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동국생명과학(대표이사 정기호)은 지난 1일, 소형 컴퓨터 단층촬영(CT) 전문 기업인 ‘바텍’ 및 의료기기 부품 소재 기업 ‘레이언스’와 이동형 소형 CT ‘스마트 엠(Smart M)’에 대한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동국생명과학은 ‘스마트 엠’의 국내 판매권을 갖고, 바텍은 생산과 유지보수, 바텍의 자회사인 레이언스는 ‘스마트 엠’의 핵심 부품인 ‘디텍터’ 공급을 담당하게 된다. ‘바텍’이 개발한 ‘스마트 엠’은 ‘코로나19’ 등의 바이러스성 폐렴 진단은 물론 두부(머리), 경추(목뼈), 팔다리, 관절 부위를 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다. 3차원 3D 이미지로 구현이 가능한 최첨단 의료장비이며, 레이언스가 직접 개발한 고성능 디텍터를 장착해 피폭 선량도 전신 CT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 또한,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추가 시설 공사가 필요한 기존 CT와 달리 가정용 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법규상 기존 전신 CT는 200병상 이상 대형 병원만 도입할 수 있지만, ‘스마트 엠’은 200병상 미만 중소병원, 요양병원, 정형외과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동국생명과학 관계자는 "스마트 엠’은 이동이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제18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ㆍ투자 포럼’에 참가해 자사의 신약 R&D 파이프라인 홍보와 함께 중개연구 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6일밝혔다. 인터비즈 바이오파트너링ㆍ투자 포럼은제약 바이오 분야의산학연 교류 및 협력, 오픈 이노베이션 촉진 등을 위한 국내 최대 규모의 행사로, 올해는 1일부터 3일까지제주 서귀포에서 치러졌다. 행사 기간 중일동제약은 1대1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자사의 ▲고형암 치료제 ▲제2형당뇨병 치료제 ▲NASH(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비 알코올성 지방간염) 등 간 질환 치료제 ▲노인성 황반변성, 안구건조증 등 안과 질환 치료제 ▲파킨슨병 치료제 등과 관련한 자체신약 파이프라인을 알리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뿐만 아니라, 서진식 일동제약 부사장은 ‘바이오 혁신의 본질 가치 실현을 위한전략’을 주제로 마련된 세미나에서 ‘신약 중개연구 강화’와 관련한 내용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란 실험실 등에서 얻은 기초 단계의 아이디어를 적합한 상용화 모델 및기법을 적용해 질병의 진단과 치료 등으로 연결 짓는 가교적 연구로, 통상
글로벌 메디컬 기업 한국스트라이커(대표이사 심현우)는 자사의 인공관절수술 로봇팔 ‘마코 스마트로보틱스(Mako SmartRobotics™)’ 로봇수술 집도 인증 교육과정(Mako™ Certification Course)을 스트라이커사 전 세계 최초로 이원 생중계로 진행, 5일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6월부터 1개월 간 진행된 이번 교육은 코로나19로 해외 연자 초청 등이 어려워, 강의를 비롯해 수술 시연 및 참석 의료진의 해부학 실습 등 모든 교육 과정을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했다. 해외 연자로는 마코 로봇 개발자인 Dr. Coon과 미국 및 해외 마코 트레이너로 활동 중인 Dr. Toomey가 참여하고, 국내 연자는 서울대병원 한혁수 교수, 신촌세브란스병원 박관규 교수, 세란병원 궁윤배 원장이 참여했다. 첫 번째 세션인 마코 강의에는 총 32명의 의료진이 웨비나(webinar)로 참석했으며, 6월 27일~28일과 7월 4일~5일, 총 4일간 가톨릭국제술기교육센터에서 진행된 해부학 실습에서는 국내 연자의 주도로 해부학실습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직접 실습을 통해 마코의 핵심술기를 구체적으로 학습했고, 해외 연자는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는 현장을 확인하며 원격으
대구가톨릭대의료원은 의과대학 권순욱 교수의 연구 논문이 국제적인 출판사 엘스비어에서 발행하는 저널 ‘뉴럴 네트웍스(Neural Networks)’에 게재‧출판되었다고 6일 밝혔다. 뉴럴 네트웍스는 인공지능 및 신경과학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저널 중 하나로 권순욱 교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고막 및 중이 질환에 대한 자동 진단(분류)/Automatic detection of tympanic membrane and middle ear infection from oto-endoscopic images vi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라는 주제로 주도 연구해 이 저널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에는 한림대 동탄병원 이비인후과 홍석진 교수팀과 고려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박일호 교수팀, 그리고 인공지능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고려대 컴퓨터학과 주재걸 교수팀(현재 카이스트 소속)이 함께 참여했다. 권순욱 교수는 “최근의 의학 인공지능은 의사들의 진단을 보조하거나, 분야에 따라서는 대체 가능한 수준까지 발전했다”며 “본 연구결과 귀 내시경을 통해 얻은 영상 데이터에 대해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정상 고막 및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을 정
