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52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우리나라 갑상선암 증가의 대부분이 2cm 미만의 갑상선암의 발견에 의한 것이고, 주로 검진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연구팀은 관련 논문을 세계적 학술지인 영국의학저널(BMJ, British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 이진수 박사, 오창모 박사 및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소희 교수 연구팀은 2010년에 시행한 ‘갑상선암의 역학적 특성조사’에 근거해 1999년 대비 2008년 갑상선암 발견경로에 따른 증가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갑상선암 발생률 증가의 94.4%는 2cm 미만의 갑상선암 발견에 의한 것이며, 주로 검진에 의한 것임을 확인했다. 임상적으로 발견된 갑상선암의 증가의 99.9%도 2cm 미만의 갑상선암 발견에 의한 것이었다. 류준선 국립암센터 갑상선암센터장은 “크기가 작고 당장 생명에 지장이 없더라도 갑상선암이 발견될 경우, 대부분의 환자들이 관찰보다는 수술을 선택하고, 수술 후 갑상선호르몬제를 평생 복용하는 등의 부담을 떠안게 된다”라며 따라서 “목의 혹, 목소리 변화 등의 갑상선암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갑상선암의 가족력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상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는 11월 30일 국정조사에서 제기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의 보건복지부의 한의사혈액검사 사용 가능 유권해석에 최순실이 작용했다는 의혹제기에 근거없는 소문이라고 일축했다. 1일 한의협은 “해당 내용은 이미 한 달 전 일부 양의사들이 시국을 틈타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문제를 방해할 목적으로 비방하고자 퍼트린 근거 없는 루머에 불과하다”며 “해당 유권해석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검토됐다”고 밝혔다. 한의협에 따르면 루머는 최순실의 국정 농단이 알려지면서 약 한달 전 대한의사협회 이용민 의료정책연구소장이 2014년 3월 보건복지부가 ‘한의사가 혈액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고 내린 유권해석에 최순실이 개입돼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을 언론사에 배포하며 시작됐다. 하지만 이는 최순실의 국정농단 시국을 틈타 국민, 국회, 사법부, 공정위 등이 모두 한의계의 손을 들며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고 있는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을 막아보려는 양방의료계의 근거없는 의혹 제기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한의사의 혈액검사 사용 가능 유권해석은 2013년 12월 23일 헌법재판소에서 안압측정기 등 의료기기 5종에 대해 한의사도 사용가능하다고 만장일치로 결정하며 ‘한
유앤아이(대표 구자교)의 척추치료용 의료기 수입품목 허가 취득 국가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 유앤아이는 척추치료용 미세침습 의료기인 L’disQ가 최근 일본 보건당국(PMDA)으로부터 수입품목 허가를 취득했다고 1일 밝혔다. 2009년 유럽을 시작으로 미국(2014년), 브라질(2015년), 멕시코(2016년)에 이어 5번째다. 일본 정형외과용 의료기 시장은 올해 기준 약 52억 달러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2008년 국내 판매허가를 취득해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인 L’disQ는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해 디스크 탈출로 발생하는 하지방사통, 만성요통 등을 치료하는 1회용 의료기다. 세계 최초로 미세전극을 통한 방향제어가 가능해 통증의 원인이 되는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어 척추치료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입허가 취득으로 일본 시장 진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내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보유한 L’disQ의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CJ 헬스케어 (대표 강석희)는 1일 음주가 많아지는 연말연시를 맞이해 고객의 안전한 귀가를 지원하는 '컨디션 챙기고 안전귀가 챙기라웃!' 이벤트를 2월 28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벤트는 카카오의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인 ‘카카오드라이버’와 연계하여 진행된다. 