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비알코올 지방간질환도 16~33%의 높은 유병률

간학회, 진료 가이드라인 제정 '중증질환 진행 등 바른 인식 유도'

대한간학회(이사장 김창민)가 2013년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학회는 최근 빠르게 증가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바른 인식이 필요하다며 가이드라인의 제정 배경을 설명했다.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과 과도한 음주 등을 들 수 있지만, B형 간염 예방접종의 시행과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발전으로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은 향후 급격히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최근 우리나라에서 비만과 관련된 대사 질환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비알코올 지방간질환도 16-33%의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대한간학회에서는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료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제정위원회(위원장 이한주)를 구성했고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과 자문회의, 공청회 등을 거쳐 지난 8월 30일, '2013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전 인구의 3분의 1 정도에서 발견되는데, 일부에서는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된다.

서구에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비만 인구의 증가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사회 보건학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는 질환이다.

비알코올 지방간 및 비알코올 지방간염의 유병률은 각각 6-35%와 3-5% 정도로 추정된다. 국내에서는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제한적인 실정이지만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초음파검사를 이용하여 진단한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은 16-33%로 나타났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비만,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또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을 때 유병률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비알코올 지방간에서 비알코올 지방간염, 비알코올 지방간연관 간경변증을 포괄하는 진단명이다. 일반적으로 비알코올 지방간은 대부분 양호한 경과를 갖는 반면, 비알코올 지방간염의 일부 환자는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종 같은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자연 경과를 요약하면▲비알코올 지방간질환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전체 사망률이 높고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심혈관 질환이며 ▲비알코올 지방간염 환자에서는 간질환 관련 사망률이 증가한다.

특히 간기능검사 혹은 초음파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다.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는 대게 간기능 검사에서 AST 또는 ALT의 상승이 발견된 경우이거나 건강 검진을 통해 복부 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이 발견되는 경우이다.

간기능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간염, 알코올 간질환, 약물 유발 간염, 자가면역 간질환, 윌슨병 등의 다른 간질환과 근육질환 등의 감별을 위한 병력 청취 및 검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간의 지방증을 확인하기 위해 일차적인 검사로 복부 초음파검사를 시행한다.

단, 영상의학 검사 중 초음파검사, CT, MRI, MRS는 간 내 지방량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비알코올 지방간과 비알코올 지방간염의 감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히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에서 단순 지방증이 아닌 비알코올 지방간염과 진행성 섬유화 등이 있는 환자를 구분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통해 구할 수 있는 NAFLD Fibrosis Score 와 같은 생화학적 검사나, transient elastography 및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와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가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서 진행된 간 섬유화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