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서울대병원(병원장 김연수)이 14일 한국생산성본부가 발표한 2020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National Brand Competitiveness Index) 종합병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는 한국생산성본부가 기업의 인지도, 이미지, 충성도 등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으로, 매년 상반기에는 제조업, 하반기에는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2010년부터 13년까지 4년 연속 1위를 한데 이어, 2016년부터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한편, 서울대병원은 지난 3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발표한 2020년 제22차 한국산업 브랜드파워(K-BPI) 조사에서 20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 국내발생 확진자가 사흘연속 90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격리 중 환자는 300명 가까이 감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1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2만 2391명(해외유입 3029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389명으로 총 1만 8878(84.31%)이 격리해제 돼, 현재 314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8명이며,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67명(치명률 1.64%)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32명, 경기 31명, 인천 8명, 부산 4명, 충남·제주 각 3명, 대전·충북·경남 각 2명, 광주·강원·전북·경북 각 1명 등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5명, 지역사회단계에서 10명이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이 8명, 외국인이 7명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216만 4578명 중 211만 4877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7310명이 검사 중에 있다.
한국노바티스(대표: 조쉬 베누고팔)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의 임상적 유용성과 치료제로서의 가치가 지난 4일 진행된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Kor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2020 온라인 학술대회 런천 심포지엄에서 재조명됐다고 밝혔다.‘호르몬 수용체(HR) 양성, 인간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HER2)음성(HR+/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 환경: CDK4/6 억제제’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런천 심포지엄에서 MONALEESA 임상연구의 배경과 의미, 그 가치를 재조명하며 삶의 질 개선 평가 결과도 함께 소개됐다. 키스칼리 허가의 배경이 된 MONALEESA-7 임상연구는 폐경 전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일한 글로벌 3상 임상 연구로 1차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특히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환자 30%가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내분비요법 단독 대비 사망위험을 29% 감소시키며 생존기간 연장과 삶의 질 개선을 동시에 입증했다. 또한 MONLAEESA-7을 비롯한 MONALEESA-2,3 임상 연구에 참여한 아시아 환자의 데이터만을 분석한 결과, 내장 전이가
사노피 파스퇴르㈜ (대표 파스칼 로빈, Pascal Robin, 이하 “사노피 파스퇴르”)는 올해 독감 예방접종 시즌을 맞아 자사의 독감 백신 ‘박씨그리프테트라주(Vaxigrip Tetra, 이하 “박씨그리프테트라”)’를 전국에 공급했다고 15일 밝혔다. 사노피 파스퇴르는 올해 독감 백신이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포함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지원 대상자가 확대됨에 따라 독감 예방이 필요한 환자들이 적기에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자사의 독감백신을 원활히 공급했다. 이에 따라 박씨그리프테트라는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 전국 주요 병∙의원에서 9월 15일 이후부터 접종 가능하다. 사노피 파스퇴르는 코로나19로 인해 강조되는 독감 예방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박씨그리프테트라 모델로 ‘전 연령에게 친근한’ 이미지인 가수 송가인을 발탁, ‘올해 독감 예방은 선택 아닌 필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가수 송가인의 전 세대를 아우르는 긍정적인 이미지와 특히 독감 예방이 필수적인 고령자, 만성 질환자를 보유한 주 연령층에게 호감도가 높아 ‘독감 예방은 필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는 평이다. 박씨그리프테트라는 1만 3천명 이상이 참여