헛개컨디션 또는 컨디션레이디 제품 뚜껑 부분에 부착된 넥 택(Neck Tag)을 긁어서 나오는 5자리 제품번호를 이벤트 페이지(https://www.cjp.co.kr/event/condition/)에 입력하면 즉시 카카오드라이버 이용권 당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당첨된 카카오드라이버 이용권은 카카오드라이버 앱을 다운로드 받는 즉시 사용 가능하다. 컨디션 안전귀가 이벤트는 2월 28일까지 진행되며 총 31만2000명에게 카카오드라이버 이용권 3만원, 1만원, 5000원권을 증정하는 한편, 이벤트 참여자 중 추첨하여 매월 1명씩 300만원 상당의 해외여행권까지 추가 지급한다. CJ헬스케어의 숙취해소음료 컨디션은 건강하고 안전한 음주문화 정착을 위해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안전귀가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보다 쉽고 편한 안전귀가 혜택을 제공하고자 100만 여명이
2년 넘게 이어져 온 대한산부인과의사회 내분이 외부의 힘, 즉법원에 의해 어떻게 든 봉합될 전망이다. 지난 2014년 10월19일 예정됐던 산부인과의사회 회장 선거를 위한 임시총회가 무산된 이후 내분이 봉합되지 않았고, 결국 법원은 지난 2016년 10월27일 관선 임시회장으로 이균부 변호사를 선임했다. 의료계 각계 원로나 직역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내분 봉합의 기미가 보이지 않았는데 법원에서 관선이사가 임시회장으로 파견됨으로써 실마리를 찾아 가고 있다. 수년전부터 산의회 내부에는 기득권과 신진세력 간에 회비 사용 문제로 다툼이 있었고, 새 회장을 뽑기 위한 대의원 확정 문제로 내분이 불거졌다. 회장 선출을 위한 임시대의원총회에 파견하는 대의원 문제로 중앙회와 다툼을 벌이던 서울지회가 중앙회를 상대로 새 회장을 뽑기 위한 임시대의원총회 개최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고, 법원이 받아들이면서 내분은 본격화됐다. 지난 2014년 10월13일 서울지회는 서울지방법원에 산의회 임시대의원총회 개최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고, 17일 법원은 대의원 구성에 문제가 있다는 요지로 19일 예정된 임총의 개최 금지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 산의회 각 지회의 대의원 선출이 각 지회
한미약품, 녹십자, 대웅제약, 종근당 등 주요 상위 제약사들이 RD 투자를 매출액의 10% 이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K증권 노경철 연구원은 '낭중지추, 주머니 속의 송곳은 숨길수가 없다' 보고서를 통해 주요 제약사의 RD 투자 현황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사 84개 기업의 연구개발비(RD) 금액과 매출액 대비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년전부터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기업의 연구개발비 역시 더욱 증가했다. 지난해 상장 제약사 84개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9.1%였다. RD 투자금액이 가장 많은 곳은 한미약품이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1872억원을 투자한데 이어 올해도 3분기 누적 1251억원을 RD에 투자했다. 매출액 대비 17.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어 녹십자(806억원), 대웅제약(793억원), 종근당(770억원), LG생명과학(667억원), 유한양행(627억원), 동아ST(520억원) 등이다. 유한양행을 제외하고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이 10%를 상회하는 수치다. 유한양행은 금액은 많으나 매출액도 높아 투자비율은 6.5%다. 셀트리온제약은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 대비 RD
“설명의무 등 의료법 개정안의 29일 국회 법사위 소위 통과는 안타깝다. 회원들께 사과드린다.” 30일 대한의사협회 기자실에 들른 추무진 회장이 의료법 개정 사안과 관련, 다시 한번 회원들에게 사과했다. 앞서 지난 7일 추무진 회장은 대회원 서신문을 통해 의료법 개정안과 관련 사과한 바 있다. 당시에는 리베이트 처벌을 강화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했을 때다. 추 회장은 “리베이트 수수 의료인에 대한 처벌 수위를 3년 이하 징역으로 강화한 의료법 개정안의 국회 복지위원회 통과를 막지 못한 것에 대해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었다. 그러면서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대국회 업무 담당 인력을 보강하여 의료계를 옥죄는 불합리한 법령들을 저지함으로써 회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만전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복지위에서 법사위로 넘어간 법안이 소위에서 통과돼 전체회의로 재상정 된 것과 관련 다시 한번 사과했다.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소위원회로 회부된 후 전체회의로 재상정 된 법안이 법사위를 또 다시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는 드문 경우를 감안할 때 의료법 개정안은 이르면 내달 2일, 늦어도 내달 9일 예정된 본회의에서