대웅제약(대표 전승호)는 혈압과 혈행 건강을 동시에 케어할 수 있는 ‘세노메가큐텐+’를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세노메가큐텐+’는 혈행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소비자가 혈압 건강에도 관심이 높다는 점을 반영해 오메가3(EPA 및 DHA 함유유지)와 코엔자임Q10을 한 알에 담았다. 오메가3(EPA 및 DHA 함유유지)로 혈행 개선을, 코엔자임Q10으로 혈압까지 동시에 케어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받은 장용성 캡슐로 위가 아닌 장에서 흡수되어 비린내는 줄이고 흡수율은 높였고, 오메가3(EPA 및 DHA 함유유지)는 엔초비에서 추출한 최상급 신선도를 갖춘 골든오메가사의 원료를 함유했다. 류현지 대웅제약 건강기능식품 PM은 “혈행과 혈압을 동시에 케어하고 싶은 소비자를 위해 ‘세노메가큐텐+’를 발매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생활습관과 증상에 맞춰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라인업을 구성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대웅제약은 소비자들의 간, 장, 눈, 혈행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간 건강에 좋은 ‘에너씨슬’은 씨앗부터 꼼꼼히 관리한 고품질 밀크씨슬 제품으로, 식약처 고시 기준(
한독칼로스메디칼(대표이사 김철준)이 국내 최초로 개발 중인 고혈압 치료용 의료기기, 디넥스(DENEXTM)의 임상시험 참가자를 모집한다. 2021년 5월까지 총 14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며 전국 27개 주요 병원에서 임상시험이 진행된다. 이번 임상시험은 만 19세 이상 ~ 75세 이하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지 않는 고혈압 환자 또는 1~3제의 항고혈압제를 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임상시험은 디넥스를 이용한 신장신경차단술 시술군과 무처치군(기존 고혈압제 유지군)을 비교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다. 신장신경차단술은 신장 동맥에 고주파 또는 초음파를 가해 신경 다발을 차단하는 시술이다. 대퇴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해 신장동맥에서 혈압 조절과 관련된 교감신경 차단을 통해 혈압을 낮춘다. 신장신경차단술은 부작용과 합병증이 적으며 하루 정도 입원하면 된다. 디넥스는 지난 2016년 표준 약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시술의 안전성과 일부 혈압강하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현재 고혈압 치료용 의료기기는 메드트로닉, 애보트, 리코르 등 글로벌 제약회사와 의료기기업체들이 개발 중이며 국내에서는 한독칼로스메디칼이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대표 김태규)이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시행하는 ‘2020년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R&BD 지원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R&BD 지원사업’은 대학·연구소가 보유한 신기술의 사업화 확대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대학 기술지주회사 자회사의 신산업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바이젠셀은 가톨릭대 기술지주회사와 고려대 기술지주회사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바이젠셀은 정부로부터 올해부터 3년간 약 6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아 새로운 면역억제세포인 제대혈 유래 골수성 면역억제 세포(CBMS)를 이용한 신규 임상연구 및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신규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바이젠셀은 현재 림프종 치료제 ‘VT-EBV-201(개발명)’의 임상2상을 진행중이며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VT-Tri(개발명)', 이식편대숙주병 치료제 'ViMedier(개발명)' 등 희귀질환치료제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다. 특히 ‘VT-EBV-201(개발명)’은 지난해 11월 식약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으며 개발단계임에도 현재 진행중인 임상2상이 완료되면
