전공의들은 정부가 아무 때나 부른다고 달려갈 수 있는 노예가 아니다”면서 수위 높게 비판했다. 대전협은 “정부가 의사들을 홀대하고 있는 것이 자명한 상황에서, 최근 정부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전공의들을 차출하겠다한다. 이는 가혹한 환경에서 수련중인 전공의들에게 짐을 더 얹는 것과 같다. 뿐만 아니라 병원의 중요한 인력을 차출해 코로나19 방역에 투입하는 것”이라고 정부의 전공의 투입 고려에 명백히 선을 그었다. 대전협은 “전공의들은 이미 코로나19로 인한 가중 업무에도 시달리고 있다. 일부 국립대학병원에 속한 전공의들의 경우, 코로나19 병동 업무 또한 맡으며 업무 과중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중”이라면서 “기존의 업무량도 이미 과다한 상황에서 새로운 업무까지 맡게 된 전공의들에게 정부는 무엇을 주는가. 명예도 실리도 잃어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전국 17개 지자체와 함께 11월 한달 동안 의료기기 무료체험방 2023개소에 대해 방역수칙 이행여부를 점검하고 이 중 방역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는 96개소에 대해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이번에 점검된 주요사항은 ▲종업원, 사용자 마스크 미착용 ▲체온계 미비치 ▲출입명부 작성 미흡 ▲좌석간격 1m 미만 배치 ▲음식 섭취 등이었다. 이번 점검은 지난 11월 3일 식약처와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마련한 ‘의료기기 무료체험방의 방역지침’에 따라 무료체험방 내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 이행여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실시했다. 아울러, 수도권에는 의료기기 소비자 감시원과 함께 포스터, 리플릿 배포를 병행하는 등 방역수칙에 대해 집중 교육‧홍보를 실시했다. 식약처는 지자체와 함께 앞으로도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에 맞춰 코로나19에 취약한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의료기기 무료체험방에 대해 지속 점검하는 등 방역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MSD(대표이사 케빈 피터스)는 지난 11일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 치료제 싱귤레어®(성분명: 몬테루카스트나트륨)의 국내 허가 20주년 을 맞아, 그 동안의 성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사내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에서 2000년 11월 첫 허가를 받은 싱귤레어®의 20주년1을 기념해 환자와 함께 호흡하며 달려온 싱귤레어®의 지난 20년을 돌아보고, 앞으로도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 환자들의 건강에 기여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마련됐다. 이날 한국MSD 다이버시파이드 프랜차이즈(Diversified Franchise) 임직원들은 싱귤레어®의 그동안의 성과를 한눈에 표현한 메시지 보드를 사내 행사 현장에 전시하고 기념 촬영을 가졌다.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고려해 참여 인원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마스크 착용 등 감염병 예방 원칙을 준수하며 진행됐다.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은 가장 흔한 만성 기도 질환 중 하나로, 요즘같이 기온이 낮아지고 찬바람이 부는 계절에 환자수가 증가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 통계 정보의 최근 3년간(2017~2019년)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 월별
하루 확진자가 1000명 이상 발생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를 돌볼 의료 인력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전문의 시험을 앞둔 일부 3년차 및 4년차 전공의들의 시험을 면제해주고 이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및 일선 병원 전공의들이 유감을 표하고 “현 상황에서 전공의 동원은 단지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와 같다”고 반발했다. 35개 병원 전공의 대표자 일동은 14일 성명서를 내고 “의학 수련과 환자 진료라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전공의’라는 신분과 의료라는 전문영역에서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 없이 내려진 이러한 행정편의주의적인 결정에 유감을 표하는 바”라며 “우리 젊은 의사들은 ‘시험을 치르지 않게 해주는 것’을 마치 큰 수혜인 양 ‘당근’으로 내미는 비상식적인 행태에 안타까움을 금할 길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전공의들은 “급박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라면서도 “해당 방안에는 중대한 문제가 있다. 