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매나 고마운지 모르겄네. 너무 고마워.”30일 오전 10시 전북대학교병원 응급센터 지하 PET센터. 분홍색 검진복을 입은 이종례 할머니(73․전주시 금암동)는 연신 고맙다고 말하며 PET-CT검사를 받았다.이 할머니는 전북대병원 권역별 사이클로트론연구소가 ‘원자력 사랑 나눔’ 행사의 일환으로 펼치고 있는 무료 암 검진 사업의 첫 수혜자다. 이 할머니는 13년 전 큰아들을 불의의 교통 사고로 잃었다. 5 살배기 손자를 남편과 함께 힘겹게 키워왔고, 손자는 이제 의젓한 고등학생이 됐다. 전북대병원이 실시하는 무료 암 검진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온 어르신들에 대한 작은 존경의 표시이자 배려인 셈이다.이종례 할머니는 “손자 학교에서 무료 암 검사를 해준다는 전화를 받았다”며 “처음에는 이게 무슨 일인가 했는데 지금은 고마운 마음뿐”이라며 웃음을 지었다.전북대병원이 펼치고 있는 ‘원자력 사랑 나눔’은 이종례 할머니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계속된다. 전북지역암센터와 핵의학과의 지원을 받아 소년․소녀 가장을 돌보는 도내 기초생활 수급자 어르신들 대상으로 PET-CT를 이용한 무료 암 검진을 실시하게 된다. 검진 대상자 50명은 전라북도교
가천의대 길병원은 지난 30일,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 1층 로비에서 ‘가천임상시험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이번에 개소식을 연 가천임상시험센터는 초기임상시험이 활발한 독일의 Humboldt 대학병원 및 스웨덴의 Karolinska 대학병원과 임상시험 및 약물유전학 분야의 공조를 위한 협약을 이미 체결하였고, 인력의 해외연수도 시행하고 있다. 한편 임상시험 분석실 운영을 위해 최신 분석장비들을 구비하고 철저한 validation을 통해 국제인증을 목표로 하며, 인종간 약물 반응 차이의 연구를 위한 약물유전학 실험도 같이 운영 할 예정이다. 또한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의 뇌영상 기술과 임상시험을 연계하고, 이길여 암·당뇨 연구원의 국내 최대 설치류 동물실험실 환경을 이용해 비임상시험의 분석부분까지 그 영역을 확장해 대학병원의 후기임상시험도 지원업무를 통하여 활성화 시킬 예정이다.개소식에 참석한 가천길재단 이길여 회장은 “가천임상시험센터는 과감한 투자로 우리나라 신약개발의 핵심인 초기임상시험을 활성화 시켜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이번 개소식은 행사를 전후로 해 센터투어가 이루어 졌으며 오후1시반부터 개소식 직전까지 ‘Race/Ethnicity a
정형근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이 ‘보건의료분야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최근 보건의료분야 각 기관의 단체장으로 구성된 대표자회의를 개최, 제4대 의장으로 선출됐다.대표자회의에서 각 단체장들은 이해관계가 상반된 19개 단체를 조율하고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리더십이 강하고 카리스마가 넘치며 평소 이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정형근 이사장이 꼭 맡아야 한다며 만장일치로 선출했다.정형근 이사장은 “정기적인 회의, 토의, 사례발표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의약품 유통부조리 등을 방지하고 근절해 보건의료분야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나아가 사회 전반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자”며, “이를 위해 오늘 새로 선출된 감사, 대변인과 함께 앞장설 것이며, 각 단체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각오를 밝혔다.또한, 제4대 감사는 대한약사회장과 대한한의사협회장이 선출됐으며, 협의회 활동 등에 대한 대외홍보 등을 위해 대변인을 지정하기로 해 대한치과의사협회 김홍석 대외협력이사를 제1대 대변인으로 선출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사용 부문의 QI(Quality Improvement, 질향상)활동 우수사례를 공모, 29일 부산대학교병원 등 4개 기관에 대해 포상했다.포상을 받은 기관들은 각 진료과, 마취통증의학과 등 여러 파트와 팀을 이루어 자궁적출술 등과 같이 감염이 없는 청결수술(Clean Surgery)에 예방적 항생제를 적정하게 사용하기 위한 다각적인 활동한 기관이다.