한국MSD(대표이사 아비 벤쇼산)는오는 7월 16일자사의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 치료제 싱귤레어®(성분명: 몬테루카스트나트륨) 국내 허가 20주년을 기념하는 ‘다(多)가치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6일에 밝혔다. ‘다(多)가치 심포지엄’은 지난 20년간 싱귤레어®가 이룬 성과와 다양한 가치를 재조명하고, 코로나19 증상과 구분하기 어려운 호흡기 질환에 대한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개원의를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온택트(On-tact) 방식인 웹캐스트로 진행되며, 7월 외에도 9월, 10월 총 3회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다. 싱귤레어®는 국내에서 2000년 천식의 예방 및 지속적 치료, 목적을 시작으로 2004년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 2006년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로 적응증을 확대하며 현재까지 20여 년이 넘는 시간 동안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입증해 왔다. 또한 6개월 이상의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전 연령층에서 사용 가능한 유일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로써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 환자에게 다양한 치료 혜택을 제공해 왔다. 7월 16일 개최되는 첫 번째 심포지엄은 ‘Pandemic 시대, 기침 증상으로 살펴본 개원
셀트리온제약(068760, 대표이사 서정수)이 글로벌 조달시장에 공급하는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제 ‘CT-G7’ 출하에 본격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CT-G7은 셀트리온이 자체 개발한 HIV 치료제로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은 3개 성분으로 구성된 개량신약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T-G7의 잠정 승인(Tentative Approval)을 획득하고, 글로벌 조달시장 진출을 위해 다수의 국제조달기구와 협의를 진행해 왔다.이를 통해 셀트리온은 최근 글로벌 조달기관들과 1,600만 달러에 달하는 공급 계약을 성사시켰으며, 올 하반기 추가 계약을 통해 올해 총 3,600만 달러의 공급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셀트리온그룹 내 케미컬의약품 생산을 담당하는 셀트리온제약은 지난 3월 CT-G7 생산시설에 대한 FDA 실사를 무결점으로 통과하고, 최근 연구 및 생산 인력을 대폭 충원하는 등 CT-G7 글로벌 조달시장 공급 일정에 맞춰 조달 물량의 양산 및 출하를 진행하고 있다.이번에 공급하는 제품은 셀트리온을 통해 국제조달기구에서 지정하는 국가에 공급될 예정이며, 셀트리온제약은 향후 조달시장 수급 상황과 기타 글로벌 케미컬의약품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한광협, 이하 보건의료연구원)은 6일 ‘신개발 유망의료기술 탐색활동’을 통해 국내외에서 개발 중인 유망 의료기술 5건을 발굴해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 로봇기술 등 혁신의료기술을 활용한 국내 의료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산업통상자원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범부처 인공지능 바이오 로봇 의료융합기술개발사업’과 연계해 진행됐다. ‘신개발 유망의료기술 탐색(Horizon Scanning Service for Innovative Global Health Technology, H-SIGHT)’이란 개발단계의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등을 포함한 의료기술 중 향후 5년 내 국내 의료시장에 도입될 가능성이 있는 의료기술에 대해 잠재적 영향력을 분석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에는 보건의료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신개발 유망의료기술 탐색 도구인 ‘NECA Toolkit’을 이용해 ▲증강현실 기반 수술 보조 ▲인공지능 기반 당뇨망막증 진단 시스템 ▲인공 망막 시스템 ▲미주신경 자극을 통한 비만 치료법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혈관중재 시술로봇 시스템 등 총 5건의 의료기술이 선정됐다. 보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8명 발생한 가운데 격리 환자가 다시 1000명대로 올라섰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 6일 0시 현재, 국내발생은 24명, 해외유입으로 24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만 3137명(해외유입 1690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6명으로 총 1만 1848명(90.2%)이 격리해제 돼, 현재 1005명이 격리 중이다.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84명(치명률 2.16%)이다. 지역별로는 검역에서 15명 가장 많이 발생했고, 광주 7명, 인천 6명, 경기 6명, 서울 3명, 대구 2명, 대전 2명, 전남 2명, 부산·강원·충남·경북·경남 각 1명씩으로 집계됐다. 누적 의사환자 133만 1796명 중 129만 7367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1292명이 검사 중에 있다.