전공의를 동원해 코로나 전선에 투입하더라도 총 의료인의 수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점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들의 말에 따르면, 현재 각 전공의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이사: 스테판 월터)은 지난 12월 9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본사에서 세계뇌졸중학회(World Stroke Organization, WSO)와 베링거인겔하임이 공동 주최하는 ‘WSO 엔젤스 어워드(WSO Angels Award)’ 국내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상식은 WSO 엔젤스 어워드를 시상하는 ‘2020 유럽뇌졸중학회-세계뇌졸중학회 연합 학술대회(ESO-WSO 2020 Joint Virtual Conference)’가 코로나19 상황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해 특별히 국내 수상 병원들을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 WSO 엔젤스 어워드는 뇌졸중 환자 치료 개선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꾸준히 기록, 제공해온 병원들의 공로를 기리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문화를 확립하고자 제정됐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엔젤스 이니셔티브(Angels Initiative)‘는 뇌졸중 치료를 개선하기 위해 세계뇌졸중학회(WSO), 유럽뇌졸중학회(ESO) 등 여러 국가의 뇌졸중 학회 및 의료기관, 기업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수상 자격은 RES-Q(Registry of Stroke Care Quality) 또는 SITS-QR(Safe I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S) 및 의료정보기술(HIT) 관련 환자안전사고가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KOPS)에 보고된 전체 사고의 1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94%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및 의료정보기술로 예방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EMRS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사례분석 기반 전자의무기록의 사용성 및 안전성 가이드라인(이재호)’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서울아산병원 이재호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2016년 8월 6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KOPS에 보고된 보건의료인용 보고서 2만 5515건 중 ‘HIT관련 사고’ 및 ‘EMRS 관련 사고’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HIT관련 사고는 2664건이었고, 이중 94.0%(2503건)가 예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투약’이 82.3%(2192건)로 가장 많이 보고됐고, ‘검사’가 10.9%(291건)로 뒤를 이었다. 종별로 보면 약국이 1318건(49.5%)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 715건, 상급종합병원 581건 순이었다. KOPS에 보고된 전체 보고 건수와 비교해 보면 약국에서 보고한 3259건 중 40.4%는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터져나오는 가운데 지난 8일 영국에서 화이자가 생산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뒤이어 14일 미국에서도 화이자의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미국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되던 14일 오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병원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승인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미국 화이자·바이오엔텍 백신의 FDA 승인 및 접종 현황을 언급하고 백신 접종에 대한 인식 제고를 촉구하는 한편, 백신 부작용 면책 조항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영국을 뒤따라 미국이 두 번째로 FDA를 통해 16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화이자∙바이오엔텍 백신접종을 시작하게 됐다. 