한림대학교의료원은 입원환자의 낙상과 욕창 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예측해주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낙상, 욕창 등 병원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고안된 머신러닝 기반 AI 모델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낙상과 욕창은 원내감염과 더불어 병원이 환자안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질병의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회복과 예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낙상과 욕창을 예방하면 전반적인 입원 생활의 질을 높이면서 비용은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림대의료원은 이번 AI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최근 5년간 낙상 데이터 16만 건, 최근 10년간 욕창 데이터 28만 건을 분석 및 가공하고 최적화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했다. ‘낙상 위험 예측 AI모델’에 사용된 데이터는 환자의 기본정보를 비롯해 낙상위험약품, 항응고제 투여 여부, 골다공증, 걸음걸이, 인지장애 등 20여 가지가 넘는다. ‘욕창 위험 예측 AI모델’ 역시 감각인지, 습기, 활동 정도, 기동력, 영양상태, 마찰력·응전력, 헤모글로빈, 식이, 기저질환 등 20여 가지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과정을 거쳐 제작됐다. 기존에 사용하던 낙상, 욕창 예측 도구는 입원이
러시아에서 태반주사제의 코로나19 치료 효과를 확인한 논문이 발표됐다. 태반(Placenta) 전문 제약회사 JBP(㈜일본생물제제)의 한국현지법인 ㈜제이비피코리아(대표 임홍석)는 러시아 Pirogov 국립 연구의학대학 연구팀에서 인태반가수분해물 ‘라이넥’의 코로나19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논문이 발표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러시아에서 2020년 4월부터 5월 사이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라이넥을 정맥 투여하며 증상 개선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대상은 39세에서 86세까지의 총 28명으로, 대조군 14명, 라이넥 투여군 14명으로 구성됐다. 이 중 8명은 2형 당뇨, 12명은 죽상동맥경화증 및 관상동맥심장질환 등 합병증을 가진 환자였다. 이 환자들은 인공호흡기 또는 HFNC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었으며, 대조군은 표준치료법으로 처치했다. 연구에서 라이넥 투여군은 혈중 페리틴이 감소함을 확인했지만, 대조군에서는 감소하지 않았다. 간기능 저하, 중증호흡기질환일 경우 혈중 페리틴이 높아지게 되는데, 코로나19에 감염돼 적혈구세포가 용해될 경우 혈중 페리틴이 증가하게 된다. 중증도 감염에서 증가하는 C반응성단백질(C-reactive pr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승찬 교수가 지난 5일 열린 제64회 대한고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우수 구연 발표상을 수상했다. 김승찬 교수는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3D CT 분석을 통한 비구 주변 골절 발생 및 그 예후’(교신저자 은평성모병원 권순용 교수)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시행했으며, 연구의 우수성과 연구결과의 임상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승찬 교수가 진행한 이번 연구는 3D CT 영상 분석을 통해 진행한 비구컵 주변 골절에 대한 최초의 전향적 연구로, 김 교수는 비구 주변 골절 발생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양호한 임상적 예후와 생존 결과를 보인다는 점을 밝혀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고관절 인공관절 수술에서 대퇴스템 주변 골절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 결과가 알려져 있었지만 비구컵 주변 골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면서 “앞으로 비구 주변 골절 발생 및 예후에 대한 장기간 추적관찰 및 지식축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이 코로나19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주민을 위해 글로벌 사회 공헌 활동에 나섰다. 칠곡경북대병원은 지난 11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주정부의 요청으로 방호복, KF94 마스크, 니트릴 장갑, 페이스 쉴드, 환자 치료를 위한 산소마스크 등을 지원했다. 우즈베키스탄은 현재 코로나 확진자가 4만 5000여 명에 이르고, 사망자가 380여 명에 이른다. 앞서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은 지난해 4월 문재인 대통령 중앙아 3국 순방 당시 사마르칸트 국립의과대학-사마르칸트 국립의과대학 제1,2병원-경북대학교병원 간 의료협력, 학술연구, 교육 분야 교류를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11월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의료진을 위한 ‘한국형 의료시스템, 최신 의료기술에 대한 마스터 클래스’를 진행해 사마르칸트 주정부와의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손진호 원장은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의 K-방역물품의 지원으로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현지 코로나19 방역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그동안 소위 ‘기피과’라고 불리면서도 묵묵히 환자의 생명을 책임지며 필수의료 분야를 지켜온 과가 있다. 바로 ‘흉부외과’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는 지난해 11월 18일에서 12월 1일까지 조사기관(한국갤럽)에 의뢰해 온라인으로 흉부외과 전문의들의 근무현황과 행태를 조사했고, 코로나19 상황 발생과 의료계 파업 등으로 미뤄왔던 결과를 14일 공개했다. 설문조사에 385명이 참여했고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근무자가 전체의 84.9%를 차지했다. 그러나 전공의가 없는 흉부외과의 위기가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전공의가 1명이거나 없는 경우가 61.1%에 달했다. 흉부외과 전문의의 근무 상황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열악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 327명을 조사한 결과 1주일간 평균 63.5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고 노동시간인 일일 8시간을 넘겨 일하는 근무 일수는 주간 평일 5일 기준 4.6일로 거의 매일 초과근무하는 셈이다. 또 1개월 평균 당직 일수는 5.1일로 주당 하루나 이틀은 병원에서 당직을 섰으며, 이와는 별도로 출근 대기 및 응급으로 인한 병원 외의 대기 근무(온콜)를 해야 하는 경우는
