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5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독(회장 김영진)은 3월 21일부로 2018년 고급관리자 인사를 아래와 같이 발표했다.▲ ‘상무보’에서 ‘상무’로 (1명) ETC 사업본부 General Medicine Marketing 안지영▲ ‘이사’에서 ‘상무보’로 (3명) 생산본부 생산실 이종표, 의학부 PV/CQ실 이효정, 홍보실 허은희▲ ‘실장’에서 ‘이사’로 (2명) OCM (OTC/Consumer Healthcare/Medical Nutrition) 영업실 김현민, 정보전략지원실 이규범▲ ‘Senior Product Manager’에서 ‘실장’으로 (1명) ETC 사업본부 General Medicine Marketing 황주희▲ ‘팀장’에서 ‘실장’으로 (3명) 의학부 의학실 김경민, 경영조정실 김동한, 메디컬사업본부 Medical Device실 민승기
대림성모병원(병원장 김성원)은 오는 29일 오후 3시부터 본관 12층 회의실에서 ‘유방암 건강강좌’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좌는 유방암 치료 및 유방재건술을 주제로 진행되며 대림성모병원 외과 김동원 진료과장, 성형외과 강보영 진료과장이 강연자로 나설 예정이다. 서구화된 식습관, 늦어진 출산 등 여러 가지 환경적인 이유로 국내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 향상으로 정기 검진율과 자가 검진법은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유방암 치료는 초기에 발견해 병변이 비교적 작은 경우라면 부분절제술을 통해 유방 보존이 가능하고, 치료의 예후 또한 긍정적이기 때문에 빠른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방암 특화병원인 대림성모병원은 이번 건강강좌를 통해 유방암의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 유방재건술의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릴 예정이다. 전문의의 강의가 진행된 후 참석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대림성모병원에서 진행하는 이번 강좌는 별도의 사전 접수 없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강좌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대림성모병원 콜센터(02-829-9000)에서 확인이 가능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가 오는 4월7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40분까지 원내 지하 3층 대강당에서 제4회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 심포지엄 'Exercise Is Medicine(EIM)'을 개최한다. 강사는 각 질환 분야의 국내 저명한 의료진들로, 치료 지침과 운동 지침, 실제 적용 사례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강연은 ▲강철 심장과 운동, ▲알아야 이긴다! 암과 운동, ▲튼튼 무릎 관절과 운동, ▲대사 증후군과 운동, ▲백 세까지 총명하게-치매와 운동 등으로 이뤄졌다. 또한, 2007년 미국에서 시작해 전 세계 47개국으로 확대된 EIM을 소개하는 세션도 준비돼 있다. 세부 내용은 EIM의 실천 전략과 각 국가의 전개과정, EIM Korea의 정착 및 활동 전략 등이다. 이번 심포지엄을 주관한 김진구 스포츠의학센터장은 "스포츠의학센터는 정형외과 분야의 각종 관절 질환의 부상 후 또는 수술 후 일상생활로 복귀까지의 재활 치료를 맡아오면서 과학적으로 연구된 운동 재활을 환자들에게 적용하려고 노력해 왔다."며, "그 결과 우수한 학술적 성과들을 이뤘으며 많은 환자가 성공적으로 일상생활 및 운동에 복귀할 수 있게 됐다."라고 전했다. 이어서 "오랜 기간의 경험이
정신보건의료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금년부터 지역사회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시스템 및 절차 보조인 제도 등이 도입되며, 하프웨이 하우스 도입 및 미디어 가이드라인 배포가 이뤄질 예정이다. 지난 22일 오전 9시 40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된 환자 중심의 정신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前 대만 보건복지부 Happy Tan 정신건강국장(이하 해피 탄)이 '대만 정신의료기관 서비스 현황 및 시사점'을 주제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소윤 의료법윤리학과장(이하 김 과장)이 '정신의료기관의 정신보건의료서비스 강화방안 연구'를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 ◆ "급성 · 만성 구분 후 급성에 좀 더 많은 인력 · 비용 부담해야" 해피 탄은 "대만의 국민 건강보험 도입 이전 상황은 자가부담 형태로 고용보험, 공무원 보험,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복지 등으로 이뤄져 있었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 굉장히 힘든 상황에 처할 수 있었다."라면서, "급성환자는 만성환자보다 비용이 4배나 더 들었기 때문에 위생국에서 1986년부터 1994년 사이에 급성환자만을 위한 비용 보조를 시행했다. 입원일 수는 보통 30일 정도였다."라고 설명했다. 대만의 전 국민 건강보험 시스템