지난 4월 저녁 7시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다급한 환자가 도착했다. 사흘 전 미국에서 귀국한 50대 서 씨로, 미국에서 직장암 수술을 받은 뒤 골반으로 전이가 의심됐으나 미국 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3개월 넘게 치료가 어렵다는 얘기를 듣고 귀국을 결심했다. 한국에 온 그녀는 타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보려 했지만 해외거주로 인한 2주간의 자가격리 기간 때문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었고, 복막염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으로 이곳 음압응급실에 오게 됐다. 그녀는 이전에 미국에서 직장암 수술을 받았던 부위에 천공이 생겨 대장 내 노폐물들이 빠져나오고 있는 상황이었다. 당시 당직의였던 김정연 교수는 환자를 보자마자 심각성을 인지했다. 환자는 이미 귀국행 비행기에서부터 천공이 시작됐던 것으로 보여 생명이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당시 미국에서는 코로나19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고, 해외에서 온 사람은 예외 없이 2주간의 자가격리 기간을 가져야 했다. 환자는 입국 직후 보건당국에서 실시한 1차 코로나19 검사결과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었다. 하지만 당시 미국에서 온 입국인 중에는 2차 검사결과에서 양성으로 바뀌는 경우도 많아 코로나19 감염여부를 장담할 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이 지난 2일 의과대학 본관 유광사홀에서 의학교육을 위해 헌체하신 고인들의 뜻을 추모하는 ‘감은제(感恩祭)’를 거행했다. 이날 행사는 개식을 시작으로 △묵념 △의과대학장 추모의 말씀 △학생대표 추모의 말씀 △해부학교실 엄창섭 교수 추모의 말씀 △시신 기증인 호명 △대표자 및 교직원 헌화 △학생 헌화 순으로 이어졌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언택트’ 방식을 택해 온라인 생중계도 동시에 진행됐다. 윤영욱 학장은 “우리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인체를 탐구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신 기증자분들과 유가족 여러분의 헌신과 고귀한 결정에 감사드린다”며 “오늘 감은제를 통해 감은탑에 새겨진 숭고한 헌신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고 의료인으로서 소명을 되새기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추모의 말씀을 전했다. 의학과 1학년 이태경 학생대표는 “의과대학에는 기증자분들이 의학도들의 첫 환자이자 최초의 스승이라는 말이 있듯 몇 마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깊은 가르침을 주시는 분들”이라며 “의학교육과 나아가 인류를 위해 결정해주신 기증자분들과 숭고한 고인의 뜻을 함께해 주신 유가족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훗날 훌륭한 의사가 되는 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3일 개원 20주년 온라인 기념식을 개최했다. 2000년 3월에 개원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코로나19로 인해 당초 3월에 예정되었던 개원기념 행사를 연기했으나 생활방역 전환에 따라 온라인 행사로 대체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감염예방과 확산방지를 위해 참석자 및 초청자를 30명으로 최소화하고 개원 20주년의 의미를 직원과 최대한 공유하고자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됐다. 김용익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을 비롯한 공단 주요임원, 일산병원 임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홍원표·김광문 전 일산병원장, 이재준 고양시장, 한준호 국회의원, 윤도흠 연세의료원장 등이 영상으로 축사를 전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개원 이후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정책 속에서 건강보험 제도개선 선도, 의료행위 표준 제시, 국민이 공감하는 의료수가 기준 마련 등의 보험자병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의료의 질적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 김성우 병원장은 “현재 국내외 많은 의료기관들이 일산병원을 벤치마킹하고 있으며 지난해 7월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 2주년 성과보고대회’가 일산병원에서 개최될 만큼 명실공히 국내 공공의료의 대표병원으로 자리 잡았다“며 지난 20년간 병원의
심평원이 보장성 강화 정책 시행 이후 대형병원 환자집중 현상이 심화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을 내놨다. 2017년을 전후로 상급종합병원의 경증질환 외래 진료 감소 추이와 중증 입원 환자 비중 추이에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의료이용 추이 모니터링 현황 분석(기술평가연구부 한승진 부연구위원)’ 보고서가 실린 ‘HIRA 정책동향 14권 3호’를 발간했다. 이번 분석은 2008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건강보험 환자를 대상으로 심평원의 건강보험 청구자료, 요양기관 현황 신고자료를 사용, 전체 의료이용, 중증도별 의료이용, 상급종합병원 신환자 의료이용, 의료자원 연계 의료이용 등의 추이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선 전체 외래 진료 중 의원급 기관의 점유율은 2008년 대비 2019년 5.9%p 감소했고, 나머지 종별의 점유율은 해가 갈수록 증가했다. 상급종합병원의 외래 내원일수 점유율은 2008년 4.3%에서 2019년 5.7%로 증가했다. 입원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의 입원일수 점유율은 증가 양상이 두드러졌으며, 의원의 입원일수는 감소했다. 한승진 부연구위원은 “상
