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신생아집중치료팀이 지난 10년간 500g 미만 초극소미숙아 12명중 6명을 살려내며 생존율 50%을 기록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기록은 미국의 생존율 35%를 훨씬 넘어서는 것으로 초극소미숙아 치료성적이 세계최고 수준임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현대의학의 생존한계로 여겨져 왔던 임신기간 24주를 극복해 22주 6일만에 태어난 483g의 초미숙아를 살려냈다.
주한미군 부부의 아기인 카메론 조셉(Kameron A. Joseph)이 그 주인공. 이 기록은 국내에 보고된 미숙아 중 가장 어린 아이이기도 하다.
특히 카메론을 치료한 박원순·장윤실 교수팀은 미숙아 치료에 있어 현대의학의 한계로 알려진 *24주 미만이라는 임신기간 *500g 미만이라는 출생체중 *초미숙아 중 생존이 훨씬 더 힘든 것으로 알려진 남자아이라는 점을 모두 극복하고 생명을 구해내 주목받고 있다.
박원순 교수는 “500g 미만 미숙아 생존율 50%라는 놀라운 치료성적은 현대의학의 생존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무엇보다 이와 같은 최첨단의 치료기술이 앞으로 모든 미숙아들을 더욱 더 건강하게 잘 살릴 수 있는 기반기술이 된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미숙아 출산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신생아중환자실 병상은 부족한 것으로 지적 받고 있다.
장윤실 교수는 “훌륭한 미숙아 치료기술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가의 지원이 마련된다면 더 많은 어린 생명들이 평생을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다”며 “이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과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서울병원의 2005년도 750~999g 초극소미숙아의 생존율은 2004년 85%에서 94%로 향상됐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
2006-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