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3,89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셀트리온은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주주환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내용의 ‘밸류업 프로그램(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국내 상장 기업의 저평가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셀트리온은 명확한 성장 목표를 시장에 알리고 강력한 주주환원 의지와 계획을 제시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2027년까지의 ▲매출성장(연평균 매출액 30% 이상 성장) ▲수익성 개선(자기자본 이익률: ROE 7% 이상 달성) ▲주주환원(3년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 목표를 골자로 구성했다. ▲ ‘25년 매출액 5조원 달성… ‘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 매출액은 이미 예고한 대로 올해 목표 5조원을 달성하고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존 제품의 안정적인 성장과 신규 제품의 빠른 시장 안착을 통해 매출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실제로 셀트리온은 지난해 램시마, 트룩시마 등 기존 제품들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램시마SC(미국 상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등 신규 제품(Young portfolio)의 매출 비중이 기존 26.1%에서 38.4%로 늘면서 연결기준 역대 최대 매출인 3
에실로코리아가 오는 4월 15일까지 신학기를 맞아 학부모들에게 소아 근시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근시 진행 억제 안경렌즈 ‘에실로 스텔리스트’를 소개하는 디지털 광고를 시작한다. 이번 광고는 학부모들이 자녀의 학교생활과 교육 정보를 확인하는 채널인 ‘아이엠스쿨’과 ‘클래스팅’ 앱에서 진행된다. 광고를 클릭하면 ‘에실로 스텔리스트’ 공식 블로그로 이동하며, 학부모들이 궁금해하는 소아 근시 관리 정보와 함께 ‘에실로 스텔리스트’의 특장점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에실로 스텔리스트’는 근시 교정과 근시 진행 억제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안경렌즈로, 매일 12시간 착용 시 근시 진행을 67% 억제한다. 렌즈 표면의 40%에 1021개의 마이크로렌즈를 11개의 링 형태로 배치한 고도화 비구면 마이크로렌즈 설계를 적용해 근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일반 단초점 안경렌즈와 같은 선명한 시야를 제공한다. 특히, 안경렌즈 형태이기에 어린이가 혼자서도 쉽게 착용하고 관리할 수 있어 근시 관리를 위한 점안액이나 콘택트렌즈 사용에 실패한 경우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에실로코리아 관계자는 “자녀의 시력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 근시를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방광암 4기 환자 A씨는 림프절 전이가 진행된 상태로 병원을 찾았다. 수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항암치료였다. 이에 보호자는 최근 승인된 한 병용요법으로 치료를 해보자고 제안했다. 치료를 시작한 A씨는 다음 내원일인 3주 후가 아닌 1주 후 몰래 병원을 찾아와 조용히 말했다. “이 치료 포기하고 싶습니다.” 이유를 묻자 그는 “자녀에게 부담주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해당 치료는 효과가 좋았지만 비용이 너무 비쌌다. 3주에 1000만원, 6개월 치료를 지속하려면 6000만원이 필요했다. 결국 보호자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다른 치료법을 선택했다.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이 17일 주최한 ‘병용요법의 암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김인호 교수는 이 사례를 소개하며, 병용요법의 현실적 한계를 강조했다. 병용요법은 기존 단독 치료법의 한계를 보완하며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식으로, 최근 항암제 개발의 중요한 흐름이 되고 있다. 병용요법의 효과는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김 교수는 “방광암의 경우 병용요법을 사용해 기존 치료법 대비 생존 기간이 2배 증가했다. 신장암은 사망 위험이 30~40% 감소했고
바야흐로 GLP-1 시대가 됐다고 해도 아닐 정도로 의료계 안팎으로 GLP-1 제제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비만치료의 중심에 있는 대한비만연구의사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가 16일 제36회 춘계학술대회 맞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는 GLP-1 제제와 비만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오고갔다. 