이는 12월 10일 백신생물제제 자문위원회에서(VRBPAC)의 긴급사용승인 권고에서 시작됐다. 권고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 위원회에서 안전성, 효과, 생산 품질 정보를 검토한 결과,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보다 백신의 긍정적 측면인 코로나 예방 효과가 높고, 상회한다고 판단돼 FDA가 16세 이상에서 승인하게 된 것이다. 김 교수는 이를 언급하며 “많은 사람들이 백신은 무조건 부작용이 없어야 하고 예방효과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접종할 수 없다고
지금껏 유례없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세 번의 위기가 찾아왔다. 첫 번째 위기는 신천지발(發) 대구·경북지역 집단감염 사태였다. 당시 코로나19 최전선이었던 대구·경북지역 의료현장에 자발적으로 뛰어든 전국 각지에서 모인 의료진들 그리고 수많은 도움의 손길 덕분에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두 번째 위기에는 사랑제일교회·광화문집회發 수도권 중심의 산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있었다. 생활치료센터 설치, 광범위한 선별검사 등 한 차례 홍역을 치른 뒤라 신속한 대처가 가능했다. 성숙한 시민의식도 한몫했다. 그리고 하루 확진자가 1000명 이상 발생하는 등 지금의 세 번째 위기에 들어섰다. 그동안 전문가들이 누누이 경고해온 ‘겨울철 3차 대유행’이 현실화된 것이다. 그동안 세 번의 위기 속에서 중환자 병상을 확충해야 한다는 보건의료계의 경고 메시지는 수십 번 있었다. 6월 22일 남인순·김성주·최혜영·배진교 의원이 공동주최한 ‘공공의료체계 강화 방안’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윤 교수는 ▲중환자실 3500병상 이상 추가 확보 ▲일반병동의 준중환자실 전환 가능토록 시설 정비 ▲중환자 진료 지원팀 구성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 중환자실 진료 기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코로나19 현장 파견 모집 4일만에 1410명의 간호사가 지원했다. 대한간호협회 코로나19 비상대책본부(본부장 신경림 간호협회장)는 14일 오후 3시 기준 1410명의 간호사를 모집했다고 밝혔다. 간협은 12월 10일부터 수도권 선별진료소 근무 및 코로나19 환자치료 등을 위한 간호사 긴급 모집을 실시한 바 있다. 신경림 회장은 “코로나가 재유행하는 위기의 순간에 우리 간호사 여러분이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자원해 코로나에 지친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며 “인력부족의 어려움 속에서도 고군분투 하시는 간호사 여러분에게 존경과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간협에 접수된 지원 현황에 따르면 수도권 임시 선별진료소 근무를 신청한 간호사는 296명이고, 코로나19 환자 치료 등에 파견을 희망한 간호사는 1114명이다. 대한간호협회가 지난 10일, 150개의 임시 선별진료소 개설을 위해 긴급 모집을 실시한 이후 하루 만에 296명의 간호사가 신청했다. 이들은 희망지역에 따라 14일부터 근무에 들어간다. 코로나 19 치료 등을 위한 간호사와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선별진료소에 근무할 간호사도 상시 모집하고 있다.
대원제약(대표 백승열) ‘장대원‘이 핸드크림과 KF94 마스크를 증정하는 겨울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대원제약의 종합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장대원은 이달 말까지 장대원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카밀 핸드크림과 KF94 마스크를 증정한다. 장대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세트 제품을 구매할 경우 카밀 핸드크림 미니 5종 세트와 KF94 마스크 5매를, 단품을 구매할 경우 카밀 핸드크림 미니 3종 세트를 받을 수 있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기 쉬운 겨울철을 맞아, 고객들의 보습을 위한 핸드크림 증정 이벤트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한편 장대원의 모든 제품은 구매 시 SMS를 통해 모바일 복권이 지급되며 경품으로 메가박스 패키지, 맘스터치 싸이버거 세트,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배스킨라빈스 싱글레귤러 등을 받을 수 있다. 재고가 소진될 경우 이벤트는 조기 종료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장대원 온라인 쇼핑몰에서 확인 가능하다.
