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44텔Dbyeonguso$!유흥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8,19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지난해 전체 국립대병원들의 총 연구수익과 연구비용은 모두 증가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에 공개된 11개 국립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 포함)의 지난해 손익계산서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국립대병원 전체를 통틀어 지난해 총 연구수익 3462억 2800만원을 기록했으며 2020년(2586억 5400만원)에 비해 33.9%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총 연구비용 또한 26.7%(3352억 1300만원→2645억 1400만원) 증가했다. 2021년에는 강원대병원이 국립대병원중 연구수익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강원대병원의 연구수익은 2020년(24억 300만원)에 비해 87.1% 증가한 44억 9500만원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충남대병원과 서울대병원의 연구수익 또한 각각 69.5%(242억 4000만원→143억),53.7%(1470억 9400만원→956억 7300만원) 증가했으며 대부분의 병원들의 연구수익이 증가했다. 경북대병원, 부산대병원, 충남대병원은 연구수익 200억원 선을 돌파하는대 성공했다. 특히 경북대병원의 연구수익은 207억 7800만원으로 2020년(194억 5400만원)에 비해 6.8%증가했지만 연구비용은 –3.5%(177억
영남대병원 성형외과 김일국 교수가 지난 5월 20일 ~ 21일, 제주 신화월드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2년 제12회 대한성형외과학회 기초재건성형 학술대회(The 12th Research and Reconstruction Forum)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대한성형외과학회는 만 45세 이하 성형외과 전문의로서 SCI급 국제학술지에 제1저자 혹은 교신저자로서 우수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연구자들에게 매년 젊은 연구자상을 시상하고 있다. 김일국 교수는 당뇨병 등에서 발생하는 난치성 창상에서 Dll4-Notch 신호경로를 차단함으로써 혈관신생을 증가시키는 치료법을 제시한 실험논문을 국제 창상학술지 Advances in Wound Care(인용지수 4.73)에 교신저자로 출판했다. 영남대학교병원 성형외과는 유방재건, 외상재건, 림프부종 환자의 림프순환 기능복원수술 등 고난도 수술을 지역사회 환자들에게 내원 즉시 빠르게 제공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학술지에 임상 및 기초 연구결과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김일국 교수는 “앞으로도 환자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를 활발히 해 연구한 이론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국립암센터에서 6/15(수) 제 14회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매년 6월 국립암센터에서는 암 분야의 가장 뜨거운 주제를 선정, 세계적 석학을 모시고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는데, 올해는 ‘AI and Big data in Cancer: from knowledge to Action’라는 주제로 국내외 인공지능 및 헬스케어 빅데이터 분야의 최고 전문가를 초대한다. 행사는 9시부터 17시30분까지, 국가암예방검진동 8층 국제회의장에서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되며, 총 다섯개 세션 중 첫번째 세션과 다섯번째 세션은 한국어로, 나머지는 영어로 진행된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등록비는 무료이며, 의사직 참석자에게는 대한의사협회 연수평점 6평점이 인정된다. 사전등록은 6/10(금) 자정까지 국립암센터 홈페이지(http://ncc.re.kr/symposium/)에서 가능하며, 현장등록도 가능하다. 문의: 031-920-1956(국립암센터 교육훈련팀)
GC녹십자가 대사증후군 4제 복합제 라인업을 추가했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고혈압·고지혈증 4제 복합제인 ‘로제텔핀’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로제텔핀’은 고혈압 치료 성분인 텔미사르탄, 암로디핀과 고지혈증 치료 성분 로수바스타틴, 에제티미브 성분을 한 알에 담은 전문의약품이다. 회사측은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동반한 국내 환자 약 1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로제텔핀’의 임상 3상에서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임상 결과, ‘로제텔핀’은 대조군 대비 혈관 수축기 혈압(msSBP) 변화량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변화율에서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이에 따라, GC녹십자는 고혈압 및 고지혈증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일제부터 2, 3, 4제 복합제까지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고혈압 환자는 50% 이상이 고지혈증을 동반하고 있어 개별 약을 복용해야 하는 불편이 크기 때문에 유효한 복합제의 상용화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GC녹십자 관계자는 “4가지 성분을 한 알로 복용함으로써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임상시험에