김민정 이사장은 “비만치료를 시작한 지 20년이 넘었지만, 요즘처럼 비만이 이렇게 주목받은 적은 없었던 것 같다”며, “비만 치료가 단순한 미용 목적이 아니라 의학적 필요성으로 인식되면서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세마글루타이드 출시에 이어 올해는 터제파타이드 도입이 예상되면서 비만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로서 매우 고무적인 상황”이라며, “이러한 흐름을 잘 살려 국내 비만 치료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학회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진 회장은 “현재는 GLP-1의 시대다. AI와 GLP-1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작년에 란셋에서도 GLP-1을 ‘마법의 탄환’이라고 표현하며, 향후 시장 규모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질 것이라는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충주시 등 6개 지자체와 원주·충주권역 소아청소년 응급의료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17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원주·충주권역 소아청소년 중증 응급의료지원을 통해 소아응급의료 체계를 유지하고, 많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됐다. 협약식에는 원주연세의료원 백순구 원주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원강수 원주시장, 조길형 충주시장, 강원특별자치도 여중협 행정부지사, 김창규 제천시장, 김명기 횡성군수, 호희남 영월보건소장 등 각 기관대표 및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총사업비 15억 원을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담하기로 했으며, 이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의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확보를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기관별 분담 비율은 원주시 40%, 강원특별자치도 20%,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10%, 충주시 10%, 제천시 10%, 영월군 5%, 횡성군 5% 이다. 백순구 원주의무부총장은 “우리 기관은 중부권역의 핵심 의료기관으로서 앞으로도 지역 사회 및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우리 아이들이 더욱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
LG화학의 제2형 당뇨병 치료 신약 ‘제미글로’ 제품군의 역대 누적 판매액이 1조원을 돌파했다. LG화학은 최초의 국내 개발 당뇨병 치료 신약인 ‘제미글로’ 기반 제품군(제미글로, 제미메트, 제미다파, 제미로우)의 2012년 12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합산 원외처방액(유비스트 시장자료)이 1조 659만원을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1조원 매출을 넘긴 국산 당뇨약 브랜드는 제미글로가 처음으로 출시 후 11년 연속 성장, 연평균 성장률 35%를 나타냈다. LG화학은 해외 제약사 제품이 장악한 당뇨시장에서 2003년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도전해 2012년 신약개발에 성공, 같은 해 12월 제미글로를 출시했다. 이후 1조원 규모의 국내 당뇨시장에서 1위로 도약하기까지 10년이 걸렸다. 2023년 첫 시장점유율 선두로 올라섰고, 2024년에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153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LG화학은 현재 50만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들이 제미글로 제품군을 복용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LG화학은 차별적 고객가치 제공에 집중해 제미글로를 시장 선도 브랜드로 육성했다. LG화학은 개발 착수 이후 20여년간 총 1500억원을 투
메디아나와 셀바스헬스케어가 KIMES 2025에서 의료기기와 AI 간 융합을 통한 커넥티비티(Connectivity, 연결성)로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선보인다. 셀바스AI의 계열사인 메디아나와 셀바스헬스케어는 ‘Where AI-powered Connectivity Begins’을 공통된 주제로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소프트웨어(SW) 기술과 의료기기, 디지털헬스케어 간 융합을 통해 기존 의료기기들의 커넥티비티를 통한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 성장 방향인 병원 등 의료 현장의 업무 효율 향상과 의료 혁신을 돕는 ‘AI 메디컬 플랫폼(AI Medical Platform)’ 비전도 제시한다. 먼저 의료기기 전문기업 메디아나는 의료기기와 셀바스AI의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융합해, ‘의료기기의 커넥티비티’가 제공하는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선보인다. ▲Hospital(병원) ▲Emergency Care(응급의료) ▲Public Area(공공장소) 등 세 개의 섹션에서 의사, 간호사, 환자 등 사용자에게 어떻게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 전시한다. 특히, Hospital 섹션에서는 환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의사, 간호사
아무리 훌륭한 응급의료 인력과 시설이 갖추어져 있더라도, 응급환자를 빠르게 발견하고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다면 생명을 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생존 후에도 심각한 후유증과 장애를 남길 위험이 크다. 또한, 응급환자가 발견된 후 응급의료체계가 활성화되더라도 구급 ·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적절한 응급처치를 제공하지 못하면 환자의 소생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응급환자를 신속히 발견하고 인지하며, 목격자에 의한 정확한 응급처치가 제공되어야 하고, 이후 응급구조사의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가 체계적으로 이어져야 최상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응급구조학개론(Introdu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은 이러한 체계적 대응의 핵심인 응급구조사를 양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이다. 이 책은 응급구조사의 업무와 역할, 권리와 의무, 응급처치, 응급의료체계의 제도와 윤리를 종합적으로 소개하고자 하였습니다. 특히, 각 장별로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우리나라 응급구조사의 활동사진과 사례를 활용하여 내용을 쉽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교재의 주요 내용은 국내외 응급의료체계 비교, 응급구조와 응급처치, 응급구조사의
