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7,332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저물어 가는 2021년을 되돌아보고 희망찬 2022년을 기대하며 내원객 뿐 아니라 병원 임직원 모두에게 감사함을 전합니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나용길)은 24일(금) 원내 1층 로비에서 ‘화목커피’와 ‘송년 맞이 클래식 공연’을 개최했다. 이날 오전 8시부터 나용길 원장과 안명진 사무국장, 임정욱 교육수련실장, 이신숙 간호부장이 바리스타로 변신해 출근하는 임직원들에게 200개 분량의 커피와 빵을 제공하며 활기찬 하루의 시작을 응원했다. ‘화목커피’는 세종충남대병원의 직장문화 활성화 프로젝트 일환으로 개원 직후인 2020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운영됐었다. 이번에는 송년을 맞아 옛 추억을 되새기면서 코로나19로 지친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2022년의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획됐다. 오후 3시에는 임직원 뿐 아니라 내원객들에게 힐링의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2021년을 돌아보는 클래식 여행’ 콘서트가 개최됐다. 피아니스트 안인모와 첼리스트 박건우의 2중주 연주는 치유, 소망, 크리스마스, 희망 등 4개의 테마로 선보여 감미로운 선율을 통한 휴식을 선사했다. 특히 G선상의 아리아 등 대중적인 클래식과 더불어 가요, 캐롤 메들리
이대서울병원이 24일 서울소재 대학병원으로는 최초로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됐다.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코로나19 중환자 및 고위험군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7조에 근거해 이대서울병원을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 명령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이대서울병원은 2019년 개원 시 국내 대학병원 최초로 기준 병실을 3인실로 구성하고 모든 중환자실을 1인실로 하는 등 병원 감염 위험을 줄이는 새로운 기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대서울병원은 지난 2020년 3월부터 2021년 4월까지 도보 및 드라이브 선별진료소를 운영해 1만 6929명을 검사하는 등 의료 일선에서 코로나19 퇴치에 전력을 다했다. 향후 이대서울병원은 현재 운영 중인 코로나 중증환자 치료병상을 7병상에서 ▲중증환자 치료병상 15병상 ▲준-중증환자 치료병상 30병상 ▲중등증 환자 치료병상 120병상 등 총 165병상을 확보해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유경하 이화의료원장은 “코로나19 확산세 지속에 따라 현재 코로나 환자 치료병상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서울소재 대학병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원장 이성순)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우수기관으로 평가받아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천경기지역본부(본부장 서명철) 표창장을 받았다. 23일 일산백병원 회의실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천경기지역본부 반가운 보험급여과장이 방문해 이성순 원장에게 표창장을 전달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천경기지역본부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 중인 31개 병원을 대상으로 ▲성과평가 ▲간호인력 ▲시설 등 현장점검과 운영실태를 종합평가해 모범적인 운영기관 3곳을 선정해 표창장을 수여했다. 일산백병원은 2015년 12월 42개 병상 1개 병동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을 시작해, 현재 6개 병동 289개 병상을 운영 중이다. 전옥분 일산백병원 간호부장은 “일산백병원은 간호사가 24시간 전문적 입원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족의 간병 부담을 줄여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며 “앞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 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전문 간호 인력이 간호뿐만 아니라 간병까지 24시간 환자를 돌보는 제도로 2015년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됐다. 이 정책으로 간병비용은 줄고, 보호자 없는 병동 운영에 따라
