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16텔레Dbyeonguso! 로또DB}{'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6,09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48개 시군구 57개 약국이 의약품 사재기 약국으로 적발됐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1월부터 진행된 수급불안정 의약품 사재기 현장 조사 결과, 4의약품 사재기 약국에 대해 시정명령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3월 3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해당 의약품을 다량 구입했으나, 사용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사재기가 의심되는 약국·의료기관 398개소에 대해 현 재고량과 사용량 증빙 서류(조제기록부 등) 등을 중점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시정명령 대상은 수급불안정 의약품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사용하지 않아 재고를 많이 쌓아두거나, 구입량의 대부분을 다른 약국에 판매해 시장질서를 어지럽히는 실질적인 도매행위에 해당하는 약국이다. 아울러 정부는 향후 시정명령 이행 여부를 점검해 미이행 시 약국 업무정지 등 추가적인 행정처분을 진행할 예정이다.
4월 1일부터 사실혼과 예비부부를 포함해 임신 준비 부부라면, 소득 수준 및 거주지역에 관계 없이 필수 가임력 검사비 여성 13만원(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과 남성 5만원(정액검사)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와 함께 임신 준비 부부가 임신·출산의 고위험요인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4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여성에게 난소기능검사(AMH)와 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제공한다. 난소기능검사는 전반적 가임력 수준을, 초음파 검사는 자궁근종 등 생식건강 위험요인을 알 수 있어 여성건강증진 전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남성에게는 정액검사를 지원하여 전체 난임요인에 약 40%를 차지하는 남성 생식건강 관리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 가임력 우려 소견이 있을 경우 난임시술과 난자·정자 보존 등 가임력 보존 계획도 가능하다. 검사 신청은 주소지 관할 보건소 혹은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을 통해 가능하며, 검사 신청 후 발급받은 검사의뢰서를 지참해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받으면 된다. 검사비용은 서비스 이용자가 의료기관에 선지불하고 추후 보건소를 통해 비용을 보전
3월 30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청이 3월 29일 전라남도(완도군)와 제주특별지치도(제주시)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확인돼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은 작년(3월 23일)에 비해 7일 가량 늦어졌는데, 이는 남부지역(부산, 경남, 전남, 제주)의 3월 평균기온이 작년 대비 낮아져 모기 활동이 다소 늦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동물축사·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며,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정점을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회복돼도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며,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되고 11월까지 발생한다.
정부가 ‘2024년 검역구역 내 감염병 매개체 감시 사업’을 확대 운영한다. 질병관리청은 해외 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부터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2024년 검역구역 내 감염병 매개체 감시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검역구역 내 감염병 매개체 감시 사업’은 4월부터 10월까지 검역구역 내 36개 지점에서 모기를 채집해, 비행기·선박을 통한 국내 미서식 감염병매개 모기 종의 국내 유입 여부와 모기 내 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외 유입 감염병의 토착화 방지를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전국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와 13개 국립검역소가 협력해 국내 공항 4개소와 항만 15개소에서 추진하며, 감시 결과는 지자체와 공유해 매개 모기 방제 및 선제적 감염예방 등 모기-사람 간 감염병 전파의 연결고리 차단에 활용된다. 앞서 2023년 검역구역 내 매개체 감시 결과, ▲빨간집모기 ▲작은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등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14종의 모기가 채집됐으며, 이집트숲모기와 같은 국내 미 서식 모기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채집 모기에서 국내 토착 바이러스인 일본뇌염바이러스 외 해외 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올해는