“글로벌 CAR-T Cell 치료제 시장은 2017년 7,200만달러 규모를 형성하면서, 향후 11년간(2017년 ~2028년) 연평균 성장률 53.9%로 2028년에는 83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백혈병 환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CAR-T Cell 시장 점유율의 약 50%를 차지하는 주요 3개 업체와 함께 더욱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명공학정책센터 홍유장 연구원은 3월에 발간된 'Bio Industry –글로벌 CAR-T Cell 치료제 시장현황 및 전망'에서 이 같이 예측했다. CAR-T Cell 치료제는 인체 내 면역세포 중 하나인 T 세포(T cell)에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수용체 유전자를 도입해 암세포를 파괴할 수 있도록 유전자가 재조합 된 T cell 치료제다. 현재 Novatis International AG, Juno Therapeutics, Kite Pharma Inc 등 글로벌 기업 등이 CAR-T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이다. ◆다국적 제약사 주도 NOVARTIS INTERNATIONAL AG부터 다수의 바이오 벤처들 포진CAR-T 치료제 개발에 가장 먼저 뛰어든 곳은 NOVARTIS INT
“투쟁의 궁극적인 목표는 결과물이다. 투쟁만을 위해 투쟁은 회원을 위한다기보다는 괴롭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협상테이블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투쟁이 가장 회원을 위한 투쟁이 아닌가 생각한다.” 22일 인천광역시의사회 정기대의원총회가 그랜드오스티엄에서 열린 가운데 인사말을 한 이광래 제13대 회장이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12대에 이어 이번에 13대 회장 선거에 단독으로 등록, 당선됐다. 이날 총회는 ▲1부 개회식에서 △내외빈 축사 △불우이웃돕기성금 전달 △제13대 회장 취임식에 이어 ▲2부 본회의에서 △대의원 118명 중 96명 참석 성원보고 △17년도 회무감사와 결산 심의 △의장선거와 취임식 △부의장, 중앙파견이사, 감사 및 선거관리위원장, 윤리위원장, 윤리위원 선거 △2018년도 사업계획 예산 심의 의결 △대한의사협회 건의사항 심의 의결 순으로 진행됐다. 이 회장은 “투쟁자체에 희열을 느끼고 성과가 없는 투쟁은 진정한 투쟁일 수 없다. 최고의 전문가 집단으로서 정부에 끌려 다니지 않고 스스로 정책을 개발하고 국민의 건강을 위해 선두에 서서 모든 의료정책을 관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최선의 방어가 최선의 공격이라는 말도 있듯이 정부의 정책
NOAC 신예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가 지난 1년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처방을 확대한 결과, 화이자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를 따라잡는 이변을 일으켰다. 22일 메디포뉴스가 유비스트 집계를 살펴본 결과, 지난 2월 '릭시아나'가 약 21억 7,700만 원의 월 원외처방액을 기록하며 '엘리퀴스'의 월처방액을 앞질렀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엘리퀴스'의 절반 정도의 월처방액을 나타내던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장률이다. '릭시아나'는 2월 기준 전년대비 약 116% 성장률을 나타냈다. 2월을 기준으로 NOAC 전체 원외처방액이 전년 대비 21% 성장하며 약 15억 정도 증가했는데, 그중 약 11억 원의 증가에 '릭시아나'가 기여한 것이다. 다이이찌산쿄는 국내에서 탄탄한 영업력을 보유하고 있는 대웅제약과 손을 잡고 '릭시아나'의 판매하고 있다. '릭시아나'의 괄목할 만한 성장의 이면에는 대웅의 영업력이 한몫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한편, '릭시아나'의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엘리퀴스'는 사실상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를 따라잡기는 커녕 2위 자리를 지키기도 힘들게 됐다. '엘리퀴스'는 지난 2
유승모 전 대한의사협회 보험이사(예산명지병원)의 모친이 3월 22일 새벽 5시 별세했다. *빈소 오산장례문화원 202호(경기도 오산시 경기동로 125) *발인 24일 *연락처 031-375-1100
질병관리본부 결핵․에이즈관리과장 기술서기관 조경숙. 사회복지정책실 사회서비스사업과장에 보함.