코로나19 재택치료환자 고위험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모빌리티케어 방문진료’가 국내 최초로 명지병원과 고양시에서 시작된다. 명지병원(이사장 이왕준)과 고양시(시장 이재준)는 24일 시범사업으로 진행되는 코로나19 방문진료를 위한 ‘찾아가는 이동 진료소’ 시연회를 가졌다. 이 날 오전 고양어울림누리에서 진행된 ‘찾아가는 이동 진료소’ 시연회에는 이재준 고양시장과 고양시의회 이길용 의장, 고양시 관내 보건소장,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과 김세철 의료원장을 비롯한 관련 의료진 등이 참석했다.명지병원의 모빌리티케어는 채택치료대상자 중 기저질환 보유자 등 고위험군이나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신속한 진단과 처치를 위해 X-ray 장비와 바이탈사인모니터, 산소치료기, 침대 등의 의료장비를 탑재한 이동진료 차량을 운영한다. 필요시 음압 구급차량도 지원된다. 모빌리티케어 방문진료는 간호사와 방사선사 등의 의료진이 현장으로 방문하고, 담당 의사는 재택치료지원센터에서 현장에서 보내온 환자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약 처방과 병원입원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고 처리하게 된다. 현장 방문 시 처치는 의학적 필요에 따라 흉부 x-ray 촬영과 혈압 및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 측정, 심전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유희철)이 성탄절을 맞아 코로나19 확산의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전선에서 헌신하고 있는 의료진과 한파의 날씨 속에서 원외 근무에 임하고 있는 직원들을 응원하고 격려하기 위해 ‘크리스마스의 Cheer up’ 행사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감염병 전담 병원을 운영 중인 전북대병원은 코로나19 확산 장기화 상황 최전선에서 환자를 돌보며 헌신하고 있는 △21병동 △38병동 △MICU(내과계중환자실) 의료진과 한파의 날씨 속에서 원외 근무에 임하고 있는 △안전요원 △전담요원 △주차지원인력의 노고를 응원하고 격려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유희철 병원장과 이식 진료처장, 조동휴 고객·인권지원실장을 비롯해 고객·인권지원실 팀장 및 담당자들의 함께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는 참석자들이 산타복장을 하고 직접 직원들의 근무지를 방문해 응원의 메시지와 선물을 전달하며 노고를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희철 병원장은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환자 및 내원객을 우선으로 생각하며 헌신적인 자세로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에게 항상 감사한 마음”이라며 “앞으로도 병원을 찾아주시는 모든 분들에게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는 물론 감동을 주는 고객만족 서비스를 제공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평원’)은 2021년도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 3003품목(288개 제약사)을 22일 심사평가원 누리집(http://www.hira.or.kr)과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누리집(https://biz.kpis.or.kr)에 공고했다. 심평원은 총 8가지 유형의 보고 대상 의약품 가운데 퇴장방지의약품과 희귀의약품을 제외한 6가지 유형의 의약품에 대해 매년 ▲전년도 생산·수입실적 ▲건강보험 청구량 ▲의약단체 및 업계 의견 등을 반영해 대상 의약품을 선정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공고하고 있다. 2021년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은 288개 제약사의 3003개 품목이며, 이 중 ‘동일성분 의약품이 2개 이하인 의약품’이 276개 제약사의 2517개 품목으로 가장 많이 선정됐다. 공고된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은 중단일의 60일 전까지 그 사유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제조·수입사는 업무정지 행정 처분을 받게 된다. 이소영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장은 “이번 공고를 통해 의약품의 공급부족을 사전에 예방하고 원활한 수급 관리를 유도하여 안정적인
국산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지난 6월 발족한 K-mRNA 컨소시엄의 코로나19 백신이 본격적인 임상 절차에 돌입한다. 에스티팜(대표 김경진)은 mRNA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 STP2104의 임상 1상 시험계획신청(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제출했다고 24일 공시로 밝혔다. STP2104는 국내 최초로 개발되는 mRNA-LNP 코로나 백신이다. STP2104는 변형된 뉴클레오시드를 기반으로 디자인된 mRNA로, 에스티팜이 자체 개발한 5'-Capping reagent(파이브 프라임 캡핑 유사체)인 SMARTCAP®을 사용, 캡핑효과와 전사효과를 향상시켰다. 또한 글로벌 임상을 통해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를 mRNA 전달체로 사용하고 있다. 에스티팜은 식약처의 승인을 받으면 2022년 1분기부터 만 19~55세의 건강한 성인 최소 30명를 대상으로 한국을 비롯한 다국가 임상 1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임상에 참여한 피험자는 25㎍, 50 ㎍의 두 용량 군으로 나누어 STP2104를 총 2회 단계적으로 투여 받은 후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확인하게 된다. 에스티팜에 따르면 STP2104의 전임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22일 심평원 누리집(http://www.hira.or.kr)과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누리집(https://biz.kpis.or.kr)에 의약품 ATC 코드 목록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ATC 코드는 2021년 3분기에 새롭게 의약품 표준코드를 부여받은 290개 품목이며, 기 부여 품목 중 재검토가 필요한 37개 품목에 대해서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ATC 코드를 변경했다.