주요 활동으로는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사용지침서를 개발하거나, 처방전산시스템을 변경․구축해 청결수술 환자에 대해 예방적 차원의 항생제가 적정하게 투여되도록 관리했다. 이중 일부 기관은 동료평가를 시행하거나 수술 집도의사 별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현황보고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이 기관들의 사례는 오는 12월 4일 한국의료QA학회에서 우수사례로 발표할 예정이며, 이는 다른 의료기관에게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심평원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를 의료현장에서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7년부터 질향상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QI 뉴스레터, QI 교육과정 및 커뮤니티 개설, QI 활동 우수사례 포상 등을 실시하고 있
복지부는 현 일반건강검진 제도에 개선 요구에 따라 내년 1월부터 1차 검진은 강화하고, 2차 검진은 고혈압ㆍ당뇨병 발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일반건강검진 제도개선에는 431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다.보건복지가족부는 최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일반건강검진 제도개선(안)’을 공개했다. 복지부의 이번 일반건강검진 제도개선은 그동안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와 관련해 복지부는 “현재의 건강검진을 통해서는 조기에 발견하려한 목표 질환이 불명확하다. 즉, 건강검진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검진 항목이 편성돼있다”면서, “간기능 검사, 고지혈증 검사의 1ㆍ2차 구분 근거 불명확한 것은 물론이고 보건학적으로 실시근거가 부족한 검진 항목이 편성돼 있고, 검진결과에 대한 상담이 없는 부실한 검진 결과 통보로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며 제도개선의 이유를 밝혔다.일반건강검진 제도개선안의 목표를 ‘심뇌혈관 질환 예방’으로 집중시켜 실효성 있는 건강검진 사업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서 1차 검진은 강화하고, 2차 검진은 고혈압․당뇨병 발견에 집중하게 된다. 개선안에 따르면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크레아티닌을 1차 검진항
심평원이 내년 1월부터 임신부 금기의약품에 대한 처방조제지원시스템을 시행한다는 계획을 밝혀, 또 다시 의료계와의 충돌이 예고하고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최근 ‘임신부 처방 금지의약품’을 지정한 DUR(의약품처방조제지원시스템)을 2009년 1월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심평원이 이처럼 임신부 금기의약품에 대한 DUR시스템 시행은, 과거 임신부들에게 처방해서는 안 되는 의약품을 처방, 이를 복용한 임신부의 상당수가 기형아를 출산했던 역사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심평원 이병민 정보개발부장은 “미국이나 유럽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임신부에게 적정한 의약품의 대한 처방조제지원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국내에도 이제는 임신부 금기의약품에 대한 DUR시스템이 필요,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시행사유를 밝히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정청은 이미 임신부 금기의약품 DUR시스템 시행을 위해 의약품을 분류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업체 역시, 관련 시스템 준비를 시작했고 복지부는 시행규칙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문제는 임신부 금기의약품 DUR시스템 시행 역시, 지난 병용․연령금기 때와 마찬가지로 의료계의 반발이 거셀 수 있다는데 있