종근당(대표 김영주)이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나파벨탄’이 러시아, 멕시코, 세네갈에 이어 호주에서도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한다. 종근당은 호주 식약처로부터 호주의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글로벌 임상시험 프로젝트인 ASCOT(Australasian COVID-19 Trial) 임상에 나파벨탄이 참여하는 내용의 임상 3상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임상 승인으로 종근당은 호주, 뉴질랜드, 인도의 코로나19 환자 약 2440명을 대상으로 나파벨탄의 코로나 치료제로의 개발을 위한 대규모 임상을 진행한다. ASCOT 임상은 호주 멜버른 대학의 감염병 전문 연구기관인 피터 도허티 연구소(The Peter Doherty Institute)가 주도하고 호주, 뉴질랜드와 인도에서 70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는 대규모 글로벌 임상시험이다. 종근당은 ASCOT 참여로 나파벨탄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기존 4개국에서 7개국으로 확대함으로써 다양한 인종에서 약물의 효능을 확인하고, 글로벌 사용 승인에 필요한 임상 결과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종근당은 지난 11월 러시아에서 진행 중인 임상 2상에 대한 데이터안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고광표, 박철원 각자 대표이사)은 면역질환 파이프라인인 ‘KBLP-001’의 국내 임상 2상 시험계획 (IND) 제출과 ‘KBLP-002‘의 호주 임상 1상 투약 완료를 밝혔다. 고바이오랩은 미국FDA로부터 임상2상(연구명: PRIME KBL) 승인을 받은 ‘KBLP-001’의 국내 임상2상 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본 임상시험은 중등도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KBLP-001의 안전성과 유효성 및 약물의 적정 투여 용량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고, KBLP-001을 12주간 저용량과 고용량에서 투여해 위약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 및 적정 투여 용량을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고바이오랩은 알레르기성 면역질환을 타깃하고 있는 “KBLP-002”도 호주 임상 1상 시험의 투약이 완료되었다고 밝혔다. 지난 3월부터 진행한 임상시험은 KBLP-002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자인됐고, 올 8월에 투약을 개시한 바 있다. 임상 1상 결과 보고서는 데이터 분석 후 내년 1분기에 완료될 예정이고, 내년 상반기 중 미국 FDA에 알레르기성 면역질환 관련 임상 2상 IND를 제출
연세암병원 병원학교가 개교 20주년을 맞이해 지난 11일 기념행사를 진행했다. 연세암병원 지하 2층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기념행사에는 병원학교 초대 교장이었던 김병길 연세대 의대 명예교수, 현재 병원학교장인 의대 유철주 교수(연세암병원 소아혈액종양과장), 소아혈액종양과 한승민 교수, 간호대학 최은경 교수 그리고 병원학교 운영에 협력하고 있는 사회사업팀, 원목실, 간호팀 교직원들도 함께했다. 기념식은 유철주 교수의 인사말로 시작해 김병길 명예교수의 기념사가 이어졌고, 조희연 서울시교육청 교육감은 영상으로 축사를 전했다. 병원학교와 협력기관인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이 자리 잡고 있는 양주시의 조학수 부시장도 영상으로 격려사를 전했다. 20주년 기념행사를 준비해온 간호대학 최은경 교수가 맺음말을 전했다.2000년 12월 ‘세브란스 어린이병원학교’로 개교한 병원학교는 2014년 새로 건축된 연세암병원으로 교실을 이전하면서 ‘연세암병원 병원학교’로 명칭을 개정했다. 현재 연세암병원 12층 126병동에 있으며, 소아암 투병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아동을 위한 1개 학급을 운영 중이다. 수업시간은 개별 교과 수업 초등 40분, 중∙고등 50분, 통합수업 50분을 원칙으로 하
레졸루트(Rezolute, Inc.)가 12월 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RZ402’에 대한 임상 계획(IND, Investigational New Drug)을 승인받아, 2021년 1분기 중 사람 대상 임상 1상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한독이 14일 밝혔다. 레졸루트는 한독과 제넥신이 최대주주로 있는 미국 바이오벤처다. ‘RZ402’는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를 위한 경구 혈장 칼리크레인 억제제이다. 설치류 대상 예방과 치료 모델에서 당뇨병성 황반부종의 망막염증(retinal inflammation)과 망막혈관누출(retinal vascular leakage)을 80% 이상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임상연구에서는 용량 범위 내 단일 및 반복 투여 모두에서 뛰어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동물 연구 결과로 유리체 내에 직접 주사하는 현 치료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경구용 치료 옵션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레졸루트의 연구 및 임상 개발 책임자인 브라이언 로버트(Brian Roberts)는 “VEGF 억제 치료제의 등장으로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가 상당히 진전됐지만 주사제라는 점에 불편해하는 환자들이 있다. 매일 복용하는 방식의 RZ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