을지의생명과학연구원(원장 이승훈)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중대질환진단융합연구단(단장 김승준)이 의생명과학 융합 분야 발전을 위해 힘을 모은다. 양 기관은 이승훈 원장, 김승준 단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4일 오전 11시 을지대학교 일현의학관 3층 의대회의실에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코로나 펜데믹 등 신종 감염병 및 암 조기 검진의 중요성 증가로 간편하고 효율적인 진단과 모니터링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양 기관은 ▲질병 조기 모니터링용 호기분석 검사 분야의 기술교류 ▲인력, 재료, 시설, 장비의 공동 활용 및 공동 연구개발 등에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승훈 원장은 “양 기관의 연구개발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공동으로 적극 협력함은 물론, 보다 실질적인 협력이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을지의생명과학연구원은 지난 2011년 을지대학교 임상 교원들의 연구역량 강화 및 우수 연구 인력을 집중 양성해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고자 개원했다.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Kor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는 롯데호텔서울(소공동)에서 개최된 제 20차 정기심포지움 및 총회에서 미션/비전2032/핵심가치 선포식을 진행했다. 대한종양내과학회 제20차 정기심포지움 및 총회에서는 종양학과 다학제 관련 내용의 23개 세션의 53개 발표가 진행됐으며 종양학, 다학제 의료 관련 의사, 간호사, 연구간호사, 약사, 코디네이터 등 약 600여명의 전문가가 현장과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이날 선포식을 진행한 대한종양내과학회 김동완 기획위원장(서울대학교 종양내과 교수)은 ‘암 치료와 연구를 통해 환자와 사회를 돌본다’라는 미션, 2032년까지 ‘암 치료와 연구의 세계적 선도 학회’를 이루고자 하는 비전과 함께 ‘최고, 협력, 혁신, 신뢰’라는 4가지 핵심가치와 6가지 전략목표(교육시스템 개발, 임상시험 및 중개연구, 다학제진료 주도, 대국민 홍보, 보건의료 정책개발, 국제학회 협력)를 발표했다. 대한종양내과학회 김태원 8대 이사장(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은 “학회원분들의 적극적인 노력 덕분에 대한종양내과학회가 15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암 치료의 대표적인 전문 학술 단체로 자리 매김을 하였다.”는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안영근)은 오는 6월 9일부터 3일간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제20차 광주 국제심장중재술 심포지엄(Gwangju International Cardiology Symposium·이하 GICS)을 개최한다.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주관으로 지난 2003년부터 매년 광주에서 진행되고 있는 GICS는 국내·외 심장전문가들이 강연 및 증례 발표 등을 통해 최신 지견을 교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학술대회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전남대병원을 비롯한 중앙대학교병원, 서울성모병원, 일산백병원,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서울아산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 경피적 경도관 승모판 재건술, 체외막산소공급 시술을 포함한 심장중재술을 비디오 녹화 및 생중계 통해 진행한다. 또 한국과 일본의 급성심근경색증 등록 공동 연구인 KAMIR-JAMIR 심포지엄, Korea-Mayo 심포지엄, Korea-London 심포지엄, Korea-China 심포지엄, GICS-TAMIS 심포지엄 등이 동시에 열리며 미국,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등 17개국에서 82명의 심장학자들이 초청돼 온라인·오프라인
현대바이오가 최근 세계적 팬데믹(대유행) 조짐을 보이는 원숭이 두창(monkeypox, 원두) 사태 해결을 위해 자사의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약물을 들고 미국으로 직행한다. 현대바이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를 위해 먹는 항바이러스제로 개발한 CP-COV03를 원숭이 두창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패스트 트랙(fast track)을 신청하기로 결정했다. 현대바이오는 미국 현지의 바이오 분야 전문 로펌을 통해 CP-COV03가 ‘동물실험갈음규정’(Animal Rule) 적용으로 패스트 트랙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동물실험갈음규정은 미국 등 주요국이 천연두나 원두처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불가능하거나 비윤리적일 경우 동물실험 결과만으로 치료제로 승인하는 제도로, 일종의 패스트 트랙 절차다. FDA는 2018년 미 제약기업인 시가 테크놀로지가 동물실험을 거쳐 천연두 치료용으로 개발한 ‘티폭스’(TPOXX)를 천연두 치료제로 승인한 것을 비롯해 지금까지 13종의 약물에 애니멀 룰을 적용해 신약으로 승인한 바 있다. 회사 측은 FDA에 CP-COV03의 그간 동물실험 결과 등 관련 자료
이대서울병원이 지난 23일 병원 옥상정원 ‘힐링가든’에서 개원 3주년 기념식을 열고, 이대서울병원이 대한민국 의료의 새 기준을 이끄는 병원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이날 기념식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병원 개원 후 처음으로 내‧외빈들을 초청해 야외인 4층 옥상정원 ‘힐링가든’에서 개최됐다. 지난 2주년 기념식은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병원 관계자들만이 참석해 온라인 행사로 진행됐다. 기념식에는 장명수 이화학당 이사장, 김은미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등 외빈들과 유경하 이화여자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하은희 이화여대 의과대학장, 임수미 이대서울병원장, 유재두 이대목동병원장, 문병인 이대여성암병원장, 이동현 이대비뇨기병원장 등 병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임수미 이대서울병원장은 기념사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무균 입원실을 보유하고 있는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저출산 기조에도 불구하고 1,000건이 넘는 분만을 이뤄낸 모아센터, 전국 1위의 응급의료센터의 빠른 결정과 빠른 치료가 뒷받침이 된 뇌혈관 분야의 전국구 도약, 개원 3년 만에 국내를 대표하는 건강검진센터로 자리매김한 웰니스 건강증진센터 등 이대서울병원은 개원 후 3년간 어느 병원보다 내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병원장 이성호)은 지난 5월 20일 보건복지부의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사업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SK플래닛과 ‘스마트병실의 초연결을 이용한 입원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스마트병실을 구축하고, 선택연계분야로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과 서산의료원과 함께 ‘공공의료원과 의료데이터의 연계를 통한 지역기반 환자관리체계 구축’ 사업을 진행한다. 