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명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정신과 Won-Myong Bahk, M.D. & Ph.D. Dept. of Psychiatry,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E-mail: wmbahk@catholic.ac.kr 서 론 주요우울증은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이나 직업능력, 대인관계 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울증의 유병율은 4.9~17.9%에 이를 정도로 높은 편이며 환자들에서 자살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큰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다. 또 이런 부담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2020년에는 허혈성심질환 다음으로 개인의 기능장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우울증의 치료를 위해 많은 치료적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현재 20여 종의 약물이 FDA에 승인을 받아 항우울제로 쓰이고 있으며 대인관계치
허규찬 건양의대 건양대병원 내과 Kyu-chan Huh,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Kon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mail: Kchun@shinbiro.com 서 론 우리나라의 소화기 질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질환인 위염과 위궤양은 많은 임상경험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형화된 치료는 잘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 특히 위염은 정의와 치료 방법이 사람마다 다르고 위염 자체가 내시경이나 병리학적으로 특징적인 소견만으로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과 여러 가지 검사소견을 종합해서 진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염증에만 초점을 맞춘 진단과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다. 위궤양은 내시경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형태학적 진단 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는 1980년대에 강력하게 위산을 억제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