내시경을 이용한 조기위암 절제 후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위암 재발률이 훨씬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암센터가 본원 위암센터 최일주 박사(소화기내과 전문의) 연구팀이 조기위암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는 경우 위암의 재발 위험이 50%로 감소하고, 48%의 환자에서 위암의 위험인자인 위축성 위염도 호전된다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22일 전했다. 위암은 우리나라 암 발생 1위다.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위암은 전체 암 발생의 13.6%를 차지했다. 다행히 위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높은 대표적인 암이다. 특히, 국가암검진에 위암검진이 포함되어 있어 조기에 암을 발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시경 절제술로 위암을 치료하는 환자의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립암센터의 위암 환자 중 약 30%는 내시경 절제술로 치료받는다. 내시경 절제술은 위내시경을 통해 암과 주위의 정상 부위의 점막하층까지만 살짝 도려내는 치료 방법이다. 위 전체를 보존해 치료 후 삶의 질을 유지하고, 수술보다 합병증도 낮다. 문제는 내시경 절제술을 받아도 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질병관리본부 · 대한적십자사 등과 함께 DUR 시스템(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안전 사용 서비스)을 활용한 감염병 발생국 방문자 정보 및 헌혈금지약물 복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22일 전했다. 심평원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기점으로 DUR 시스템을 활용한 해외유입 감염병의 예방 · 관리 체계를 마련해 감염병 발생국 방문자가 입국 후 메르스 14일, 라싸열 21일, 페스트 7일 등 일정 기간 이내에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우 발열 여부 등의 감염병 의심 증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아래 별첨 'DUR 시스템 활용 정보제공 현황'). 2015년 격리대상자, 일상접촉자 등 메르스 대상자 15만여 명, 중동지역 입국자 16만여 명의 정보를 제공해 메르스 사태 종식에 기여한 것을 시작으로, 2016년에는 지카 바이러스, 2017년에 에볼라, 라싸열, 페스트 등 감염병 항목을 추가해 최근 3개년 간 총 1,217만 명의 정보를 제공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평시 감염병 대응체계로 운영됨에 따라 지난해 12월 31일부로 정보제공을 중단했다. 최근에는 감염병 의심
장기적으로 천천히 진행돼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호흡기결핵 질환과 관련하여, 70대 이상의 남성 환자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1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호흡기결핵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1년 85,260명에서 2016년 67,784명으로 연평균 4.5%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 기준, 총진료 인원은 남성 40,248명, 여성 27,536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 158명, 여성은 인구 10만 명당 109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해도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한편, 호흡기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다른 감염성 질환보다 장기적으로 천천히 진행되거나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주로 공기로 퍼져 나가며, 폐를 통해 감염이 시작되고 폐를 제외한 림프절, 흉막, 뇌, 후두, 뼈, 위장관, 복막, 공팥 등 우리 몸의 여러 장기를 침범해 각 기관의 결핵을 유발할 수 있다. ◆ 호흡기결핵, 노인 70대 이상 환자 가장 많아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30.8%인 2만 1천 명으