동아쏘시오그룹은 오는 12월 1일 창립 84주년을 맞이해 30일 오전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 7층 대강당에서 강신호 회장을 비롯한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동아제약 각 사 대표 및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8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창립기념식은 창업주 고(故) 강중희 회장과 선배들에 대한 묵념을 시작으로 장기근속 및 회사의 발전에 공을 세운 임직원에 대한 포상, 그리고 강신호 회장의 기념사로 진행됐다. 장기근속 및 포상에는 △30년 근속상=동아제약 약국4지점 박카스 1팀 정춘수 차장 외 8명 △20년 근속상=동아 ST Global개발실 해외개발팀 장은주 부장 외 50명 △10년 근속상=동아쏘시오홀딩스 ERP추진단 김현석 과장 외 101명 △개인공로상=동아쏘시오홀딩스 인력개발실 인사노무팀 윤여준 과장 외 15명 △단체공로상=동아쏘시오홀딩스 법무실 해외법무팀 외 2개 팀 △최우수제안상=동아 ST 달성공장 품질보증팀 송필교 대리 외 1명 △도전 및 성공사례 우수상=동아제약 OTC사업부 신유통팀 이정희 차장 외 5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창립 84주년을 맞이해 강신호 회장은 “기업의 평균 수명이 30년이 채 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우리는 벌써 80년
한국콜마가 미국에 이어 캐나다 화장품 시장까지 진출,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북미시장 공략을 본격화 한다. 한국콜마는 11월 30일 캐나다 소재 화장품 OEM·ODM 회사인 CSR Cosmetic Solutions Inc(구 캐나다콜마, 이하 CSR)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인수조건은 지분 85% 및 생산공장 건물과 부지까지 인수하는 것으로 인수금액은 약 250억원이다. CSR의 전신은 글로벌 콜마의 모체인 미국콜마가 1953년 100% 지분 투자해 설립한 캐나다콜마로 2008년 CSR로 사명을 변경했다. 인수와 관련해 한국콜마 관계자는 “글로벌 콜마 네트워크의 중심이었던 미국콜마의 자회사를 인수한 것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며 “27년 동안 쌓아온 한국콜마의 품질과 기술력이 바탕이 되어 캐나다콜마를 인수한 만큼 한국콜마가 중심이 되어 100년 콜마의 새로운 역사를 쓰겠다”고 밝혔다. 작년 CSR의 매출은 약 300억원으로 기초화장품이 66%, 색조화장품을 포함한 기타 매출 비중이 34%를 차지하고 있다. CSR은 유명 글로벌 브랜드 및 북미 유수의 로컬 브랜드를 주요 거래처로 두고 있다. 향후 계획과 관련해 한국콜마 관계자는 "지난 9월 미국의
‘17년도 노인요양시설과 주야간보호센터 등에서 받는 장기요양 서비스 가격(수가)이 평균 4.08% 오른다. 이는 지난 7월에 결정한 ‘17년 수가 인상률(3.86%)에 촉탁의 제도개선, 장기요양기관 필수 인력배치 기준 개선(’17. 1월 시행)에 필요한 수가 0.22%를 추가로 반영한 결과이다. 또한, 시설 입소자의 안전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 야간에 반드시 1명 이상이 근무하도록 의무화됨에 따라 야간 근무인력에 대한 비용(1인당 약 50만원)을 추가로 지급하기로 하였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7년 장기요양 급여비용 추가 인상안을 11월 29일 제7차 장기요양위원회(위원장 : 방문규 보건복지부차관)에서 결정하였다. (아래 별첨17년 급여유형별 장기요양수가 등) 이번 장기요양보험 수가 추가 조정은 촉탁의사 활동비 지급방식이 지난 9월에 개선됨에 따라, 시설의 기존 수가에 포함된 촉탁의 인건비에 해당하는 비용(약 196만원)을 수가에서 제외(-1.79%)하고, 그 동안 장기요양기관이 자율적으로 채용해 왔던 조리원 등 인력이 필수 배치하는 인력으로 개선됨에 따라, 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기 채용된 종사자의 고용유지 및 신규 인력채용에 따른 기관의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이사 박기환)과 사단법인 아쇼카 한국(대표 이혜영)은 국내 헬스케어 분야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헬스케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혁신적인 변화에 노력하는 사회혁신기업가를 지원하기 위해 제약업계 최초로 진행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인 ‘메이킹 모어 헬스(Making More