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d텔레그램DaisoDB$ㄴ맘카페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81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씨케이리제온(대표이사 최강열)이 신경퇴행성 질환 혁신형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해 일본 특허를 취득했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현재 동일 특허는 미국, 유럽 및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심사 중이다. 알츠하이머병은 노인성치매의 원인이며 신경세포의 염증과 관련되며,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 형성 등으로 인해서, 인지기능의 소실과 언어장에 장기기억상실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환자 자신은 물론 가족 및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된다. 하지만 그 원인은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회사는 오랜 연구를 통해 ‘CXXC5’라는 단백질이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뇌의 해마와 전액골피질 세포 특히 세포질에서 크게 증가해 조직재생과 관련된 윈트6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츠하이머병의 중요원인으로 밝혔다. CXXC5 유전자가 소실(Cxxc5-/-)된 생쥐와 5xFAD라는 사람의 알츠하이머 유전자를 가지는 알츠하이머 병을 유발시키는 모델 생쥐를 교배했을 때 알츠하이머병의 질환표현형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바탕으로 CXXC5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근본 원인으로 제시했다. 이번 특허를 받은 후보물질은 CXXC5-DVL 단백질-단백질 결합(PPI)을 저해해, CXXC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도 실종아동 신고의무자로 포함된 것에 대해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가 간호조무사들이 당하던 차별이 없어진 것에 대해 환영했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는 지난 1월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이 발의한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된 사항에 대해 26일 환영 의사를 표명했다. 현행 ‘의료법’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의료업을 행하는 의료인이나 의료기관의 장에 대해 직무상 실종아동 등임을 알게 된 경우 경찰신고체계로 바로 신고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또는 사회복지시설 등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는 기관의 종사자로 신고의무자에 해당하지만, 정작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간호조무사의 경우 의원급 의료기관 간호인력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간호인력 비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인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아 신고의무자에서 제외돼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권인숙 의원은 간호조무사 등 직무상 환자와 직접 대면할 가능성이 높은 의료기관 종사자에게도 신고의무를 부과해 더 빠르고 쉽게 실종아동 등을 발견한다는 취지에서 지난 2021년 ▲아동학대처벌법 ▲
새로운 로고와 새로운 "헬스 위드 케어" 보상 정책으로 공감가는 혁신과 기술을 전달 제노아, 이탈리아, 2024년 1월 25일 /PRNewswire/ -- 의료영상 분야를 선도하는 이탈리아 혁신 기업 이자오테그룹(Esaote Group)은 플로렌스에서 열린 2024년 전세계 판매 및 마케팅 회의에서 오늘 새로운 브랜드아이덴티티를 공개했다. 매년 전세계 100개국에서 온 약 400명의 매니저, 판매 파트너 및 이해관계자들이 이 행사에 모여 실적, 전략 및 신기술을 공유한다. Franco Fontana – CEO Esaote Group 이자오테는 지난 몇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오면서 제품, 인프라, 비즈니스 및 조직 모델 등 모든 분야에서 이룩한 놀라운 리뉴얼과 함께 브랜드아이덴티티를 비전, 사명 및 핵심 가치에 맞게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전체 리스타일링 과정은 과학, 혁신 및 기술의 표현인 보다 현대적인 로고를 만든다는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브랜드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사용하여 이자오테가 동사의 일상 업무를 수행하고 목표 오디언스에 대처함으로써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묵현상, 이하 ‘사업단’)은 ‘2024 국가신약개발사업 R&D 워크샵’을 1월 18(목)부터 19일(금)까지 남한강 썬밸리호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샵은 2023년 신규 선정된 국가신약개발사업 주관연구개발기관에서 참여한 약 200여 명의 연구자는 양일간 최신 산업 및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신약개발 과제의 효율적 과제 운영 및 혁신적인 신약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현재 개발중인 과제의 포스터 발표와 네트워킹 시간을 통해 신약개발 연구자 간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날 워크샵은 사업단 묵현상 단장의 ‘세계로 가는 신약개발’ 발표를 시작으로 문을 열었다. 묵현상 단장은 최근 투자가 말라버린 세계 동향을 전하며, 달라진 환경 속 국내 신약개발의 생존과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차례로 글로벌 제약 바이오 신약개발 동향 - R&D & Deal, 국가신약개발사업 R&D 사업운영 계획, 성공적인 신약개발을 위한 과제관리 방안 그리고 과제운영 행정절차 안내 발표로 이어졌다. 역대 참석자들에게 가장 관심도가 높았던 주요 R&D 과제 발표 또한 진행이 됐다. 총 6개의 신약개발 기업(▲올릭스주