<의공학개론>의 발행은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고, 2025년 드디어 첫번째 판본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의공학개론>은 학부생의 의공학 분야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개론용 교과서로 활용하거나 또는 각 챕터별 주제의 초반부 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것입니다. 2장 세포생물학의 기초는 세포생물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간단하게 다룹니다. 7장 바이오칩, 10장 생체재료 및 조직공학, 12장 생물정보학 파트와 함께 학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7장 바이오칩 파트는 어레이칩과 미세유체칩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히 미세유체칩의 원리와 생물학 및 의학적 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10장 생체재료 및 조직공학 파트는 생체재료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 조직공학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바이오프린팅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합니다. 12장 생물정보학 파트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방대한 생물학 정보로부터 수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3장 바이오신호처리는 4장 생체계측과 함께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파트의 내용 중 일부는 중복되기도 하지만, 바이오신호처리 파트에서는 바이오신호의 특성에
제40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 ‘키메스 2025(KIMES 2025)’ 개막이 7일 앞으로 다가왔다. ‘키메스 2025(KIMES 2025)’는 오는 3월 20일(목)부터 23일(일)까지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 1, 3층 전관에서 열린다. 올해 ‘키메스 2025(KIMES 2025)’에는 국내·외 1450여개 제조사가 참가한다. 유수 기업들이 융복합 의료기기, 병원 설비, 의료 정보 시스템, 헬스케어·재활기기, 의료 관련 용품 등 3만 7천여 점을 총망라해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장 구성은 전시품 카테고리에 따라 A홀(1층)은 ‘치료 및 의료정보관’, B홀(1층)과 E홀(3층), 로비(1,3층)은 ‘헬스케어 및 재활기기관’, C홀(3층)은 ‘검사, 진단기기 및 의료 정보시스템관’, D홀(3층)은 ‘진단 및 병원설비관’으로 구분된다. 한국이앤엑스(대표 김정조)와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이사장 이영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김영민)가 공동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KOTRA,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한국여자의사회, 대한간호협회, 한국의료기기유통협회, 대한의공협회, 의학신문사 등 관련 기관 및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harma Services Co., Ltd.; 이하 LSK Global PS)가 오는 2025년 4월 8일(화) 오후 1시 30분 LSK Global PS 본사(서울시 중구 퇴계로 97 고려대연각타워 10층 E&T Hall)에서 ‘임상시험 통계 CDISC(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국제 임상데이터 표준컨소시엄) 활용 워크샵’을 개최한다. CDISC는 국내 임상시험 데이터 표준화의 핵심 요소로,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적인 신약 개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FDA와 일본 PMDA에서 신약 승인을 위하여 임상시험 데이터를 전자문서로 제출할 때 CDISC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CDISC 적용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워크샵은 CDISC에 대한 LSK Global PS 통계부서의 전문 지식과 업무 활용 노하우를 실무자들에게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LSK Global PS는 국내 최고 수준의 CDISC 역량을 보유한 임상시험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이하
수방자야, 말레이시아 2025년 3월 11일 /PRNewswire/ -- 선웨이 시티에 자리한 선웨이 메디컬 센터(Sunway Medical Centre•SMC)가 최근 '뉴스위크(Newsweek)'가 발표한 2025년 세계 최고 병원(World's Best Hospitals) 순위에서 다시 한번 세계 250대 병원에 이름을 올렸다. (from left) Dato Lau Beng Long, President, Sunway Healthcare Group (SHG); Dr Khoo Chow Huat, Managing Director, Hospital & Healthcare Operations, SHG; Dr Seow Vei Ken, Chief Executive Officer, Sunway Medical Centre, Sunway City (SMC); Dr Low Kwai Siong, Medical Director, SMC; and Tan Mei Shin, Senior Director, Business Development and Corporate Communications, SMC 2년 연속 선정의 영예를 안은 SMC의 순위는 20