Health) 동문 네트워킹 나잇(Alumni Networking Night)’을 50여 명의 헬스케어 분야 사회혁신기업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메이킹 모어 헬스(Making More Health) 동문 네트워킹 나잇’은 지난 3년간 발굴된 총 11팀의 체인지메이커, 헬스케어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 및 심사위원단, 주요 헬스케어 분야의 관계자 들이 모여, 국내 헬스케어 분야에서 체인지메이커들의 역할에 대해 점검하고 의료보건 혁신이 가속화시킬 수 있는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서로의 노하우와 인적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토론과 공감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제2회 메이킹 모어 헬스(Making More Health) 체인지메이커 우승자로 절단장애인들을 위한 전자 의수 제작 및 교육 프로젝트를 주도하면서 국내외로 그 영향
인하대병원 공공의료사업지원단(단장 송준호 교수 / 신장내과)은 지난 11월 21일(월)부터 26일(토)까지, 5박 6일간의 일정으로 베트남에 2016년도 제 3차 국제의료봉사단을 파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의료봉사는 포스코건설, 구세군 자선냄비와 함께 진행했다. 인하대병원 가정의학과 최지호 교수가 단장으로, 재활의학과 김창환 교수를 비롯, 외과, 치과 전문의와 간호사, 약사 등 10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베트남 꽝응아이 지역을 방문하여 보건환경이 열악한 현지인들 약 1,500명을 대상으로 의료지원활동을 진행했다. 송준호 단장은 “인하대병원만의 ‘나눔 문화 실천’ 경영철학을 전 세계로 펼쳐 나아가려는 의지의 실천이다.” 며 “기업 사회공헌부서, 전문사회사업기관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바탕으로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지구촌 곳곳을 찾아가는 ‘협력형 공적 해외 의료봉사사업’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구촌에 나눔의 가치를 전파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하대병원은 지난 2014년 3월, 공공의료사업지원단을 발족해 공공교육, 의료지원, 사회봉사, 해외 지원, 민관협력 5개 분야에서 지속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몽골,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에 국
오는 2021년까지 의료기관 해외진출 211개, 외국인환자 유치 89만명 달성을 목표로 하는 5개년 계획이 제시됐다. 29일 보건복지부는 향후 5년간(2017-2021) 의료한류의 세계적 확산과 국제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 글로벌 헬스케어 인력 등 기반 인프라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이 추진된다고 밝혔다. (아래 별첨종합계획 목표 및 추진방향)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 종합계획’은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의 금년 6월 시행 이후 수립된 첫 번째 중장기 계획으로 11.25(금) 동 법에 따른 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다. 금년 7월5일 발표된 ‘서비스경제 발전전략’과도 연계된다. 세계 보건의료시장의 성장세속에 선진국은 물론 아시아, 신훙개발도상국도 의료서비스 글로벌 진출 확대와 외국인환자 유치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우수한 의료서비스와 기술을 활용,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종합적인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특히, 아시아지역은 저렴한 진료비와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 등으로 의료관광 산업의 새로운 허브로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
