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63텔contiTEAM✅➧맘카페DB|+'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56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윤 호 주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내과 Ho-Joo Yoon,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천식은 전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각 나라마다 심각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천식의 발병기전이 새롭게 밝혀지고 있지만 천식으로 인한 사망률, 이환율이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2년 천식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국제지침이 제정된 이후, 미국국립보건원의 NHLBI(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와 세계보건기구가 함께 GINA(Global Initiative for Asthma) 지침을 발표하였다. 특히 천식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국가
한 기 훈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내과 Ki-Hoon Ham, M.D. Dep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혈중의 지방이 높다는 뜻인 ‘고지혈증 (hyperlipidemia)’ 이 건강에 나쁘다는 것은 이제 많은 사람들의 상식이다. 그러나 저비중지단백 (LDL) 및 중성지방 (triglyceride) 외에도 고비중지단백 (HDL)과 같이 낮으면 좋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포함한 지방이상혈증 (dyslipidemia) 이라는 표현이 학문적으로 더욱 정확한 표현이다. 고지혈증은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위험인자이다. 고지혈증 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성인의 콜레스테롤 평균치도 현재 계속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고지혈증의 조절노력은 고혈압이나 당뇨병등과 같은 ‘유명한’ 위험인자들의 조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다. 미국의 경우 전체 고지혈증
박 정 진 경상의대 경상대병원 류마티스 내과 Jeong-Jin Park, M.D.&Ph.D. Division of rheumat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관절염이란 우리 몸의 여러 관절에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염증이 유발되어 관절이 붓고 통증을 느끼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흔히 관절통과 관절염을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있는데 관절통은 관절부위의 통증으로서 자각증상이며, 관절염은 관절부위에 염증의 객관적 증후가 있어야 관절염이라고 할 수가 있다. 관절염을 시사하는 객관적인 소견에는 관절부위의 종창, 국소열감, 압통, 홍반 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절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이것이 관절의 통증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관절 주변부위의 통증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흔히 관절통을 호소하게 되는 관절 주위질환에는 건염, 점액낭염, 골병변, 연조직 감염, 염좌, 관절주위 감염증 등이 있다. 일
강진형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종양내과 Jin-Hyoung Kang, M.D. & Ph.D. Dept. of Medical Onc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진 단 대장암이 의심되면 1) 수지직장검사(digital rectal examination), 2) 대변잠혈검사, 3) 대장내시경검사, 4) 의심되는 병소부위의 생검이 일차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외과적 절제 전에는 정확한 병의 진행상태를 알기 위해 병기결정이 필요한데, 1) 흉부 X-선, 2) 복부 및 골반 CT scan, 3) 혈액검사, 4) 간·신장기능검사, 5) 소변검사, 6) 혈중 CEA(Carcinoembryonic antigen)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 외에 satunomab 펩타이드, CEA 항체를 이용한 Immuno-sc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