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코드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국제적인 의약품 분류코드로서, 의약품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치료제군별 의약품 분류코드로 5단계 7자리의 영문 및 숫자로 구성된다. 심평원은 2009년 부터 현재까지 WHO 통계협력센터(www.whocc.no)에서 매년 발표되는 WHO ATC INDEX 최신 버전을 적용해 국내 유통 의약품에 대한 ATC 코드를 부여·관리해 왔다. 최근, 의약품센터가 ATC 코드 부여·갱신·관리 업무의 주체로 공식 법제화(’21.2.15)됨에 따라 의약품센터는 코드 품질 향상 및 신속한 정보 제공 기반 마련을 위해 제약사가
경희대한방병원(병원장:정희재)은 한방부인과 황덕상 교수가 EBS에서 진행한 ‘클래스e’ 강연을 엮어 여성이 건강해질 수 있는 한의학의 지혜를 담은 ‘여성을 위한 내 몸 설명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여성은 월경, 임신과 출산, 폐경 등 전 생애에 걸쳐 남성이 겪지 못하는 몸의 변화를 경험하며, 관련 호르몬 영향으로 불면증이나 화병 등 여러 질병을 앓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일찍이 여성의 몸을 남성의 몸과 다른 차원에서 바라보고, 특별히 구분해 치료했다. 하지만 많은 현대 여성들은 자신의 몸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병이 되고 나서야 건강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황덕상 교수는 한방부인과 전문의로서 많은 여성 환자들을 치료해오며 여자만 느끼는 몸과 마음의 섬세한 변화를 한의학으로 다스리기 위해 책을 발간했다. 황덕상 교수는 “여성의 몸을 이해하는 것은 진료실을 직접 찾아온 한 여성의 건강을 넘어, 여성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다”며 “EBS 강연에서 못다 전했던, 따뜻한 조언과 섬세한 처방까지 ‘여성을 위한 내 몸 설명서’에 담았다”고 말했다. 한편, 황교수는 경희대한방병원에서 한방여성의학센터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임신, 출산과 관
질병관리청 일반직고위공무원 임숙영 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장에 보함. 보건복지부 일반직고위공무원 최홍석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장에 보함. 2021. 12. 24. 질병관리청 보건연구관 안윤진 만성질환관리국 만성질환관리과장에 보함. 2021. 12. 26.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송병철) 영양집중지원팀(NST, Nutrition Support Team)은 지난 17일 병원 2층 국제회의실에서 ‘NST 10주년 기념 영양집중지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제주대학교병원 NST는 2011년 6월에 의사, 영양사, 약사, 간호사가 다학제로 팀을 이루어 구성된 이래 입원 환자들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영양지원을 함으로써 환자의 재원 기간을 단축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올해로 10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제주대학교병원 NST는 그 동안 병원 인증 평가는 물론이고,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에서 실시하는 영양집중지원팀 인증평가 사업에서 2015년 1차 3년 인증을 획득하였고, 올해 5년 재인증을 획득해 2025년까지 인증자격이 연장됐다. 이는 제주대학교병원 NST가 표준화된 집중영양치료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 질적으로도 우수한 영양관리를 제공함을 의미한다.송현주(소화기내과) 팀장은 “제주 지역의 유일한 대학병원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롤모델이 되며, 지역 1·2차 의료기관 환자의 영양지원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최신 영양치료 정보에 관한 노하우를 공유할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심포지엄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은 자사가 개발 중인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과 관련해 국내 물질 특허를 취득했다고 24일 밝혔다.