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의 고령층은 기온이 32℃에서 1℃ 증가할 때 마다 9명씩 초과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기상연구소는 9일 ‘고온과 일 사망률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결과 지난 13년(1992~2004)동안 하계기간에 6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인천)에서 65세 이상 고령층의 인구 대비 일 사망률은 1994년에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의 경우 32℃부터 기온이 1℃ 증가함에 따라 초과사망이 9명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4년 서울의 하계기온은 평년(1971~2000)보다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일 최고기온이 32℃ 이상을 지속한 기간은 7월 15일부터 8월 9일까지였다.
당시 일 사망자 최고치는 180명(서울시 13년간 일 평균 사망자수 103명)으로 약 75%의 초과 사망률을 보였다.
조사결과 31.4℃부터 평년기온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망자수를 초과하기 시작해 1℃ 증가할 때 초과사망자는 약 9명으로 나타났다.
35.7℃에서는 일 사망자가 25% 증가한 123명이었으며, 37.6℃에서는 50% 증가한 148명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은 “기상과 인체의 조건에 따라 실제로 느끼는 인지온도(認知溫度)를 지역별로 예측해 고령층의 주요 질병(호흡계, 심장계 질환)에 의한 사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고온-건강 예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
2006-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