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미용 목적의 성형수술·미용시술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성형외과의사회는 미용 목적의 부가가치세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알기 위해 전문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지난 2023년 7월 대국민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 설문 대상인 20대에서 60대에 해당하는 국민 10명 중 7명은 성형수술 / 미용시술 받는 것을 고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약 58%는 이미 성형수술이나 미용시술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현재 성형수술이나 미용시술에 부가세가 부과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비율은 45%로 절반이 되지 않았고, 성형수술이나 미용시술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답한 사람은 58.5%로 더 많았다. 결과적으로 현재 성형수술이나 미용시술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를 폐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1.7%가 찬성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분석됨으로써 국민의 인식 역시 미용 목적의 의료 용역을 원하는 사람들이 다른 국민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에 부정적인 인식을 내놓은 셈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한성형외
우리나라 국민의 86.7%는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당뇨병의 진단에 사용하는 ‘당화혈색소’에 대해서는 64.4%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세계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정춘숙 국회보건복지위원장 및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포럼’에서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당뇨병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약 9명은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심각 53.5%, 매우 심각 33.2%). 이러한 경향성은 전 연령층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당뇨병, 심각한 질환이라고 인식하지만 진단 기준에 대한 인식은 저조그러나 당뇨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는 사람(86.7%, 867명) 10명 중 6명 이상은(64.4%, 약 558명) 당화혈색소를 ‘모른다’고 응답해 당화혈색소에 대한 인지도는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화혈색소는 지난 2~3개월 간의 평균적인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당화혈색소 수치가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