‘ID110521156’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해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GLP-1(glucagon-like peptide-1) 호르몬의 유사체 역할을 하는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 계열의 약물이다.GLP-1 호르몬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생성, 분비되며 체내 인슐린의 분비 및 혈당 조절을 비롯해 소화기관 운동, 식욕 억제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GLP-1 유사체인 ‘ID110521156’은 GLP-1 호르몬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 저분자 화합물의 구조를 띠고 있어 시장성, 투약 편의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경구용 약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일동제약은 앞서 진행한 연구 등에서 ‘ID110521156’이 GLP-1 수용체 작용제로서 우수한 약리 활성뿐 아니라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면에서도 안전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회사 측은 “‘ID110521156’를 경구용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을 추진 중이며, 현재 상용화를 위한 비임상 연구 등
환인제약㈜(대표이사 이원범)은 조현병 치료제 신약 카리프라진(코드명: WID-RGC20)의 국내 임상 3상의 등록을 본격화했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임상시험은 카리프라진의 국내 도입을 위해 진행하는 가교시험으로 지난 4월 16일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아, 11월 19일 노원을지대학교병원에서 첫 대상자 등록, 같은 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두번째 대상자가 등록됐다. 이번 임상시험은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의 진두지휘하에 급성기 조현병 환자 342명 등록을 목표로 수도권, 강원, 경상, 전라, 충청지역의 약 30개 기관에서 임상시험 대상자를 모집 중이다.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지 1년이 경과하고, 조현병을 제외한 기타 정신질환이 없는 등 선정 및 제외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카리프라진(Cariprazine)은 헝가리 게데온 리히터(Gedeon Richter)사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며, 미국에서는 '브레일라', 유럽에서는 '레아길라'라는 제품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임상시험용의약품 또한, 해외에서 발매된 동 성분 의약품과 동일한 조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환인제약 관계자는 “해외에서 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민‧관 협업을 토대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기존 의약품과 차별화한 기술기반 개량의약품(TBM)을 통해 파머징마켓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은 산업통상자원부의 ‘글로벌 진출형 제형기술기반 개량의약제품 개발’ 사업 1년차를 마무리하며, 과제가 본 궤도에 올랐다고 24일 밝혔다. KIMCo가 지난 4월 과제 총괄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글로벌 진출형 제형기술기반 개량의약제품 개발’ 사업은 오는 2024년까지 4년간 130억원을 투입, TBM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TBM(Technology Based Medicine)은 혁신적인 제형기술을 기존 의약품에 적용해 약효, 생체이용률, 환자의 복약순응도 등을 개선한 의약품으로 넓은 의미에서 저분자화합물에 적용되는 개량의약품과 개량생물의약품(바이오베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대형 다국적 제약사가 절대적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TBM은 혁신신약 대비 개발비용 등 효율성을 높이고, 혁신신약에 버금가는 글로벌사업화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기관 루츠 애널리시스(Ro
연세의료원은 ㈜바이오미에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특허 6건 등 60억 원 규모의 기술 이전을 진행했다. 이번에 이전한 기술은 인체 미생물을 총칭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감염질환과 같은 난치성 질병을 위한 특허다. ▲호흡기 감염 억제 효능을 가진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단백질, ▲항암 효능이 탁월한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면역 증강 단백질, ▲아토피 치료 효능을 보이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염증성 장질환 치료 효능을 보이는 마이크로바이옴 종의 조합, ▲부티라트 합성을 유도하는 신바이오틱스(Synbiotics) 시스템 등이 이전 대상이다. 이 기술들은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사업,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농림부 미생물유전체전략연구사업단의 지원받아 개발됐다. ㈜바이오미는 이전 기술을 바탕으로 인체에 유용한 균주를 발굴하는 것은 물론 유용 대사물질을 생산하고 유해 물질을 분해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여러 난치성 질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윤상선 교수는 “기술 이전한 물질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유래한 균주이거나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이기에 독성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이 지난 23일 KT&G 남서울본부(본부장 허철호)와 2022년 암 및 희귀난치질환 치료비 후원 협약을 맺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코로나19 감염 예방 및 사회적 거리 두기 대응에 따라 송영구 병원장, 허철호 본부장 등 양 기관 핵심 관계자들만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치료받는 암 및 희귀난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매달 최대 500만 원의 치료비를 지원한다. 