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검색 결과

'6s개인사업자DB팝니다|%텔레darknessDB|-'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872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
  • 아시아인의 얼굴미용성형

    아시아인의 얼굴미용성형 - Cosmetic Surgery of the Asian Face : 2장의 시술DVD포함<

    • 메디포뉴스
    • 2006.03.20 04:00
  • 여드름 바이블 - 진단과 치료

    여드름 바이블 - 진단과 치료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

    • 메디포뉴스
    • 2006.03.10 04:00
  • 법과학 - 법독성학편(4th)

    법과학 - 법독성학편, (4th)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

    • 메디포뉴스
    • 2006.03.08 04:00
  • [4/8]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학술대회

    일시 : 2006년 4월8일 

    장소 : 대전 대덕컨벤션타운(구 롯데호텔) 

    • 대전 대덕컨벤션타운
    • 2006.03.04 01:00
  • [3/31,4/1]이비인후과 연수교육 - Vestibular Function Test Workshop

    날짜   2006/03/31 ~ 2006/04/01

    장소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대강당&

    • 단국대학교
    • 2006.03.04 00:00
  • [3/19]대구.경북지회 연수교육 - 개원의와 전공의를 위한 심장병의 진단과 치료의 실제

    날짜   2006/03/19

    장소  영남대학병원 1층 대강당

  • 영남대학병원1층
  • 2006.03.01 02:00
  • 제31대 간호협회장에 김조자 교수 선출

    제 31대 대한간호협회 회장에 김조자 교수가 선출됐다.   대한간호협회는 22일 서울 쉐라톤 그랜드워커힐호텔 비스타스홀에서 열린 제73회 정기 대의원 총회에서 제31대 회장으로 김조자 연세대 간호대학 교수를 선출하고, 제1부회장에 이애주 가천의대 길병원 간호부장, 제2부회장에 신경림 이대 간호과학대학장으로 확정했다.   이날 본회의 이후 진행된 선거에서 김조자 교수(연세대 간호대학)와 윤순녕 교수(서울대 간호대학)에 대한 투표를 실시한 결과 김조자 후보가 회장으로 당선됐으며, 러닝메이트로 나선 이애주 가천의과대학교길병원 간호부장이 제1부회장에, 신경림 이대 간호과학대학장이 제2부회장으로 확정됐다.   이와 함께 당연직 부회장은 대한간호협회 정관에 따라 병원간호사회 회장과 서울시간호사회 회장이 각각 제3부회장과 제4부회장에 선임됐다.   현재 한국간호평가원 원장, 연세대 간호대학 교수 등에 재임중인 김조자 신임 간협회장은 연세대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 간호대학 학장 및 간호대학원 원장, 대한간호협회 제2부회장, 대한간호협회 이사, 보건복지부 공공근로방문간호사업 사무국 국장,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 류장훈 기자
    • 2006.02.23 05:15
  • 광동 등 인태반제제 4개품목 판매정지

    광동제약 ‘뷰라센주’ 등 인태반 성분 함유 의약품 4개업소 4개 품목에 대해 3개월 판매정지 및 6개월 광고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인태반 유래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허위·과대광고 행위에 대한 일제 점검결과, 허위·과대광고 행위 및 표시기재사항을 위반한 제품에 대해 판매업무 정지 또는 고발 조치토록 해당 지방청에 지시했다고 8일 밝혔다.   식약청은 그 동안 일부 업소에서 인태반 유래의약품 등을 만병통치약으로 광고해 소비를 부추기고, 이에 따른 소비자의 피해 발생이 우려돼 시중에 유통 중인 의약품 등을 대상으로 제품 설명서와 인터넷을 통한 제품의 허위·과대광고 행위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했다.   점검 결과, 광동제약 '뷰라센주'와 일양약품 ‘프로엑스피주’ 등은 아토피질환, 통증개선 등의 효능 기재로 판매정지 3월 또는 광고업무정지 6월의 행정처분이 내려졌으며, 유영제약 ‘베라센주’, 롯데제약 ‘프라쎈액’은 창상치유 촉진, 항피로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고 과대광고한 데 대해 3개월 판매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또한 인태반을 함유 화장품의 경우 인터넷 쇼핑몰 등을 통해