HLB의 간암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결정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진양곤 HLB그룹 회장이 계열사 지분을 지속 매입하고 있다. HLB의 간암 신약은 글로벌 임상3상을 성공적으로 종료한 후, 지난해 5월 FDA로부터 승인을 기대했으나, 항서제약의 CMC 문제로 보완요청(CRL)을 받았고, 이번에 승인을 재도전하는 것이다. FDA는 처방약 사용자 수수료법(PDUFA)에 따라 미국 동부시간 3월 20일(한국시간 21일)까지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승인을 받을 경우 국내 기업이 기술 수출없이 자력으로 모든 임상과 개발을 종료하고 FDA로부터 항암제 승인을 받은 첫 사례가 된다. 때문에 이번에 간암신약으로 승인이 날 경우에 HLB는 상당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게 된다. 반면 승인이 보류 또는 지연될 경우 일시적인 주가하락은 불가피하다. 이같은 이유로 승인일이 다가오면서 주가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진양곤 회장이 계열사 지분을 계속해서 매입하고 있어 그 의중에 관심이 몰린다. 진 회장은 FDA 심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해 11월에 HLB바이오스텝 주식을 21만여주 장내매입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에는 HLB제넥스 주식을 8만 1000주 매수한 바
보건복지위원회와 대한의사협회, 대한전공의협회 등이 공동주관한 ‘의료현장 정상화를 위한 정책대화’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주제로 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주요 발제를 맡으며 전공의 수련환경의 문제점을 짚어보고개선방향을 제시했다. 박 위원장은 전공의들의 수련환경이 심각하게 열악하며, 이로 인해 많은 전공의들이 열악한 임금과 과중한 근무, 부당한 대우를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2년 대한전공의협의회의 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공의들의 평균 근무 시간이 주 77.7시간에 달하며,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52%에 달한다. 박 위원장은 “실제로 전공의들이 일하는 시간은 120시간을 넘는 경우도 많다”면서 “전공의들이 일하는 시간 중 휴게 시간은 실제 근무시간에서 제외돼 실제 근무 시간은 더 길어지며, 이로 인해 전공의들은 병원에서 거의 살다시피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전공의들은 보통 병원에 갇혀 있는 듯한 상태로, 몇 시간을 일했는지조차 인식하지 못한 채 근무한다”며 "대부분의 근무표에는 휴게시간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근무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덧붙였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지난 3월 6일 난임 전문의를 대상으로 과배란 유도 주사제 퍼고베리스 주의 최신 치료 지견을 소개하는 ‘시그니처 웨비나(Webinar)’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좌장을 담당한 분당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이정렬 교수의 기조연설로 시작을 알린 이번 웨비나에는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II 대학의 카를로 알비지 교수(Prof. Carlo Alviggi)와 분당 차병원 김지향 교수가 연자로 자리해 ▲난소 저반응 환자에서 재조합 황체형성호르몬(LH)의 역할(The Role of recombinant LH in Poor responder) ▲재조합 인간난포자극호르몬(r-hFSH)/재조합 인간황체형성호르몬(r-hLH)과 폐경 여성의 뇨기반 고순도 생식샘자극호르몬(HP-hMG)의 분자 수준 비교(Molecular comparison of r-hFSH/r-hLH vs HP-hMG)를 주제로 퍼고베리스의 치료 혜택과 2024년 4월 급여 확대 이후 축적된 국내 임상 경험을 공유했다. 알비지 교수(Prof. Carlo Alviggi)는 최신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35세 이상 고령 (AMA) 여성 또는 난소 반응 저하 환자에서 FSH 단독요
아토피 치료에 있어 계열간 교체투여에도 급여가 적용되고, 특히 최근 청소년 중증 아토피 환자에게도 린버크(성분명 유파다시티닙)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도록 허가와 급여적용이 이뤄지면서 아토피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애브비가 아토피 최신 치료지견 등을 살피는 기자간담회를 7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노원을지대병원 피부과 한태영 교수는 급여 변화와 치료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아토피 치료 환경 및 변화를 소개했다. 한태영 교수는 달라진 아토피 보험급여 기준에 대해 설명하며 “아토피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증상과 양상이 다양한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를 위해 환자별 맞춤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며 “교체 투여에 대한 보험급여 인정으로 그간 충분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했던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가 열렸다”고 소개했다. 