서울아산병원이 말기 간질환을 앓고 있는 절체절명의 중증 환자들을 살리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이어온 가운데 최근 세계 처음으로 7000례가 넘는 간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집도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말기 간질환의 유일한 치료법이자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은 간이식 수술은 서울아산병원이 1992년 뇌사자간이식 수술과 1994년 생체간이식 수술을 시작으로 28년 만에 최근 생체간이식 5805건, 뇌사자간이식 1195건을 달성하면서 7000명의 말기 간질환 환자들에게 장기생존과 삶의 질을 보장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지난 7월 17일 담즙성 간경변증으로 투병중인 임모씨(여,67세)에게 아들 이씨(남,41세)의 간 일부를 떼어내 이식하는 생체간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세계 처음으로 간이식 수술 7000례를 달성했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8년 연속 연 300례 이상을,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연 400례 이상을, 2019년에는 한 해 세계 최다 505례의 간이식 수술을 기록해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성적인 98%의 수술 성공률로 간이식 수술의 안정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지난 1999년 1월 기증자의 간
신개념 대사질환 치료물질 기반 신약개발기업 노브메타파마(대표이사 황선욱)가 14일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을 소개하기 위한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코넥스 상장회사인 노브메타파마의 이번 코스닥 이전상장은 패스트트랙제도(신속 이전상장제도)를 활용한 것이다. 노브메타파마는 2010년 설립돼, 현재 내인성 펩타이드로 안전성이 확인된 C01과 그 합성물질인 CZ를 활용해 다양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노브메타파마의 신약개발 핵심물질인 CZ는 C01에 미네랄을 추가한 형태로 용량과 혼합비율 변경으로 다양한 대사질환치료제로 확장개발이 가능한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후보물질이다. 노브메타파마가 원천기술을 확보한 C01, CZ는 당뇨, 비만, 만성신장질환 관련 미국 물질특허 뿐만 아니라 해당 적응증에 대한 국내외 용도특허를 승인받고, 임상 3상에 들어갈 수 있는 수준의 안전성을 FDA로부터 확인받았다. CZ의 경우 주요 기전인 ‘AMPK’를 활용한 당뇨, 비만, 염증 및 암 등 질환에 대한 예방/치료제를 개발하고 있고, C01의 핵심 기전인 ‘Nrf2’는 항염증 관련 중요 중개 물질로 작용해 다양한 질환에 적용이 가능하다. 현재 NovDB2(제2형 당뇨병 치료제)는 임상 3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프라잔’의 주사제 개발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고 14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기존 경구제 개발에 이어 주사제로 제형을 다양화한다. 주사제는 경구제에 비해 환자 선호도는 낮지만, 경구투여가 어렵거나 신속하게 산 분비 억제가 필요한 환자를 위해 개발하게 됐다. 반면 일부 국가에서는 정제와 유사한 수준으로 주사제 시장이 형성돼 있어 주사제로 해외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임상 1상에서는 건강한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정맥투여 후 안전성과 내약성, 약물이 체내에서 작용하는 특성 등을 평가하게 된다. 펙수프라잔과 위약을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단회 투여하고, 단계적으로 용량을 증량해 진행된다. 대웅제약은 올해 투약을 시작하고, 내년 중 임상 1상 결과를 확보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대웅제약은 펙수프라잔 정제의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동일 계열 약물 중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는 위염에 대한 임상 3상,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요법에 대한 3상을 비롯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병용시 약물 상호작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윤건호)가 주관하고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후원하는 제16회 ‘Young Investigator Award(한독학술상)’ 수상자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김남훈 교수가 선정됐다. ‘Young Investigator Award’는 국내 당뇨병 연구 발전에 기여한 의료계 인사에게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만 45세 이하의 대한당뇨병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국제적 유명잡지(SCI 잡지)에 제1저자 또는 책임 저자로 발표한 연구논문을 심사해 선정한다. 