    • 류장훈 기자
    • 2006.02.08 05:55
  • “NSAIDs 철퇴”…1900품목 부작용 경고

    [대상제제] 식약청이 심혈관계 이상반응과 위장관계 출혈 위험성이 제기된 소염진통제(NSAIDs) 76개 제제 1896품목에 대한 부작용을 경고하고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쎄레콕시브 제제’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의 사용으로 심혈관계 이상반응이 발생하고 위장관계 출혈 위험성이 증가했다는 외국의 정보사항에 따라 허가사항을 변경하고 의·약사에 안전성 속보를 배포했다고 2일 밝혔다.   식약청은 부작용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최단 기간동안 최소 유효용량을 사용하되 관상동맥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 치료에는 투여를 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약청은 지난 2004년에도 ’쎄레콕시브 제제‘ 및 ’나프록센 제제‘에 대한  안전성 서한을 배포해 심혈관계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알리고 사용시 주의토록 조치한 바 있으며, 모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안전하고 합리적인 사용을 위해 허가사항에 경고, 투여금기 등의 사용상의주의사항을 추가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로페콕시브 제제’, ‘발데콕시브 제제’ 및 ‘파레콕시브 제제’ 등 유사계열 의약품은 상대적으로 심혈관계 부작용

    • 류장훈 기자
    • 2006.02.02 11:45
  • 제약회사 효율 높은 세일즈맨의 조건 제시

    미국 Best Practices 회사는 제약회사의 판매사원의 유효성에 대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주요 판매 요령과 행동 몇 가지가 평균 판매원보다도 우수 판매원에게서 효율성을 보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Best 사의 CEO 보간(Chris Bogan)씨는 “이 연구에서 효율적인 판매원의 결정적인 요령과 행위 등 주요 가치창출 동력을 밝혀냈고 이로써 보통 판매원과 우수한 상위 1/4 판매원과의 차별이 가능했다”라고 주장했다.   조사 보고에 의하면 성공적인 판매 조직은 매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행위를 확인하고 표준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조사에서 실제 매출을 실천하는 단순한 조직적 경영 기법을 나타내고 있다. 우수 사원과 보통 사원의 효율적인 활동을 확인하고 분류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지역 관리 및 목표 전략 (Territory Management and Targeting Strategies) - 시간 관리 및 일정 작성 기술 (Time Management and Scheduling Techniques) - 방문 횟수 분석 및 관리 (Call F

    • 백승란 기자
    • 2006.01.27 04:45
  • 청구소프트웨어 검사기준 항목 추가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3건의 고시를 반영한 청구소프트웨어검사기준 항목이 확정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신언항)은 보건복지부 고시를 반영해 청구소프트웨어검사기준 항목을 추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추가된 기준 항목에는 제2005-95호의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개정’과 제2005-96호의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청구서․ 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 일부개정’, 제2005-101호와 제2006-3호(2006. 1. 13)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개정’이 반영됐다.     추가 및 변경된 항목의 수는 총 36개이며, 기존 검사항목을 포함한 분야별 총검사항목수는 <아래 표>와 같다.   추가된 항목의 주요내용은 *외래진료시 산정특례대상(요양급여비용총액의 100분의 20을 본인일부부담) 및 중증질환자 산정특례대상(외래 또는 입원진료 시 요양급여비용총액의 100분의 10을 본인일부부담) 확대에 따른 본인일부부담금 항목의 내용변경 *건강보험의 경우 만 6세미만 입원 시 특정기호(F004)기재 및 본인일부부담금 면제 여부(6세 미만의 자가 입원해