3월 대구경북 지역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때 망설임 없이 현지 의료지원 파견에 나선 한 간호사가 있다. 바로 서울대병원 응급실 이강용 간호사다. 문경생활치료센터(서울대병원 문경인재원)로 파견된 이 간호사는 한 달간 민·관·군이 함께한 현장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고, 6월 24일부터 7월 7일까지 14일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최전방에 뛰어든 간호사가 본 시선’이라는 이름의 전시회를 열었다. 코로나19 스토리 공모전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한 이강용 간호사를 만나 생생한 현장 경험을 듣고, 사진 하나하나에 담긴 이야기를 들었다. ◇ 특별히 사진전을 열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사진을 원래 좋아해서 ‘사진전을 한 번은 열어야겠다’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사진전에 주제가 좀 있어야 하지 않나? 그래서 어떤 주제로 할까 고민해 왔다. 평소에도 의료진 사진을 좀 많이 찍었었는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고 응급실 식구들이 정말 힘들게 일하고 있다. 그러다 대구 문경 쪽으로 파견을 가게 됐는데, 그곳에 코로나 종식이라는 목표 하나만으로 정말 여러 군데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였다. 그래서 이것을 주제로 사진전을 열어
3일 3차 코로나 추경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코로나19 대응과 한국판 뉴딜을 위한 보건복지부 추가경정 예산이 1조 888억원으로 확정됐다. 2020년 보건복지부 소관 제3회 추가경정예산은 1조 888억원으로, △K-방역 역량 및 연구개발(R&D) 투자 강화, △감염병 비대면 기반(인프라) 구축 등 한국판 뉴딜, △일자리 및 사회안전망 확충이 주요 내용이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정부안(1조 542억원) 대비 346억원 증액됐다. 증액 내용은 △62∼64세 대상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224억원), △코로나19 대응 의료인력 등 지원(+120억 원), △감염병 역학조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2억 원) 등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 등에 대비해 14~18세, 62~64세 대상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확대(455만 명, +489억 원), 레벨D 보호복, 마스크 등 방역물품을 비축(+2,009억 원)한다. 또 지역 현장에서 신속한 진료 등을 위해 67개 보건소에 상시 음압 선별 진료소 신축(+102억 원)하고, 코로나19로 매출액이 급감해 경영이 어려운 의료기관에 제1회 추경(4000억 원)에 이어 융자를 추가로 지원 (+4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60명대로 발생했다. 누적 확진자는 1만 3000명대로 돌입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 4일 0시 현재, 지역사회에서 36명, 해외유입으로 27명의 신규 확진자(총 63명)가 발생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3만 30명(해외유입 1647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52명으로 총 1만 1811명(90.6%)이 격리해제 돼, 현재 936명이 격리 중이다.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83명(치명률 2.17%)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9명, 검역 18명, 광주 8명, 서울 7명, 대전 3명, 인천 2명, 충북 2명, 부산·대구·경북·경남 각 1명씩 발생했다. 누적 의사환자 131만 9523명 중 128만 4172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2321명이 검사 중에 있다.
부족한 이식 장기를 더 많이 확보하고 장기이식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서 더 효율적인 방향으로의 뇌사판정위원회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뇌사 관련 정책적인 홍보와 학술적인 토론 및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제기됐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3일 ‘효과적인 뇌사판정 절차와 장기기증 현안’이라는 주제의 온라인 포럼을 열었다. 이 자리서 뇌사판정 절차의 문제점과 해결점을 짚고, 사회적 변화에 따른 기증 현안에 대해 토론했다. ‘효과적인 뇌사판정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발표한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조광욱 교수는 “2019년 한 해에만 약 2천 100명 정도가 장기이식을 기다리다가 사망했고, 매일 5.9명 정도가 이식을 기다리다가 사망하고 있다”며 “장기 기증자가 많이 없는 것도 문제이지만, 뇌사가 아닌 환자가 뇌사환자인 것처럼 통보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인력이나 시간적으로 낭비가 될 수밖에 없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조 교수는 “해당 환자를 담당하고 있는 주치의와 환자 보호자, 코디네이터 간의 소통과 협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뇌사 추정자 통보는 치료가 실패했다고 생각해 의료진으로 하여금 뇌사판정을 주저하게 만들어 결국
통증호소에 대한 보존적 요법의 하나로 시행하는 신경차단술, 관절강내주사 등 통증주사와 관련한 의료분쟁 건수가 5년간 총 10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통증주사 치료 후 증상악화가 36건, 감염이 30건으로 전체의 62.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통증주사 분쟁사건 5개년 현황’ 공개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감정완료된 6223건 중 통증주사를 시술 받은 후 이와 관련한 의료분쟁 건수는 총 106건이었다. 연련병 분포를 보면 40~60대 환자가 전체 사건의 74.5%(79건)을 차지했고, 성별로는 여자(57건)가 남자(49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별로는 ‘의원’이 55건(51.9%)으로 가장 많았고, ‘병원’이 36건(34.0%)으로 뒤를 이었다. 진료과목별로는 정형외과가 51.9%로 가장 많았고, 마취통증의학과 20.8%, 신경외과 19.8% 등으로 나타났다. 사고내용별로 보면 주사치료 후 증상악화가 36건(34.0%), 감염이 30건(28.3%)으로 전체의 62.3%를 차지했다. 신체부위별 분포로는 척추가 58건으로 전체 사건의 54.7%를 차지했다. 좀 세부적으로 보면 요추 32.0%, 무릎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