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대표 김대중)는 4월 1일부터 건일제약㈜(대표 김영중)의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제 ‘오마코 연질캡슐’(성분명 오메가-3-산에틸에스테르90)의 국내 공동판매를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계약체결은 한국다이이찌산쿄가 국내 파트너사의 제품을 함께 판매하는 공동판촉 형태로, 양사는 종합병원에서 ‘오마코’의 영업과 마케팅을 공동으로 담당하게 됐다. 건일제약은 의원에서 판촉을 담당하며, 한국다이이찌산쿄는 전국 유통을 담당한다. 김대중 한국다이이찌산쿄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심혈관계 영역에서 쌓아온 높은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베스트 파트너로서 인정받는 ‘Partner of Choice’로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하게 돼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지금까지 심혈관계 치료제 영역에서 입증해 온 학술 및 마케팅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환자들의 건강증진과 국내 제약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영중 건일제약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심혈관계 치료제 시장에서 우수한 영업력과 입지를 다지고 있는 한국다이이찌산쿄와 협력할 수 있게 돼 기쁘다. 양사가 함께 시너지를 발휘하여, 보다 전문화되고 차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2017년 임상시험계획 승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승인건수는 658건으로 2016년 628건 대비 4.8% 증가한 가운데 국내에서 실시되는 다국가 3상 승인과 면역항암제 승인이 30%이상 급증했다고 22일 밝혔다. 국내 임상시험은 전 세계 임상시험 감소 추세 속에서도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제도와 시설‧인력 등 인프라가 다른 국가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늘어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미국 임상등록 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임상시험은 2016년 8,090건에서 2017년 7,865건으로 감소했다. 또한 최근에는 암세포를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치료에서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을 치료하는 면역항암 치료로 전환되는 추세가 우리나라 임상시험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임상시험 주요 특징은 ▲면역항암제 임상시험 승인 급증 ▲다국가 3상 임상시험 승인 증가 ▲합성의약품 임상시험 승인 여전히 높은 비율 유지 등이 있다. ◆면역항암제 임상시험 승인 급증지난해 실시된 임상시험을 효능군별로 살펴보면 항암제(251건), 심혈관계(61건), 중추신경계(54건), 내분비계(45건), 소화기계(41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승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이사장 지동현)가 ‘세계 임상시험의 날(5월 20일)’을 맞아 ‘2018 임상시험 사랑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2일 전했다. ‘임상시험 愛 사랑을 더하다’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되는 이번 공모전은 질병치료와 신약개발의 필수 과정인 임상시험의 가치와 의미를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임상시험의 좋은 경험을 국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마련됐다.▲참여수기 ▲웹툰 ▲사진 등 총 3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표현 주제는 참여수기의 경우 임상시험 진행 또는 참여를 통한 질병 극복 등의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내용을 자유롭게 담으면 된다. 올해 새롭게 추가된 웹툰과 사진 부문은 질병극복과 신약개발 임상시험의 긍정적인 가치와 중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표현하면 된다. 4월 30일까지 응모 가능하며,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홈페이지(www.konect.or.kr)에서 참가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품과 함께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심사 결과는 5월 중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되며, 시상식과 작품 전시회는 5월 18일 개최 예정인 ‘제2회 세계 임상시험의 날’ 행사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수상작은 주제 부합성, 진실성, 전달력 등을 심사해 부문별 대상(각 1명), 우수