특히 “생물학적 제제에 부작용 혹은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 린버크와 같은 JAK억제제로 교체 투여할 수 있게 돼 적절한 치료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험급여가 가능해짐에 따라 첫 치료제 선택에서부터 환자별로 높은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치료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회장 양오봉 이하 ‘의총협’),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사장 이종태, 이하 의대협회) 등과 함께 3월 7일(금),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3월 새학기 개강, 26학년도 입시 일정 등을 고려했을 때 의대교육 문제만큼은 반드시 풀어나가야 한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정부와 의학교육계가 함께 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학생복귀 및 의대교육 정상화 발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그동안 교육부는 의대협회, 의총협 등 의학교육계와 함께 의학교육 정상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해왔다. 위 3주체는 ‘의대생 복귀’가 의학교육 정상화에서 가장 중요하며, 의대생 복귀를 위한 다양한 방안 중 의대 모집인원 조정에 관한 논의를 통해 학생 복귀에 대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의대협회는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수용할 경우, 의대생을 반드시 복귀시키겠다는 취지의 학장들이 서명한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했고, 의총협은 의대학장과 같은 마음으로 전학년 의대생이 복귀해 2025학년도 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된
융복합 의료산업의 미래를 보여줄 제40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 ‘키메스 2025(KIMES 2025)’가 오는 3월 20일(목)부터 23일(일)까지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 1, 3층 전관에서 열린다. 올해로 40회를 맞은 ‘키메스 2025(KIMES 2025)’는 급변하는 글로벌 의료산업 트렌드를 선보이고, 국산 의료기기의 세계시장 진출을 돕는 국내 최대의 의료기기 전시회(2024년 한국 전시산업진흥회 통계 기준)다. 한국이앤엑스(대표 김정조)와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이사장 이영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김영민)가 공동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KOTRA,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한국여자의사회, 대한간호협회, 한국의료기기유통협회, 대한의공협회 등 관련 기관 및 단체가 후원한다. ◆국내·외 1450여 개 제조사가 AI, 스마트 병·의원 시스템, 빅데이터, 피부미용, 스마트 헬스케어기기 등 차세대 융복합 의료기기 관련 용품 3만 7천여 점 전시 소개 예정 올해 ‘키메스 2025(KIMES 2025)’는 코엑스 전시장 A, B, C, D, E홀 전관과 그랜드볼룸, The Platz, 로비에서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이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GLP-1/FGF21 이중작용항체인 BI 3006337(YH25724)의 기술반환을 통보받았다고 발표했다. 동 물질은 양사간 2019년에 체결된 License and Collaboration Agreement에 의거해 기술수출됐으며,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및 관련 간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써 개발 중이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허여된 권리를 반환할 예정이며, 유한은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수요에 대한 가능성 및 임상시험에서의 긍정적인 안전성 결과에 근거해 동 물질의 개발을 계속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기술수출로 수취받은 계약금(US$40,000,000) 및 마일스톤 기술료(US$10,000,000)는 반환의무가 없어 재무적 손실은 없다고 밝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약품제조및품질관리) 교육 40년 차를 맞아 기존 커리큘럼을 대폭 개편한다고 6일 밝혔다. 직무분석을 통한 체계화와 디지털 전환(DX) 기반의 교육혁신을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인다는 구상이다. 협회는 최근 기존 교육팀을 ‘제약바이오 아카데미’로 격상한 데 이어 디지털 전환(DX)을 활용한 전문적이고도 체계화된 교육 서비스를 선보인다. 우선 QA(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QC(Quality Control; 품질관리), 생산, 제조지원 등 GMP 관련 직무별 필요한 역량을 분석해 맞춤형 교육 체계를 구축, 교육에 돌입한다. 개방형 교육 모델인 ‘함께여는 클래스’도 선보인다. 수강생의 요구와 제안을 반영한 교육을 통해 고품질의 강의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QR코드를 활용한 실시간 Q&A, 판서 시스템 및 대형 멀티스크린을 활용한 몰입형 학습 환경, LMS(학습관리시스템) 고도화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극 도입해 교육의 몰입도와 실효성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협회 관계자는 “현재 40여개 사의 50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