그동안 의료사고 분쟁의 해결을 위해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 조정을 신청하더라도 상대방이 동의하지 않는 경우 조정절차가 개시되지 못하고 각하되었으나, 앞으로는 사망과 중상해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조정절차를 개시하도록 하여 의료사고가 의료분쟁조정을 통해 보다 폭넓게 해결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지난 5월 개정․공포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 11월 30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아래 별첨 의료분쟁조정법 개정 주요내용 등) 앞서 지난 5월29일 사망 등 중대한 의료사고의 경우 피신청인의 동의 절차 없이 조정절차가 자동으로 개시되고, 이의신청도 가능하며, 벌칙 및 과태료 부과 기준을 대폭 완화하는 등의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됐다. 이에 복지부는 시행을 위한 후속조치로써 법률에서 위임한 내용을 시행령, 시행규칙에 반영, 개정을 완료하였다. 변경 전 변경 후 ▪ 신청인의 조정 신청시 피신청인이 동의해야 조정절차 개시 ▪ 신청인의 조정 신청시 피신청인이 동의해야 조정절차 개시 (기본절차는 변동없음) ▪ 단, “사망, 1개월이상 의식불명, 장애등급 1급 중 일부”인 경우 ⇒ 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이홍식)에 지난 16일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과대학(Karolinska Institutet) 관계자가 방문해 교류간담회를 성공리에 마쳤다. 지난해 고대의대는 상호 공동연구 및 학술교류 활성화, 임상실습 학생 교류 추진을 위해 카롤린스카의대에 유수 연구진을 파견했다. 이로 인해 지난 2월 스웨덴에서 열린 제1차 워크숍에 송진원 교수, 김우주 교수 류임주 교수와 약학대학 김정기 교수가 참석해 바이러스 및 감염병 연구 정례 워크숍 개최와 상호 업무협약 체결에 합의한 바 있다. 이러한 견고한 양교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고대의대는 지난 15일 열린 ‘2016 KU HT·BT Research Festival’에 ‘KU-KI Joint Seminar in Virology and Infectious Disease’세션을 마련하고 카롤린스카의대 베네딕트 챔버스(Benedict Chambers) 전염병 의학센터 교수를 연자로 초청했다. 챔버스 교수는 ‘The Role of Inhibitory Molecules on Dendritic Cells’를 주제로 성공리에 강연을 마쳤으며, 이후 의과대학을 찾아 이홍식 학장과 미생물학교실 송진원 교수, 내과학교실 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우리나라 의약품의 콜롬비아 시장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수출가능성이 높은 품목에 대한 ‘콜롬비아 의약품 특허상세정보’를 29일부터 식약처 홈페이지 또는 의약품 특허인포매틱스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밝혔다. 중남미 정보 제공은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에 이어 4번째로서, 콜롬비아로 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제약사가 특허정보를 파악해 수출 품목과 시점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콜롬비아는 우리나라가 중남미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수출액 중 12%로 브라질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7월 한·콜롬비아 FTA가 발효됨에 따라 국내 제약사의 수출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특허정보는 당뇨병치료제 등 93개 의약품(46개 성분)에 대해 ▲특허 만료 예정일 ▲특허 등록일 ▲특허권자 ▲특허기술내용 요약 및 상세 설명 등이다. 특허정보 제공 의약품은 매출액, 현지 시장 동향, 특허 현황, 국내 제약사의 수요 등을 고려해 선정되었다. 식약처는 올해 4월부터 의약품 수출 성장 잠재력은 높으나 미국, 유럽 등에 비해 정보 접근성, 언어 문제 등으로 특허정보 파악에 어려움이 있는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의약품 특허 관련 정보를 식약
한국엘러간(대표이사: 김은영)은 11월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한국 의료진 150여 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심포지엄 '엘러간 메디컬 인스티튜트(Allergan Medical Institute)'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엘러간 메디컬 인스티튜트'는 세계적인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인 엘러간이 보다 향상된 의료진 교육과 환자의 시술 만족도를 위해 개발한 차별화된 교육 플랫폼으로, 의료진의 술기에 도움을 주어 환자의 최적화된 임상결과를 구현하기 위해 매년 수차례 진행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5개 국 의료진 150여 명이 참석한 이번 글로벌 심포지엄에서는 아시아인에 대한 최신 시술 동향 및 보건전문의료인을 위한 표준화된 필러 시술 가이드라인인 ‘MD 코드(MeDical Codes)’ 소개를 통한 각국의 다양한 시술 케이스가 발표되었다. 특히, 세계적으로 저명한 피부과 전문의 패트리샤 오길비 박사가 대표 연자로 초청되어 8 points lift(8부위 인젝션을 통한 시술 방법)를 중심으로 엘러간의 필러 쥬비덤(Juvederm)과 보툴리눔 톡신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사례를 공유했다. 