스마트병실 구축은 스마트모니터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해 병실 내에서 접근에 제약이 있었던 병원정보시스템인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OCS(처방전달시스템), EMR(전자의무기록) 등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스마트모니터를 통해 환자들은 병실에서 MRI, CT 검사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회진시간이 아닌 경우에도 화상면담을 요청해 정해진 시간에 의료진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스마트모니터를 통해 투약, 검사, 회진 등 환자의 당일 치료 일정을 알려주고 각각의 일정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가 투약 항목을 선택한다면 복용하는 약의 종류와 효능, 부작용 등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가 제공된다.
질병관리청은 24일 원숭이 두창 국내 감염유입 방지를 위한 감시·대응 강화책을 발표했다. 원숭이 두창은 일반적으로 사람 간 감염이 드문 것으로 평가되나, 해외여행 증가와 비교적 긴 잠복기(통상 6~13일, 최장 21일)를 고려, 원숭이 두창 발생국가를 방문하고 온 여행객을 대상으로 유입사례 발생에 대비하고자 함이다. 입국 시 모든 여행객에게 발열 체크 및 건강상태질문서를 징구하며, 귀국 후 3주 이내 의심증상(38도 이상 발열, 오한, 두통, 림프절부종, 얼굴을 시작으로 손, 발에 퍼지는 수두와 유사한 수포성 발진)이 있을 경우 즉시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연락하도록 당부했다. 원숭이 두창은 나이지리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DR콩고 등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일부 국가의 풍토병으로, 최근에는 이례적으로 풍토병이 아닌 국가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며, 국외 환자 발생 증가에 따른 국내 유입 가능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2년 5월 이후 유럽, 미국, 이스라엘, 호주 등 원숭이 두창이 풍토병이 아닌 18개국에서 원숭이 두창 감염 및 의심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고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5.24 기준). 질병관리청장은 여행객 등에게 해외에 방문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윤영욱) 뇌신경과학교실 한기훈 교수가 지난 19일에서 21일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2022년 한국뇌신경과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싸이텍코리아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했다. 한국뇌신경과학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신경과학 연구분야 학술단체로서 본 상훈은 창의적 연구업적과 더불어 뇌신경과학의 발전에 공헌한 임용 7년 이내 연구자를 대상으로 선정되며, 상패와 상금이 주어진다. 이번 수상에서 한 교수는 지적장애와 뇌전증을 일으키는 CYFIP2 단백질의 뇌기능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기훈 교수의 주 연구분야는 신경정신질환의 발병원인으로서 분자 및 시냅스 기전 규명, 우울증 및 양극성장애 정신질환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기전 규명이다. 2015년 고려대학교 부임 이후 국내외 학술지에 29편의 교신저자 논문을 발표하는 등 뇌신경과학 분야에서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한 교수는 “지난 7년간 꾸준히 수행해온 연구가 좋은 평으로 이어져 감사하며, 앞으로 CYFIP2 유전자 변이에 의해 초래되는 지적장애 및 뇌전증의 구체적 원인 규명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며, “성실히 노력해준 연구실 구성원과 많은 도움을 주신 국내외 공동연구자들께 수상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이 날로 확산 되는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담론의 장을 마련한다. 고려대의료원은 오는 5월 26일(목) 여의도 전경련회관 3층 다이아몬드홀에서 고려대통일연구원 준비단과 공동으로 ‘북한의 코로나19 상황과 향후 국내외 관계전망’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김영훈 고려대 의무부총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하는 이번 세미나는 김신곤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고려의대)의 ‘북한의 보건의료정책과 방역 평가’를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의 ’북한의 코로나 확산과 남북관계 및 동북아 국제정치 전망‘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패널토론에서는 고려의대 최원석 교수, 통일연구원 이우태 인도협력연구실장, 평화자동차 박상권 사장, IBK경제연구소 정유석 연구위원, 통일부 이점호 사무관 등 각계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북한의 코로나19 상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토론을 펼친다. 행사는 26일 오전 10시부터 약 2시간 동안 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고려대의료원 공식 유튜브 계정(https://www.youtube.com/user/KUMCbroadcast)에 접속해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일시 2022년 5월 28일 12시, *장소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 2층 그랜드볼룸
*일시 2022년 6월 4일 (토) 14시, *장소 여의도웨딩컨벤션 3층 그랜드볼룸