    • 장영식 기자
    • 2006.01.20 04:50
  • 한·일, ‘환경호르몬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정부는 오는 19일 부산에서 일본 환경성과 공동으로 ‘제5차 한·일 내분비계장애물질 정부간 회의’를 열고 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 문제에 대한 공동 협력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는 양국 환경부 관계자를 비롯해 국립환경과학원과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의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지난 2001년 4월에 체결된 ‘한·일 환경부간 내분비계장애물질의 공동 연구 및 협력에 관한 이행약정’에 따라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는 ‘2006년 한·일 공동 연구사업 계획’ 확정, 내분비계장애물질, 특히 POPs에 대한 양국간 정보교류와 협력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2006년 공동 연구 사업으로 양국간 POPs 분석법 표준화 연구, 육상 및 해양 생물에 대한 내분비계장애물질 영향 평가 등 총 6개 과제가 논의될 예정이며, 양국 합의를 거쳐 최종 과제를 확정하게 된다.     양국 환경부는 2003년부터 송사리를 이용한 내분비계장애물질 검색기법 개발, 생태영향 조사 기법 개발 등 총 7개 과제를 선정하여 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 장영식 기자
    • 2006.01.16 20:30
  • ‘세포치료와 의료윤리’ 워크숍 개최

    최근 줄기세포 연구와 관련 윤리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세브란스병원은 지난 14일 치과병원 7층 강당에서 ‘의료윤리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 주제발표에서는 *IRB 간사인 라선영 교수의 ‘세포치료 임상연구에 있어서의 연구윤리’ *손명세 의료윤리심의위원장의 ‘세포치료 임상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생명윤리’가 진행되고, 이어진 특별 강연에서는 *보건복지부 김헌주 팀장이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임상연구에 관한 윤리지침’ *서활 교수가 세포치료와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국제적인 흐름에 대한 ‘Global Regulatory Track for the Cell - based Implants’을 각각 발표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최근 줄기세포 연구 및 치료와 관련, “과장되거나 비도덕적인 연구활동에 대해 엄중히 경계하되, 무엇보다 임상시험자의 생명과 존엄성 보호를 위해 제도적 안전장치를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박창일 병원장은 총평을 통해 “한때 다른 기관들이 언론 등을 통한 줄기세포에 대한 선도적인 홍보를 부러워한 적도 있었다”며 “하지만 이번 워크숍은 세포치료센터의 개소와 관련 연구소 및 임상시

    • 류장훈 기자
    • 2006.01.16 05:44
  • 음주 후 숙취주범…“혈액 내 메탄올 증가”

    혈액 내 메탄올 수치가 숙취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가톨릭의대 신경정신과 김대진 교수(성가병원)는 지난해 12월 애딕션바이올로지 10, 351 - 355호에 음주 후 메탄올의 혈액 내 증가와 숙취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실험적 숙취 후 혈중 메탄올의 농도변화’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김대진 교수팀은 정상 성인 18명에게 체중에 따라 각각 소주 1병~1병 반 정도를 마시게 한 뒤 숙취가 유도된 13시간 후에 혈액 내 메탄올 체내 농도를 비교했다.   비교 결과 술을 마시기 전 평균적인 혈액 내 메탄올 수치는 2.62mg/ℓ, 술을 마신 후에는 3.88mg/ℓ로 평균 1.26mg/ℓ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확인했다.   김 교수팀은 일반적으로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메탄올은 알코올탈수소효소에 의해 대사되지만 과도한 음주 후에는 이 효소가 술(에탄올)을 분해하는 작용에 모두 소모돼 메탄올을 적절히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액 내 메탄올 수치가 증가돼 숙취를 유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존의 숙취발생 원인인 알코올과 반응해 발생된 체내의 아세트알

    • 장영식 기자
    • 2006.01.15 05:20
  • 식약청 식품직·연구직공무원 특별채용

    식약청은 2006년도 식품직·연구직공무원 제한경쟁특별채용시험 시행계획을 11일 공고 ◇채용인원 *식품위생주사보 : 64명(장애인3명) *보건연구사 : 미생물분야 : 15명(장애인1명), *화학분야 : 75명 (장애인 4명) ◇원서접수기간 : 2006. 1. 23 ~ 2006. 1. 25 (3일간) ◇선발방법 : 서류전형 - 필기시험 - 면접시험 ◇문의 : 식품의약품안전청 혁신기획관실(02-380-1391∼3)

    • 관리자
    • 2006.01.11 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