건강보험에서 불안장애로 치료받은 환자가 2004년 37만명에서 2007년 50만명으로 지속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이러한 사실은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한나라당 임두성 의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불안장애 진료인원 현황(‘04~’08.6)‘자료를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연도별 불안장애 환자 현황을 보면, 2004년 37만4813명, 2005년 40만4135명, 2006년 44만3175명, 2007년 50만2684명, 2008년 8월 현재 33만6096명으로 최근 4년간 34.1%나 증가했다.최근 4년간 연령대별 증가율을 보면, 10대가 84.9%로 가장 늘었고, 20대 43.4%, 50대 39.5%, 60세 이상 33.6%, 30대 26.9%, 40대 24% 순이다. 10대와 20대에서 불안장애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과열된 입시와 취업경쟁 스트레스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2007년도 불안장애 환자의 연령별 현황을 보면, 60세 이상 노인의 불안장애 비율이 27.3%로 가장 높고 40대 21.4%, 50대 18.5%, 30대 15.8% 순이다. 물론 60세 이상은 70대와 80대 등을 모두 포함한 숫자.임두성 의원은 “40세 이상 불안장애
건강보험 소득축소탈루심사위원회 추정한 4년간 소득 누락액이 685억2000만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최근 4년간 소득 축소ㆍ탈루로 인해 실제로 추가징수한 보험료가 2억7000만원, 직역간 변동으로 환수ㆍ환급된 금액이 9억4000만원에 이르는 등 건강보험료 축소 기도를 위한 소득축소ㆍ탈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이와 같은 사실은 한나라당 임두성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득축소탈루심사위원회 회의 결과(2005~2008.9)’, ‘직역간변동자 특별지도점검 결과보고(2008)’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 제82조의2(소득 축소ㆍ탈루 자료 송부 등)에 근거해 2005년 7월 28일부터 소득축소탈루심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소득 축소ㆍ탈루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국세청에 송부 후 그 결과를 보험료 산정에 반영하고 있다.2005년부터 2008년 9월 현재까지 소득축소탈루심사위원회에 회부된 건은 총 343건이며, 이 중 국세청에 송부된 소득 축소ㆍ탈루건 총 115건이다.연도별 소득 축소ㆍ탈루 승인건과 소득누락 추정금액을 보면, 2005년 3건 2억6000만원, 2006년 11건 36억9500만원, 20
건보공단이 복지용구 급여비용 2100만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한 사업소 대표에 대해 지난 28일 고발장을 접수했다고 밝혔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은 “복지용구 급여비용을 허위청구한 광주○○복지용구 사업소 대표와 부산의 ○○복지용구 사업소 대표에 대해 해당 지방검찰청에 고발장을 접수했다”고 말했다.수급자가 복지용구를 구입한 경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장기요양급여의 종류)제1항 제1호 바목 및 동법 시행령 제9조(기타재가급여)에 따라 적법하게 비용을 청구해야 한다. 건보공단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에 따라 청구해야 함에도 광주사업소의 경우 수급자에게 복지용구를 제공하지 않고 허위로 급여비용을 청구”한 것은 물론 “복지용구 물품을 제공한 수량보다 늘려서 허위로 청구했거나 또는 저가품의 복지용구를 제공하고 고가제품으로 청구해 2126만8060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사실을 확인 했다”며 고발 사유를 설명했다.이번 고발된 부산지역 복지용구사업소의 경우 재가장기요양기관과 결탁해 2008년 7월부터 동년 9월까지 3개월간 청구한 복지용구 급여비용 총 1518만7010원 중 942만890원을 허위청구한 사실이 공단 조사 결과 확인됐다.공단은 복지용구
고대 구로병원 호스피스회(회장 김준석, 종양내과)는 지난 28일부터 오는 30일까지 3일간 신관로비에서 ‘사랑나눔 바자회’를 개최했다. 이번 바자회는 교직원 및 내원객들에게 물품을 기증받아 이루어졌으며, 수익금은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센터의 환자들에게 치료비로 지원될 예정이다.