오후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농약중독연구소(소장 홍세용)가 세계 최초로 음독 농약을 체외 배출시키는 최적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까지 입증한 논문을 발표해 학계의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다.연구소의 홍세용, 길효욱, 박삼엘 교수팀은 최근 논문 ‘혈액투석과 혈액관류 동시 실시가 급성 농약중독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Concurrent Hemoperfusion and Homodialysis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Intoxication)을 국제학술지 Blood Purification 2016년 11월호에 발표했다. 논문은 그동안 미진했던 농약 체외 배출법에 대한 학술적 정립을 완성하고, 농약음독환자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학계의 평가를 받았다.논문에서 연구진은 ‘혈액투석(hemodialysis)과 혈액관류(hemoperfusion) 동시 실시’가 음독 농약을 체외로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음독환자의 생존율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밝혔다.연구진에 따르면 농약음독환자 치료의 기본은 조기에 체외 배출을 촉진하는 것으로, 농약 음독 후 초기 8시간은 배출을 통해 치료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병원장 이학노 몬시뇰)이 응급환자에게 보다 안정된 환경에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관 5층에 응급전용병동(5EW(5Emergency Ward))을 신설했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총 24병상의 응급전용병동을 통해 입원이 필요한 응급실 내원 환자를 신속하게 병동으로 이전해 환자의 응급실 재원시간을 단축시키고,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해 더 많은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인천광역시 인구는 지난 10월 300만 명을 돌파했다. 특히 부평구 인구는 56만 여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하고 있어 응급환자 발생 시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전용시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이번 응급전용병동 개설로 인천지역은 물론 부천 등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에 대해서도 신속한 처치 및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기존 일반 엘리베이터 1기를 응급의료센터 전용 엘리베이터로 운영해 응급실에서 수술실 및 중환자실, 병실 등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과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도모했다. 또 혈관조영실, CT실 및 MRI실 등의 검사실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
충남대학병원 제22대 송민호 병원장이 11월 28일(화) 16시 30분 노인보건의료센터 5층 강당에서 충남대학교 총장을 비롯한 기관단체장과 교직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취임식을 가졌다. 신임 송민호 충남대학교병원장은 11월 10일(목) 교육부 장관으로부터 임명을 받고, 3년간의 임기를 시작 했다. 이날 행사는 환자와 직원이 바라는 ‘이런 병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라는 식전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례, 손민균 진료처장의 신임 병원장 약력소개, 송민호 원장 취임사, 오덕성 충남대학교 총장, 설동호 대전광역시교육청 교육감, 강도묵 충남대학교 총동창회장, 오명주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총동창회장, 송병두 대전광역시의사회장, 이철호 충남대학교병원 발전후원회장, 정종경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의 축사가 이어졌다. 제22대 충남대학교병원장에 취임한 송민호 교수는 1986년 충남대학교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내분비대사내과 전문의로,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 임상강사, 미국 국립보건원 연구원, 충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무부원장,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원장,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