*빈소 남대전장례식장 VIP실, *발인 5월 25일, *042-285-4004
보건복지부가 정호영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가 자진사퇴한 상황을 맞이해, 국민의 보건과 복지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한치의 빈틈없이 업무를 수행하겠다고 24일 밝혔다. 복지부는 오늘 아침 조규홍 제1차관, 이기일 제2차관은 공동 주재로 간부 회의를 긴급 개최해 코로나19 방역 및 보건복지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며, 내부적으로도 모든 직원이 긴장감을 가지고 공직 기강을 확립하는 등 국민을 위한 정책 업무에 전념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코로나19로부터의 안정적인 일상회복과 저소득층 생활안정지원을 포함해 추경 예산이 국회에서 확정되면 신속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며 국정과제를 비롯한 새 정부의 주요 보건복지 정책과제도 착실히 준비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한편 정호영 후보자는 지명 43일 만인 23일(어제) 입장문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부족한 부분들이 제기된 점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며 자진사퇴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이제까지 제기된 의혹들은 여전히 부인했다. 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등을 통해 자신의 자녀들과 문제나, 자신의 문제에 대해 법적, 도덕적, 윤리적으로 부당한 행위가 없었음을 설명했다”며 “제기된 의혹들은 객관적 자료와 증거들의 제시로 허위였다는
셀트리온은 24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비소세포폐암·전이성 직결장암 치료제 CT-P16, 유방암·위암 치료제 허쥬마 등 약 1601억원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을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미국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램시마(미국판매명: 인플렉트라)의 공급 확대와 연내 허가를 기대하고 있는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16의 신속한 글로벌 공급을 위한 것으로, 셀트리온은 이번 공급계약에 이어 2분기 내 추가 공급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의 대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는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오리지널의약품의 점유율이 감소하는 한편, 램시마 점유율은 미국 주요 사보험사 등재에 따라 202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심포니헬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4월 램시마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29.4%에 달하며 올해 들어서만 점유율이 6.8%p 상승했다. 램시마의 미국 점유율 상승은 향후 램시마SC의 미국시장 진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램시마는 현재 유럽시장에서 오리지널제품 점유율을 상회하고 있으며 램시마SC 역시 최근 1년간 유럽에서 분기별 평균 42%의 가파른 성장률을 기
희귀질환자를 둔 가족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 양정숙 의원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18세 미만의 희귀질환자에게 희귀질환 진단과 진료에 필요한 비용 전액을 지원하는 희귀질환관리법 일부개정안을 24일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2년간 질병관리청에 등록된 국내 신규 희귀질환 발생자는 각각 5만 5499명과 5만 2069명으로, 국민 1000명당 1명 꼴로 희귀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희귀질환자들에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경제적 부담능력을 고려해 의료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희귀질환은 진료비용이 막대하고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희귀질환자와 가족들이 감당하기에는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양정숙 의원실에 따르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성인이 된 이후에 희귀질환 진단을 받아 성인이 되기 전에 희귀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희귀질환은 유전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진단을 받으면 충분히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에 양정숙 의원은 “희귀질환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사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일 연속 3만명 아래로 발생한 가운데 화요일 기준 16주새 최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5월 24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32명,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00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만 6301명, 해외유입 사례는 4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만 634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99만 3985명(해외유입 3만 2571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5월 24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471명, 2차접종자 732명, 3차접종자 5323명, 4차접종자 3만 5602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4만 9534명, 2차접종자수는 4457만 419명, 3차접종자수는 3326만 8421명, 4차접종자수는 385만 3261명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