어바인, 캘리포니아, 2024년 1월 19일 /PRNewswire/ -- 암과 면역질환 치료를 위해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임상 단계 바이오텍 기업인 페프로메네바이오(PeproMene Bio, Inc.)는 오늘 PMB-CT01(BAFFR-CAR T 세포)의 재발성 또는 난치성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r/r B-ALL) 임상 1상에서 치료받은 코호트 1 첫 번째 환자가 치료 후 1개월 만에 완전 관해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 결과는 페프로메네바이오가 지난달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 혈액학회 연례회의에서 재발성/난치성 비호지킨 림프종 PMB-CT01에 대한 임상시험 발표에 추가하는 것이다. 시티오브호프 부교수 엘리자베스 버드 혈액학 및 조혈세포이식학과 의사박사가 발표한 이번 시험 결과는 세 환자 모두 최소한의 독성으로 견조한 완전 관해를 달성했기 때문에 상당한 흥분을 자아냈다 (https://ash.confex.com/ash/2023/webprogram/Paper183032.html). 이 실험은 이 치료법을 개발한 미국 최대 암 연구 및 치료 기관 중 하나인 시티오브호프(City of Hope)에
보험 업계 4 위 매뉴라이프가 지속가능한 수익과 투자 부문에서 성과를 인정 받아 다보스, 스위스, 2024년 1월 18일 /PR Newswire/ -- 매뉴라이프(Manullife(TSX: MFC))가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 중 하나로서 2024년 코포레이트나이츠 글로벌 100 순위에 선정되었다. 올해로 20년째를 맞이하는 글로벌 100은 세계 최대 상장 기업들이 전략의 일환으로 지속가능성을 수용하는 방법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고 순위를 매기며 그들의 핵심 제품 및 서비스와 함께 그 기업 운영이 사람과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동일하게 강조한다. 이 순위는 연간 총 매출이 미화 10억 달러 이상인 6,720개 기업에 대한 엄격한 평가를 근거로 결정한다. 로이 고리 매뉴라이프 사장 겸 CEO는 "우리가 처음 임팩트어젠다를 도입했을 때, 우리는 우리의 고객들, 우리의 지역 사회들, 그리고 우리 환경의 진화하는 요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사업을 계속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체계를 갖게 되어 기뻤다"면서 "세계가 계속해서 지정학적, 환경적 그리고 경제적인
미토콘드리아 내에 위치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2)를 활성화해 휴지기 모낭을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은 피부과 권오상 교수팀(이승희 박사)이 ALDH2의 효과적인 활성화를 통해 세포내 에너지 대사와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산을 촉진해 모발 성장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ALDH2의 모발 성장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LDH2 활성화제(Alda-1)를 활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낭의 ALDH2 활성도는 주로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모낭상피세포층에서 발현되며, 휴지기에는 발현이 미미하다가 성장기로 전환되면서 발현이 크게 증가해 모발 성장기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ALDH2 활성화는 모낭에서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해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 대사에 기여하는 ATP 생산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과도한 활성산소를 감소시키며 독성 산화 알데하이드(4-HNE, MDA)를 제거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간 모낭 기관배양 실험 및 마우스 동물실험 결과에서도 ALDH2 활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메디컬코리아 2024(Medical Korea 2024) 비즈니스 상담회 국내 셀러 기업을 이달 15일(월)부터 3월 6일(수)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비즈니스 상담회는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진흥원이 주관하는 메디컬코리아 2024(Medical Korea 2024) - 제14회 글로벌 헬스케어 & 의료관광 컨퍼런스의 연계 행사로, 외국인환자 유치 채널 발굴 및 의료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의료기관과 보건산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3월 14일(목)부터 15일(금)까지 2일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비즈니스 상담회는 ‘외국인환자 유치’ 파트(이하 유치 파트)와 ‘보건산업체 해외진출’ 파트(이하 진출 파트)로 나누어 참가 신청을 받고 있다. 유치 파트에는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기관(의료기관, 유치사업자), 지자체 등이 참가할 수 있으며, 진출 파트는 해외진출 및 국제입찰 시장에 관심이 있는 제약·바이오·의료기기·의료소모품 등 국내 보건산업체로부터 참가 신청을 받는다. 이번 비즈니스 상담회에 참가하는 국내 기업은 해외 바이어와 1:1 온·오프라인 상담을 통해 사업추진을 위한 네트워킹 구축 및 업무협약(
