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민주화추진운동본부는 의협회장 선거방식의 간선제 전환은 민주화를 심각하게 훼손한 상황을 좌시할 수 없다며 강도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의협민주화추진본부(이하 의민추)는 19일, 회장선거 방식의 과거로의 회귀와 대의원들의 의협민주화 훼손을 강도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의민추는 “의협 민주화를 갈망하는 많은 의사들이 힘을 합했고 그 결실로서 의협 회장의 직선제를 쟁취했었다”면서 “의사사회가 전대미문의 위기에 처했던 그 시절에도 집요하게 직선제를 방해한 인사들이 있었으며 직선제로의 전환이 대의원 회의에서 승인된 이후, 복지부 승인을 얻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음을 아는 회원들은 다 알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민추는 “지난 2000년도가 허망하게 지난 후 그래도 의협 민주화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탰다는 자부심을 지니고 우리는 현장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의협민주화추진운동본부라는 이름을 다시 거론하게 만든 작금의 현실에 우리는 참담함과 분노의 심정을 금 할 수 없다”고 성토했다.
즉, 어떤 회원의 말대로 어떻게 이룬 직선제인데 대의원들 마음대로 간선제를 날치기 통과시킨다는 말인가?라는 것이 의민추의 견해다.
의민추는 “선거에 의해 선출되지 않은 대부분의 대의원, 부적격대의원들이 민의를 수렴하는 절차도 없이 전격적으로 간선제를 결의한 대의원회의 책동은 의협 민주화에 대한 쿠데타”라며 “묵묵히 참고 있는 많은 회원들과 의협이라는 조직 자체에 대한 그들의 오만, 방자함이 그 도를 넘어도 한참 넘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한, 의민추는 의협 민주화가 후퇴하고 있는 작금의 상황을 좌시할 수 없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한 우리는 의협민주화추진운동본부의 활동 재개를 선언했다.
의민추는 “대의원회의 간선제 결의가 무효임을 선언하고 대의원 선출의 완전직선제 쟁취를 비롯한 대의원회의 민주화를 위해 뜻을 같이하는 모든 회원들과 연대해 투쟁할 것을 선언한다”고 천명했다.
다음은 의협민주화추진운동본부는 ①부적격, 부정대의원에 의한 총회결의 무효 ②이모든 사태에 대해 책임지고 대의원회 해산 ③의협집행부는 정관변경 승인 절차 거부 ④정관에 의한 대의원 완전 직선을 시행해 민의를 대변하는 민주 대의원회 구성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