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수명 양극화, 소득 · 지역별 기대수명 편차 나타나

소득수준별 6.6세, 지역별 서울 83.0세 · 울산 80.7세

소득이 높을수록, 서울에 살 수록 더 오래 살게 된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도봉갑)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의 기대수명(0세 출생아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은 82.1세이며, 남성은 79.0세, 여성은 85.2세인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6.2세 오래 사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상위 20%는 85.14세, 하위 20%는 78.55세로 약 6.59세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5년 전인 6.10세(상위 83.54, 하위 77.44)보다 다소 증가했다.



지역별 기대수명(2014년 기준, 3년 주기 조사)은 서울이 83.0세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경기 82.2세, 제주 82.1세, 대전 82세, 인천 · 광주 · 대구 · 전북 81.4세 순이다. 기대수명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 80.7세로, 가장 높은 서울과 약 2.3세의 편차를 보였다.

이러한 지역별 기대수명 편차는 점차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기대수명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서울(81.1세), 가장 낮았던 지역은 부산(78.4세)으로 두 지역 간 약 2.7세의 편차를 보였으며, 다음 조사 시기인 2011년에는 서울 82.0세, 경북 79.6세로 약 2.4세의 편차를 보였다.

기대수명의 증가율은 전북과 부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전북과 부산의 기대수명은 각각 78.8세, 78.4세였으나 2014년에는 각각 81.4세, 81.0세로 약 2.6세 증가했다. 기대수명이 가장 적게 증가한 지역은 제주로서 2008년 80.7세에서 2014년 82.1세로 약 1.4세 증가했다.

한편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서울의 경우 2008년 81.1세에서 2014년 83.0세로 약 1.9세 증가해, 제주 다음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한국의 기대수명(여성 기준, 85.2세)은 OECD 주요국가 중 일본(87.1세), 스페인(85.8세), 프랑스(85.5세) 다음 순위이다.



인재근 의원은 "의료기술 발달, 영양 정보 확산 등으로 한국의 기대수명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대한민국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소득별 · 지역별 기대수명 편차 해소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지적하며, "정부와 지역사회는 물론 기업과 시민사회단체 등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소득수준에 따라 기대수명이 차이를 보이는 이른바 '수명 양극화'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