김남훈 교수는 2018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통해 당뇨병 연구 발전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특히 작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학술지 중 하나인 The BMJ(British Medical Journal)에 ‘스타틴(statin)을 사용하고 있는 대사증후군 환자에 대한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병용에 따른 심혈관 결과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최근 3년간 SCI 등재 잡지에 9편의 관련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학술 활동을 펼치고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박홍준)는 14일 성명서를 내고 장폐색환자에게 장정결제를 투여 후 환자가 사망하자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강남세브란스병원 의사에게 최근 법원이 금고 10개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한 것과 관련, 이번 판결이 의료계에 미칠 영향을 심각하게 보고 있으며, 이러한 사태가 결국 의사들의 공분을 자극해 또 다른 사회적 파장을 낳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료분쟁특례법 제정이 필요하다. 의료계가 꾸준히 주장해온 바대로 의학적 판단에 따른 진료과정에서 업무상 과실로 인한 의료분쟁이 발생한 경우 의료인에 관한 형사처벌을 면제하는 법규 신설이 시급하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법원 감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감정 의견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통해 최종적인 감정 결과를 얻어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며 “특히 유·무죄를 다루는 형사사건에서는 이런 절차가 필수적이며, 의료감정원 등 전문적 기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하 성명서 전문. 필수과 의사를 구속하면 도대체 바이탈과 의사는 누가 하나? 의사를 또 구속했다. 생명을 다루는 소위 ‘필수과’ 의사다. 2016년 장폐색환자에게 장정결제를 투여 후 환자가 사망하자 업무
코로나19 신규 국내발생 확진자가 이틀연속 100명 아래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8명, 해외유입 사례는 11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2만 2285명(해외유입 3014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63명으로 총 1만 8489(82.97%)이 격리해제 돼, 현재 343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7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63명(치명률 1.63%)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41명, 경기 30명, 인천 10명, 충남 7명, 부산·광주 3명, 대구·대전·울산·경남 1명씩 발생했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5명, 지역사회단계에서 6명 확인됐고, 국적은 11명 모두 외국인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215만 1002명 중 210만 1241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7476명이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제약사들이 다양한 특허 출원에 성공했다. 현대인들로부터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안구건조증과 관련한 특허부터,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필수품인 손세정제 원료와 관련된 특허까지 다양한 특허가 출원됐다. 이틀 간격으로 두 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데에 성공한 제약사도 있으며, 외국으로부터 유망 기술을 이전받기 위해 계약한 제약사도 있다. ◆유한양행, 美로부터 기술 이전받아 유한양행은 지난 달 19일 미국 ‘프로세사 파머수티컬’로부터 세로토닌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작용하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 치료제 YH12852’ 기술을 이전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총 기술수출금액은 US$ 410,500,000로, 계약상대 주식 US$ 4,500,000 상당이 포함됐다. 계약금은 US$ 2,000,000 상당의 계약상대 보통주로 반환 의무는 없다. 개발, 허가 및 매출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 기술료는 총 US$ 408,500,000를 수령할 예정이며 이 중 US$ 2,500,000 상당의 계약상대 보통주가 포함됐다. 경상 기술료는 순매출액에 따라 수령 예정이다. 