*빈소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장례식장 7호실, *발인 4월 1일
대한피부과의사회가 주최하고 대한피부과학회가 후원하는 '제26회 대한피부과의사회 춘계학술대회'가 3월 31일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개최됐다. 조항래 대한피부과의사회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진행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필수평점 세션을 비롯해 총 13개의 세션들이 준비됐다. 이번 학술대회의 이슈 포커스는 ‘마취’로, 리프팅 시술이 대중화되면서 통증 조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의학적 지식을 토대로 한 통증 조절은 피부과 전문의의 또 하나의 차별점이 될 것이라고 판단, ▲국소마취 ▲신경차단술 ▲수면마취 등을 비롯해 최근 보급되고 있는 비수면 호흡마취 등이 진행된다. 또한, 특별 기획 세션인 ‘피블리의 블랙박스’에서는 ▲색소 ▲톡신과 필러 ▲실리프팅 ▲레이저 ▲기타 EBD 등 피부 미용의 다양한 영역에서 부작용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예방·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한다. 색소, 항노화, 여드름의 3개 메인 세션은 각각 ▲색소 명의되는 MBTI ▲Biostimulator X EBD(feet 피부과 전문의) ▲모공은 좁히고 흉터는 채워서 깐달걀 피부 만들기 등의 주제로 진행된다. ‘더 마스트 클라스’ 세션에서는 은평성모병원 강훈 교수와 예미원 피부과 윤춘식 원
*빈소 군위농협장례식장 특실, *발인 4월 1일
국민의힘이 ‘약배송’ 공약에 대해서 ‘현행 비대면진료 체제에서의 재택수령의 예외적 허용 수준’을 의미한다고 밝혀왔다.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는 28일 밤, 국민의힘으로부터 ‘대한약사회 건의사항에 대한 국민의힘 입장’(첨부자료 참조, 이하 입장문)을 전달받았다. 이에 앞서, 대한약사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7일 국민의힘 당사를 찾아 총선을 앞두고 ‘약배송’문제를 공약으로 발표한 것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고, 공약철회를 요청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국민의힘은 입장문을 통해 “안전한 비대면 진료 기반 조성에 중점을 두어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며. 의약품 오남용에 따른 안전 문제가 없도록 제도화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또한 국민의힘은 입장문에 “향후 비대면진료 제도화과정에서 약사회에서 건의하는 ▲처방전리필제 도입 ▲대체조제 간소화 ▲의약품 수급 불안정해소 등과 함께 비대면 진료 제도화 시 3가지 전제조건으로 △표준·개방화된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구축 △플랫폼 개입없는 약사 주도의 합법적 약 전달 △비대면 플랫폼 업체에 대한 약사회의 관리 감독 역할 보장 등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일시 2024년 3월 31일 (일) 12시 20분, *장소 송파구 루이비스컨벤션 아모리스홀
대한심뇌혈관질환예방학회 춘계학술대회(2024 KSCP)가 ‘Toward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VD’를 주제로, 30일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심부전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제들의 소개, △허혈성 뇌졸중에서의 인터벤션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치료전략, △LDL-C 이외에 관심을 가져야 할 지질 프로파일들, △인공지능을 이용한 심뇌혈관질환 위험예측, △아시아인에서 심뇌혈관질환 예측법에 대한 현황, △만성신부전에서의 최신 치료약제 소개 등에 대해 다뤄진다. 또 기조강연으로는 하버드의대 Ron Blankstein교수의 관상동맥 석회화 강의와 연세의대 신경과 이경열 교수의 심뇌혈관질환에서의 AI 적용에 대한 강의가 준비됐다. 아울러 소주제 별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활발한 토의를 위한 세션들이 구성됐다. 대한심뇌혈관질환예방학회 이원영 회장은 개회사에서 “오늘 학술대회 개최를 위해 노력해주신 학술이사님과 학술위원회 위원 교수님들, 총무이사님을 비롯해 많은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침습성 수막구균은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빠르게 진행해 적절한 시기에 진단, 치료가 어려울 수 있고 사망률이 높은 데다가 치료가 되더라도 후유증으로 여러 고통을 안겨 백신 사용이 중요한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수막구균 질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시기와 지역에 따라서 호발하는 혈청군이 상이한데, 우리나라는 이 중에서도 B형이 중요한 혈청형이다. 제23차 대한백신학회 춘계학술대회가 29일 가톨릭대학교 옴니버스파크에서 개최됐다. 이 날 GSK가 후원한 Satellite symposium에서는 B형 수막구균 백신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발표는 인하의대 감염내과 이진수 교수가 맡았다. 수막구균은 ‘급성 감염병’으로 수막염 또는 패혈증을 일으키는 중증 질환 중 하나다. 대부분 생후 7개월 이내에서 매년 전세계 50만건의 세균성 뇌수막염이 발생하는데 이 중 5만명이 사망한다. 특히 증상 발생 24시간 이내 사망할 수 있으며 상기도 감염으로 오인할 수 있어 진단이 쉽지 않다. 이진수 교수에 따르면 수막구균 뇌수막염은 출혈성 발진, 목 경직 또는 통증, 광선 공포증, 천문 돌출 (1세 미만 영아) 및 뇌수막증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수막구균은
