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광주광역시 서구청 동구청 등 보건소장 갑질논란과 관련, 광주전남건강포럼이 “향후에 갑질논란을 피하기 위해 보건소장이 소극적인 조직관리를 하게된다면 지역보건사업의 질적 저하가 초래될 것이다.”라는 입장을 18일 밝혔다.
광주전남건강포럼은 지난 2005년 출범했다. 광주전남지역 대학병원 교수와 공공의료에 종사하는 보건소장 등이 모인 임의단체다.
광주전남건강포럼 관계자는 19일 메디포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광주전남지역에서는 보건소장 갑질논란으로 지난 9월 서구청 보건소장이 직위해제되고, 최근 동구청 보건소장이 강등되고, K구청 보건소장이 사직했다.”고 했다.
이에 광주전남건강포럼은 입장문에서 “보건소와 광주시 보건당국은 이번 사태로 인해 지역보건체계가 흔들리지 않고 지역주민의 건강을 위한 공공보건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라고 촉구했다.
갑질논란에 대한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광주전남건강포럼은 “사실확인 절차가 끝나기도 전에 언론에 보도되는 여론몰이식 평가는 공공보건 전문가를 평가하는 정당한 방법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광주지역본부 동구지부가 광주광역시 5개 자치구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마쳤거나 진행 중인 사안과 관련, 여론몰이식 보건소장 평가를 경계했다.
광주전남건강포럼은 “노조원들의 불만사항을 설문조사해서 공공기관의 관리자를 평가하는 것은 전례도 없고 원칙에도 맞지 않다. 범용될 수 없는 불합리하고 무원칙적인 평가방식이 보건소장에게는 일사천리로 적용되는 지금의 상황은 현 공무원조직에서 보건조직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광주광역시 당국에 보건소장이 적절한 위상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전남건강포럼은 “공공보건전문가로서의 보건소장의 위상이 약화된다면 선거의 논공행상을 위한 자리로 전락될 위험도 높다. 따라서 보건소와 광주시보건당국은 공공보건조직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전문기관으로서의 적절한 위상을 갖추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