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IT

J&J 서지컬비전, 의료진 대상 ‘2025 실크 서클’ 유저 미팅 성료

엘리타 실크 라식의 임상 결과와 수술 과정의 특징 등 공유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대표 성종현)은 지난 7월 26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의료진 대상으로 진행된 ‘2025 실크 서클(SILK CIRCLE)’ 유저 미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저 미팅에서는 약 20명의 의료진이 참석해 자사의 각막 굴절 레이저 장비인 ‘엘리타(ELITA™ Femtosecond Laser System)’의 사용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활용한 시력교정술 ‘실크(SILK, Smooth Incision Lenticular Keratomileusis)’에 대한 임상적 논의가 이뤄졌다.

유저 미팅은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의 발표로 시작됐다. 발표에서는 한국에서의 엘리타 런칭 과정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최신 업데이트 및 향후 기술 혁신 방향, 엘리타 실크 라식 PR 캠페인에 대해 소개됐다. 이후 진행된 발표 세션에서는 혜안서울안과 정태영 원장과 눈에미소안과의원 구형진 원장이 좌장을 맡아, 다양한 의료진이 연자로 참여해 엘리타 실크 라식의 임상 결과와 수술 과정의 특징, 수술 노하우 및 수술 경험 등에 대해 발표했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눈에미소안과의원 김성민 원장이 ’KLEX 플랫폼 중 엘리타 실크 라식이 제공하는 차별화된 이점’을 주제로, 엘리타를 포함한 5종의 펨토초 레이저 장비의 단기 임상 데이터를 통해 엘리타 실크 라식의 수술 결과를 공유했다. 이어 국내 최초로 엘리타 실크 라식을 도입한 혜안서울안과 김명준 원장은 470안 이상의 수술 경험을 통해 ‘엘리타 실크 라식의 질적·양적 임상 결과 분석’에 대해 발표했다.
 
다음으로 대전 이안과병원 신일환 원장은 ‘신규 렌티큘 사용자 관점에서 본 엘리타 실크 라식의 러닝커브(Learning Curve)’를 주제로, 수술 전 준비부터 장비 선택, 수술 적응까지 실크 수술에 대한 실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했다. 마지막 발표를 맡은 부산 아이시티안과 김규식 원장은 1000안 이상 집도한 풍부한 임상 경험을 통해 ‘엘리타 실크 라식의 가치 중심 포지셔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구형진 원장은 “엘리타는 2023년 국내 출시 이후 시력교정술 분야에서 유의미한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번 유저 미팅은 실제 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수술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의료진 간 실질적인 수술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량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 성종현 대표는 “이번 유저 미팅은 국내 유저들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엘리타 실크 라식의 기술적 완성도와 시력교정술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은 앞으로도 의료진 대상의 교육과 임상 정보 공유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시력교정술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엘리타 실크 라식은 난시 유무와 관계없이 근시 굴절 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시력교정술로, 작은 스폿 크기의 초저 펄스 에너지를 사용해 부드럽고 촘촘한 절개가 가능해 각막 조직의 손상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임상 연구에서는 실크 수술을 진행한 환자의 96%가 수술 후 3~6개월 후 나안 시력 1.0 이상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은 최근 의료기기 업계 최초로 버추얼 휴먼을 엘리타 실크 라식의 브랜드 캠페인 모델로 선정하며,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측면 모두에서 혁신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