주요 국내 제약사들 중에서 동국제약이 직원 1인당 가장 많은 복리후생비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매출 상위 30위 이내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주요 제약사들의 복리후생비는 2022년 2737억원에서 2023년 2928억원으로 7% 확대됐다. 이를 30개 제약사의 전체 직원 수인 33601명으로 나누면 지난 해 1인당 약 900만원의 복리후생비를 지원받은 셈이다. 상위 5개사 중에서는 유한양행, 광동제약, 한미약품의 복리후생비가 증가했으며, 종근당, 녹십자는 복리후생비가 소폭 감소했다. 1인당 복리후생비는 순위가 높아질수록 줄어드는 모습이었다. 대표적으로 유한양행은 2022년 83억원에서 2023년 87억원으로 복리후생비가 5.6% 증가했으며 1인당 복리후생비는 400만원대였다. 종근당과 녹십자는 복리후생비가 1.3% 감소했다. 종근당은 2022년 143억원에서 2023년 141억원으로, 녹십자는 2022년 178억원에서 2023년 175억원으로 줄어들게 됐다. 각 제약사의 1인당 복리후생비는 600만원, 800만원이었다. 반면 광동제약은 2022년 121억원에서 2023년 135억원으로 11.8% 증가해 상위 5개사 중 가장 복
*부원장급▲진료부원장 최현승(이비인후과) *실장급▲보험자병원정책실장 오성진(심장내과) ▲연구소장 장정현(이비인후과) ▲진료기획실장 장태익(신장내과) ▲적정진료실장 유종하(진단검사의학과) ▲진료지원실장 허호(외과) ▲교육수련실장 박수미(영상의학과) ▲의료정보실장 조정희(신경과) ▲홍보실장 이지연(치과) ▲간호실장 계인선 ▲총무실장 김현만 ▲원무실장 김충성 *부실장급▲보험자병원정책실 부실장 정은지(안과) ▲연구소 부소장 박상훈(정형외과) ▲진료기획실 부실장 장지영(외과) ▲진료기획실 부실장 서권덕(신경과) ▲적정진료실 부실장 박선철(호흡기내과) ▲적정진료실 부실장 서종욱(산부인과) ▲간호실 부실장 윤수진 ▲교육수련실 부실장 김건배(응급의학과) ▲의료정보실 부실장 이장우(재활의학과)<2024년 4월 1일자>
제브라피쉬의 주류성 움직임을 지표화해 이독성 난청 치료 후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스크리닝 플랫폼을 개발했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은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최준 교수 연구팀(제브라피쉬중개의학연구소 최준 소장, 한은정 박사)이 유모세포가 손상된 제브라피쉬에게 다양한 치료 후보물질을 처리한 후, 약효에 따른 개체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양한 이독성 난청 치료 후보물질이 처리된 제브라피쉬 개체들의 주류성 움직임을 동시에 비교하기 위해, 각 구역별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비를 구축했다. 또한, 1초당 30프레임 단위로 개체들의 각도·위치·가속도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자동화 프로그램을 제작해 결괏값의 정확도를 높였다. 5분간의 행동 실험 결과, 정상적인 유모세포를 가진 제브라피쉬 일수록 ㄱ(기역) 패턴의 움직임을 보였고, 유모세포 손상도에 따라 l(일자) 패턴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물의 흐름에 대해 뒤로 밀렸다 앞으로 나가는 따라잡기(catchup-behavior)의 빈도는 손상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준 교수는 ”제브라피쉬의 행동 변화를 이용하면 1년 정도 소요되는 쥐 동물실험보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가 가짜 의료개혁과 명분없는 진료거부 중단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인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논의 등에 노동자 시민이 배제된 채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진짜 의료개혁은 모든 노동자 시민의 양도할 수 없는 건강할 권리에서 시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의사 수가 부족한 상황으로, 의사 수를 더 늘려야 하지만, 돈벌이 의료에만 집중된 의료 공급 구조를 그대로 둔 채 의사 수만 늘려서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 등 지역의료 소멸을 해결하고, 시민의 생명·건강 수호 및 필수의료를 회복시키려면 공공의사 양성과 지역 공공병원을 만들고 확충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또, 명분 없는 의사 파업으로 반복되는 의료 대란의 해법은 공공의료 확충이라면서 시민들이 주인이 되고 운영하는 공공의료를 늘리는 것이 진짜 의료개혁이라고 외치며, “이제 환자를 돈벌이 대상으로 보는 시장 중심 의료에서, 시민의 건강을 지키는 공공의료로 한국 의료를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시민과 노동자들
3천만 달러가 투자된 시설에서 1 단계로 1,800 명의 케냐 사람들을 고용 타투시티, 케냐, 2024년 3월 29일 /PRNewswire/ -- 풀케어메디컬(FullCare Medical )은 5천 에이커 면적의 케냐 다목적 경제특구(SEZ)인 타투시티에 새로운 의료용 의복 생산 시설을 오픈했다. FullCare's new medical garment facility at Tatu City was inaugurated at a ribbon-cutting ceremony graced by China Embassy Minister Counsellor Mr. Zhang (centre); Founder of FullCare Medical, Lu Jianguo (right); and Rendeavour Founder & CEO Stephen Jennings (left). 이 풀케어메디컬 시설은 3천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1단계로 1,800명의 케냐 사람들을 고용한다. 이후 단계에서는 최대 7,000명의 케냐 사람들을 고용할 계획이다. 풀케어메디컬 설립자 루지안궈(Lu Jianguo)는 "우