전남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소장 윤진상 교수)와 전남대학교 성의학연구소(소장 박광성 교수)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성의학 국제심포지엄 10월 31일 오후 2시부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덕재홀에서 열린다. 이번 성의학 국제심포지엄은 ‘성의학; 기초부터 임상까지’(Sexual Medicine; from bench to bedside) 주제로 미국 보스턴의대 Azadzoi 교수의 ‘혈관인성 발기부전에 있어서 산화 스트레스의 역할’(The role of oxidative stress in arteriogenic erectile dysfunction), 중국 북경대학 Xin 교수의 ‘왜소음경에서 조직공학을 이용한 수술치료(Tissue engineering surgery for small penis syndrome), 대만 Jiann 교수의 ’약물남용 환자에서 성기능장애‘(Sexual dysfunction in men with drug abuse) 등 성의학의 기초 및 임상연구에 있어서 최신지견에 대해 국제적으로 유명한 교수들의 특강이 있다. 국내에서는 인하의대 서준규 교수의 ‘발기부전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서 음경혈관생성’(Penile angiogenesis as a no
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최근 재정운영위원회 구성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진행, 그 의도가 공급자 위주의 위원회 구성을 위한 것이 아니냐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2일부터 ‘건강보장 정책결정구조의 미래지향적 발전방안-국민참여를 중심으로’란 제목 하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연구원은 이번 설문조사에 대해 “국민 참여가 어떤 방식으로 변화해야 하는지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취지를 밝히고 있다.설문조사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운영 중인 건강보험제도 관련 위원회에 대한 의견을 묻고 있다. 설문내용을 살펴보면 △각 위원회별 구성 비율의 적정성 △각 위원회별 전문성 △투명성 △신뢰성 △민주성 △책임성 △국민참여 및 개선방안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질의하고 있다.그러나 이번 설문조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으로 가입자단체측은 세 번째 주제인 ‘전문성’분야에 대한 질문이다. 전문성 분야에 대한 질의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각 위원회별로 위원들이 위원회 특성에 맞게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문성 강화가 필요한 단체인지 기입해 주시오.②가입자(국민)의 위원회 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11월 11일, 미국 CMS(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및 AHRQ(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와 함께 ‘보건의료서비스체계 내에서의 근거와 가치’를 주제로 JW메리어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이번 심포지엄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미국 보건복지성 산하에서 Medicare와 Medicaid의 관리운영을 담당하는 CMS, 의료의 질과 안전성․유효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담당하는 AHRQ와의 상호 정보교환은 물론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개최된다. 이번 심포지엄 세션1에서는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이라는 주제로 심평원과 CMS가, 세션2에서는 ‘근거중심 급여정책’이라는 주제로 심평원과 AHRQ 그리고 정부, 학계 등이 공동 발표할 예정이다. 심평원은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의료서비스 체계 내에서의 근거와 가치와 관련해 CMS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가치기반 지불제도(Value-based Purchasing Program)와 AHRQ를 중심으로 한 근거중심 급여정책에 대해 양국이 함께 공유하고 논의하
한국줄기세포학회(회장 서울의대 노재규 교수)와 서울시 제대혈줄기세포응용사업단 및 영국대사관이 주최하는 제4회 한국줄기세포학회 학술대회가 11월 5일 서울대학교 문화관에서 개최된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진행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Stem Cellsl지의 공동편집인인 Donald Phinney 교수(Tulane대학)를 비롯해 미국과 영국, 한국의 줄기세포 권위자들이 대거 참석하여 최신지견을 논할 예정이다.특히 지난 5월 동물과 사람을 교잡하여 만든 배아에 대한 연구와 맞춤형 아기를 합법화하는 법안이 영국의회에 통과되어 전세계적으로 윤리적 논란이 야기됐다. 이에 한국줄기세포학회에서는 국내외 학자들과 함께 심도 깊은 고민과 함께 문제제기를 하는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레지던트 1년차 전공의가 과학기술논문인용지수를 부여받는 국제학술지에 영어 논문을 게재해 눈길을 끌고 있다.전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최은정 전공의는 SCIE 학술지인 ‘Korean Journal of Radiology(KJR)’ 10월 호에 ‘다이나믹 CT에서 SPN(폐의 작은 결절):CAD(Computer aided diagnosis)를 이용한 조영증강패턴의 분석(Solitary pulmonary nodule on helical dynamic CT scans : Analysis of enhancement patterns using a computer-aided diagnosis(CAD) system)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이 논문은 다이나믹 CT를 이용해서 1cm 정도의 작은 폐종양의 악성과 양성 여부를 구분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규명해 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최 전공의는 과거에는 3cm 정도를 기준으로 종양의 악성과 양성을 구분했지만, 현재는 암 조기 검진이 늘어나면서 1cm 정도의 작은 종양도 악성/양성을 구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조영제를 투여했을 때 결절(nodule)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악성/양성 여부를 구분하는데, 기존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