오는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최대 6,0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미 양 기관은 지난 3월 암 및 희귀난치질환 치료비 후원 체결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환자 8명에게 치료비를 지원한 바 있다. 송영구 병원장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암과 희귀난치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희망을 전달할 수 있게 돼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KT&G 임직원의 소중한 나눔이 많은 환자에게 질병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허철호 KT&G 남서울본부장은 “KT&G 상상펀드 기금을 통해 지역 사회 어려운 이웃들이 질병을 극복하는데 소중한 밑거름이 되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발생이 이틀째 6000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누적 사망자가 5000명을 넘어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2월 2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163명, 해외유입 사례는 7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623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59만 6209명(해외유입 1만 6670명)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84명, 사망자는 5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5071명(치명률 0.85%)이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96명(+14), 국내감염 166명(+2)이 확인돼 총 262명(+16)이 됐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2월 2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7만 9148명, 2차접종자 3만 3891명, 3차접종자 56만 3646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388만 4305명, 2차접종자수는 4225만 9139명, 3차접종자수는 1430만 4492명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배경택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 보육정책관에 보함 2021. 12. 24. 대 통 령. 끝.
제일파마홀딩스는 2022년 1월 1일자로 제일약품을 비롯한 계열사 임원 승진 인사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제일파마홀딩스는 하용수 총무 팀장, 권태욱 구매 팀장이, 제일약품은 김연돈 도매 팀장이 이사로 승진했다. 제일헬스사이언스는 김광수 제일약품 개인병원 부문장 이사를 영업 마케팅 총괄본부장 상무로 승진 보직 발령했다. 이와 함께, 제일약품은 일부 조직개편도 실시했다. 제일약품은 해외 사업 부문과 라이센스 인-아웃, 신약 개발을 총괄하는 글로벌 사업본부를 신설하고 개발본부장인 김수미 이사를 글로벌 사업본부장에 보직 발령했다. 제일파마홀딩스 관계자는 “성과주의 원칙에 따라 분야별 전문성과 핵심 역량을 갖춘 인사에 초점을 맞췄다”며,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부문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이라고 말했다.
㈜헬릭스미스가 TAG-72 항원을 표적하는 CAR-T 세포치료 기술의 유럽 특허를 취득했다고 24일 발표했다. 해당 특허는 일본, 유럽에 특허 등록됐으며, 현재 국내를 비롯해 미국, 중국, 홍콩, 호주, 캐나다 등에서 특허 출원 등록을 기다리고 있다. 해당 특허는 항-시알릴 Tn 키메라 항원 수용체(ANTI-SIALYL TN CHIMERIC ANTIGEN RECEPTORS)를 발현하는 세포 및 이의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는 고형암에서 많이 발현되는 TAG-72(Tumor Associated Glycoprotein 72) 당단백질상에 시알릴 Tn 항원(STn)을 발현하는 암을 인지해 살상 효과를 보일 수 있는 CAR-T(chimeric antigen mediated T cell) 세포치료제다. 헬릭스미스는 STn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항-STn CAR-T 세포를 제작했고, TAG-72 당단백질상에 STn 항원을 발현하는 암세포에 대한 항종양 효과를 확인했다. 항-STn CAR-T 세포로 치료할 수 있는 암에는 TAG-72가 과발현되는 모든 암이 포함될 수 있는데, 대장암, 난소암, 위암, 유방암, 식도암, 방광암, 폐암, 췌장암 등의 다양한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