임현택 제42대 대한의사협회 회장 당선인이 인수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임 당선인은 신속한 회무 인수작업을 추진하여 제42대 대한의사협회 집행부를 차질없이 운영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인수위원회 위원장은 연준흠 대한마취통증의학회 회장이 맡았다. 연위원장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0대 대한의사협회 보험이사를 역임하였으며, 現 제41대 집행부 보험이사 및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인수위원회 간사는 박종혁 前 대한의사협회 총무이사가 맡았다. 박종혁 간사는 제40대 집행부 총무이사로 제41대 대한의사협회 의무이사를 역임한 바 있다. 인수위원회 대변인은 성혜영 現 성남시의사회 보험이사로 활동 중인 성혜영(연세생명나무내과의원 원장) 대변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밖에 이재희 법무법인 명재 대표변호사, 채동영 상상의원 원장, 허경 연세아이맘소아청소년과의원 원장, 허지현 법률사무소 해소 대표변호사, 박준일 現 보험이사, 박용언 前 대한의사협회 기획이사가 인수위원회에 합류했다. 성혜영 대변인은 “의료계가 매우 엄중한 시기로 비상대책위원회 운영과 대외적인 회무 추진 등 매우 긴박한 상황에 당선인의 역량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인수위원회는 신속히
제일약품은 지난 3월 초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UKM,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의과대학병원과 의약품 독점 공급 및 R&D 협력에 대한 양해 각서를 말레이시아 현지에서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내 제약기업이 말레이시아 국립의과대학에 의약품 독점 공급과 R&D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 체결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양해 각서 체결식은 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Parlimen Malaysia)에서 다툭 세리 잠브리 압드 카디르(Datuk Seri Zambry Abd Kadir) 말레이시아 교육부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UKM 부총장인 모하맛 에흐완 토리만(Dr. Mohd Ekhwan Hj Toriman) 교수와 제일약품 글로벌사업본부장 김수미 상무가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UKM은 제일약품이 공급하는 의약품이 말레이시아 보건부 산하 국가의약품관리청(NPRA)에 패스트트랙으로 등록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제일약품 의약품에 대한 말레이시아 현지 홍보를 아끼지 않기로 했다. 이와 함께, 장기적으로는 기술이전 및 현지 생산을 포함한 연구개발도 검토하기로 협의했다. 1970년 설립된 UKM은 말레이시아
신주 2024년 3월 29일 /PRNewswire=연합뉴스/ -- ICP DAS-BMP가 권위 있는 MD&M West Show에서 고품질 의료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큰 주목을 받으며 미국과 일본 최고 제조업체들의 주문을 받았다. 동시에 회사의 일부 TPU 제품은 90일 이식 후 국소 효과에 대한 ISO10993-6 테스트를 통과하면서 30일 이상 사용하는 체내 삽입형 의료 기기에 적합한 소재임을 입증했다. ICP DAS-BMP Secures Pivotal TPU Deals with Medical Materials Leaders in U.S. and Japan, Boosts Product Reliability ICP DAS-BMP는 아시아 최초의 의료용 TPU 공급업체이며 Alithane™(ALP 시리즈), Durathane™(ALC 시리즈), Arothane™(ARP 시리즈) 등 세 가지 주요 제품을 생산한다. 뛰어난 생체 안정성으로 유명한 Durathane™(ARC 시리즈)도 새롭게 출시할 예정이다. 모든 TPU 시리즈는 다양한 경도 수준, 색상, 방사선 비투과 필러(텅스텐/황산바륨)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AI신약융합연구원(이하 연구원) 부원장에 표준희 의공학박사(충북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 및 디파이브 테라퓨틱스 상무)를 선임했다고 29일 밝혔다. 표 부원장은 지난 2005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보건대학원 석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표 부원장은 통계 분석과 바이오마커 예측, 임상유전학 데이터(clinicogenomic data) 분석, 신약 파이프라인 분석 및 개발, 임상 시뮬레이션 분야의 전문가로, 글로벌 제약기업 과 컨설팅 기업 등에서 근무했다. 연구원은 표 부원장 선임을 계기로 AI 융합인재 양성과 AI 신약개발 기술 협력, 정부 연구개발과제 등에 참여해 ‘제약바이오산업계의 AI 신약 개발 생태계 조성’에 집중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AI 신약개발 전문인력 양성, AI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 및 신약개발 AI 경진대회 등을 통해 국내 AI 신약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편 오는 4월 3일 퇴임식을 갖는 김우연 전임 부원장은 연구원의 자문위원으로, AI신약융합연구 업무를 지원할 예정이다. 김 전임 부원장은 지난 2년간 AI 신약개발 융합인재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