계약지역은 대한민국을 제외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계약기간은 계약일로부터 국가별 특허권가 만료되는 시점 또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국내발생이 지난달 14일 85명 이후 한달만에 두자릿수에 진입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9명, 해외유입 사례는 22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2만 2176명(해외유입 3003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97명으로 총 1만 8226명(82.19%)이 격리해제 돼, 현재 359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7명이며, 사망자는 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8명(치명률 1.61%)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30명, 경기 27명, 대구 14명, 충남 9명, 울산 4명, 부산 3명, 인천 3명, 대전 2명, 광주 2명, 경북 2명, 경남 2명, 강원 1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7명, 지역사회에서 15명이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 9명, 외국인 13명이다. 누적 의사환자 214만 3270명 중 209만 3389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7705명이 검사 중에 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열흘째 100명대를 유지했다. 위·중증 환자도 160명대로 내려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8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2만 2055명(해외유입 2981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13명으로 총 1만 8029(81.75%)이 격리해제 돼, 현재 367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64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5명(치명률 1.61%)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0명, 경기 28명, 인천 8명, 부산 4명, 대구 3명, 광주 3명, 대전 7명, 울산 1명, 강원 3명, 충남 6명, 경북 2명, 경남 2명, 제주 1명 등으로 집계됐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10명, 지역사회단계에서 8명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이 5명, 외국인이 13명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213만 5437명 중 208만 5576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7826명이 검사 중에 있다.
코로나19 방역현장에서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사용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어 지금과 같은 국가 위기 상황을 대비하고 대처하기 위해선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철저히 구축하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이 조언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일산병원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3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 학술대회’가 11일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건보공단과 일산병원은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연구사례를 공유하고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보건의료 정책 발전에 기여하고자 지난해를 시작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 학술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 자리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노인성 질환 및 만성질환 연구의 실제’라는 주제를 발표한 국민건강보험공단 김동욱 건강서비스센터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나 연구결과들을 소개했다. 김 센터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생활습관을 비교분석한 결과 비만인 사람은 일반인에 비해 코로나19 감염위험이 높고, 운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이 감염위험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코로나로 인해 의료이용이 얼마나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한 결과, 만성질환 부분에서는 작년도 청구건수와 비교해 크게 떨어지지 않았지만, 호흡기질환자는 예년과 비
최근한달 간 제약사들이 다양한 특허 등록에 성공했다. 최대 3건까지특허를 등록한 곳도 있으며, 화장품부터 감염병 관련 특허까지 많은 부문에서 특허가 허가됐다. 특히 유비케어는 감염병 의심환자 모니터링과 관련된 특허를 출원하면서, 전세계를 고통에 몰아넣은 코로나19 의심 환자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한국콜마, 피부부터 펌프용기까지 다양한 접근 시도 한국콜마는 최근 3건의 특허를 등록하면서 제약사들 중 가장 특허를많이 등록하는 데에 성공했다. 먼저 지난 달 18일‘피라칸다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등록됐다. 피라칸타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세라마이드 및 염증 관련 인자’들의 활성 또는 억제 효과를 시험했고,그 결과 유의성 있는 결과가확인돼 특허로 등록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닥터자르트 세라마이딘 크림, 세럼, 토너 등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두 번째 특허는 지난 달 28일 등록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특허다.기존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품에 커버력 향상을 위한 고함량 안료 적용했을 때 벌크 유동성 부족이나 색띠 등의 안료 분산성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