외상사망률을 2015년 21.4%에서 2025년 10%로 낮추기 위해 정부는 중증외상환자 이송에서 진료까지 전 과정 3대 분야 27개 과제를 개선한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1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했다. 이 국무총리는 "중증외상진료를 맡을 권역외상센터의 확충은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석해균 선장과 판문점 귀순 병사가 고도의 치료로 생명을 지킨 일은 중증외상진료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며 "우리 의료수준에 대한 자부심을 주는 것과 동시에 중증외상진료의 처참할 만큼 열악한 현실을 알려줘 깊은 부끄러움을 던져주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북한군 귀순병사의 이송‧수술(‘17.11) 과정에서 확인된 중증외상진료현장의 여건 개선을 위해 민·관 합동으로 중증외상환자 이송에서 진료까지 전 과정에 걸쳐 3대분야 27개과제의 개선대책을 마련했다.(아래 별첨 중증외상 진료체계 개선 대책) 이번 대책의 주요내용을 보면 병원 전 단계에서 환자가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장 응급구조사의 외상처치교육을 강화하고 국민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외상처치 매뉴얼을 제작하는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병원장 홍승모 몬시뇰)이 오는 28일(수) 오후 1시30분 신관 15층 마리아홀에서 '어깨관절의 날' 건강강좌를 진행한다. 이날 건강강좌는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손종민 관절센터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어깨관절 질환(정형외과 이상욱 교수) ▲어깨운동법(정형외과 이종윤 교수) ▲골다공증(정형외과 전상현 교수) 순으로 진행된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이상욱 교수는 “어깨 관절은 나이와 성별을 떠나 살면서 누구나 흔하게 불편함을 호소하는 관절로서 건강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다”며 “어깨통증은 원인이 다양한 만큼 치료방법도 환자마다 다르다. 이번 건강강좌를 통해 건강하게 어깨를 관리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좌는 환자 및 보호자, 지역주민 등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참석 가능하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원장 서진수)은 24일(토) 15:00부터 본원 지하1층 대강당에서 ’제1회 신경외과 연수교육’을 개원의 및 전공의를 대상으로 개최한다. 이번 연수교육 1부는 흔히 접하는 신경외과 질환 및 증상과 다학제 협진진료를 주제로 ▲두통의 진단과 치료(신경외과 한성록 교수), ▲두통에 대한 통증의학적 접근(마취통증의학과 이상일 교수), ▲어지럼증과 뇌혈관 질환(신경외과 구해원 교수), ▲고혈압과 신경계 합병증(순환기내과 황지원 교수), ▲요통의 진단과 비수술적 치료(이일신경외과 이해일 원장), ▲척추에 침범한 류마티스질환(류마티스내과 윤보영 교수), ▲감염성 척추질환 및 수술후 감염증(서울아산병원 이병주 교수), ▲의인성 척추 감염증에 치료(감염내과 곽이경 교수), ▲잠복결핵과 폐외결핵(검단탑병원 정훈 과장)의 내용으로 진행된다. 2부는 ‘문케어시대의 의료환경과 병·의원 경영’에 대한 주제로 갈렙앤컴퍼니 윤상철 대표이사의 강의가 있으며, 3부는 치료제의 기전과 최신지견을 주제로 ‘Ca2+channel α2-δ ligand’(Pfizer PM 백승민)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고 별도의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일산백병원 신경외과 과장 손문준 교수는 “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3월 21일(수) 오후 6시 서울 용산구 한남동 그랜드 하얏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제11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날 시상식에서 아산재단은 아산의학상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인 김은준 KAIST(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와 임상의학부문 수상자인 방영주 서울의대 종양내과 교수에게 각각 3억 원의 상금을 시상했다. 젊은의학자부문은 김호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김범경 연세의대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각각 5천만 원의 상금을 시상하는 등 총 4명에게 상금 7억 원을 수여했다. 아산의학상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어낸 국내외 의과학자를 발굴하여 격려하기 위한 상으로 지난 2007년 제정됐다.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인 김은준(54세) 교수는 인간 뇌 속의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의 작동원리 및 뇌질환과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병 원인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임상의학부문 수상자인 방영주(64세) 교수는 위암 표적항암제 및 면역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최초로 입증하면서 국내 의학연구 수준을 높인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다. 만 40세 이하의 의과학자에게 주어지는 젊은의학자부문 수상자인 김호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