아이들 삶의 과도한 디지털화가 야기한 '인간변화'가 지금 일어나고 있다 - 세계는 기술 진보와 아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일치시키는 것을 우선순위로 정해야 한다. 다보스, 스위스, 2024년 1월 15일 /PRNewswire/ -- 글로벌 옹호캠페인 인간변화(Human Change)가 다보스에서 세계경제포럼이 열리는 기간인 오늘 시작되어 아이들의 소셜 미디어 접근 방식과 그들 삶의 디지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변화를 촉진한다. 마그리타 루이스-드레퓌스가 설립한 이 캠페인은 디지털화의 악영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공동의 약속으로 학계, 소아과 의사, 옹호가, 개업의, 교사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부모와 젊은이 등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하나로 묶고 있다. 인간변화 캠페인은 전세계적인 건강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기기가 아이들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건강에 대한 전세계적인 대화의 최전선으로 이끌기 위해 헌신하고 있다. 일련의 최첨단 패널 토론회에서 심리학, 의학, 비즈니스, 정부 그리고 기타 분야의 국제적인 전문가들이 디지털화와 소셜 미디어가 우리의 아이들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고,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 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지에서 ‘글로벌 IR @JPM 2024’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 시들리 오스틴(SIDLEY AUSTIN), 바이오센츄리(BIOCENTURY)가 함께 공동 주최하고 나스닥(NASDAQ), 산업통상자원부 그리고 바이오컴 캘리포니아 (Biocom California)의 후원으로 올해 4번째로 진행된 ‘글로벌 IR @JPM’은 국내외 유수의 바이오 스타트업 10개사 IR 발표와 다국적 투자 및 법률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으로 구성됐다. 올해 행사에서는 전 세계에서 모인 기업 및 투자자 등 약 150여 명의 청중들이 자리한 가운데, 2023년 바이오 투자현황과 2024년도 투자전망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기업발표 외 패널토론에서는 ‘국경을 뛰어넘는 투자 – 2024년 투자전망’을 주제로 바이오센츄리(Bio Century) 편집장 제프 크랜머(Jeff Cranmer), CBC Group 마이클 경(Michael Keyoung), LYFE Capital 펑밍고(Fong Ming Koh), 그리고 Magnetic Ventures 크리스틴 에일워드(Christine Aylward)가 투자사 관점에서의 향후 바이오헬스 산업 투자시
이탈리아 제노아 및 독일 드레스덴, 2024년 1월 10일 /PRNewswire/ -- 에너지와 전세계 유일의 진정한 오픈형 MROpenEVO 자기공명영상(MRI) 시스템과 같은 의료 분야에 이미 응용되고 있는 ASG슈퍼컨덕터즈(ASG Superconductors (ASG))의 MgB2 초전도 기술은 전세계 혁신의 핵심에 위치하는데 드레스덴의 실시간 MRI 영상을 이용하는 양자 치료 및 및 암 치료 분야에서 오늘 발표되었다. OncoRay world's first scientific prototype combining real time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proton therapy for tumours 실제로 MRI는 연성 조직 영상의 뚜렷한 대비를 통해 종양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영상 기법보다 우수하다. 이를 통해 종양을 주변의 건강한 조직과 더 잘 구별할 수 있으며 양자 광선 조사가 필요한 부위를 더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MRI 유도를 통해 후속 치료 세션 사이에서 생기는 양자 광선 조사가 필요한 부위
펜실베니아 말번, 이태리 피렌체, 2024년 1월 10일 /PRNewswire/ -- 다제내성 박테리아 감염 및 난치성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건강 결과 개선에 중점을 두는 상용화 이전 민간 제약회사인 베나톡스 파마수티컬(Venatorx Pharmaceuticals)과 이탈리아 생물제약그룹인 메나리니 그룹(Menarini Group)은 오늘 유럽, 남미, 중동, 터키, 북아프리카 및 독립국가연합(CIS) 등지 96개국에서 세페핌-타니보박탐(cefepime-taniborbactam)이 관련 보건 당국의 승인을 받으면 이를 상용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메나리니에서 갖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 조건에 따르면 베나톡스는 선급 라이선스비, 추가 R&D, 규제 및 판매 기반 마일스톤 지급과 순매출액 비율에 따른 잠재적 로열티 지급을 받을 것이다. 베나톡스 CEO인 크리스토퍼 J 번스 박사(Christopher J. Burns, Ph.D)는 "메나리니는 전세계 상용화 인프라를 보유하고 항생제 등&nb
로스앤젤레스, 2024년 1월 8일 /PRNewswire/ -- 체모는 많은데 두피에는 거의 없다는 계속되는 퍼즐은 탈모를 치료하는 많은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한다. 닥터 유 헤어 앤 스킨 클리닉(Dr. U Hair and Skin Clinic)에서 '피부 반응 장치를 이용한 모낭 단위 절제술에 의한 수염 및 체모 이식'이라는 제목의 선구적인 연구를 저명한 피부과 수술 저널에 발표하면서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이 간행물에서는 의사가 체모 이식(BHT)이라는 시술을 통해 수염과 체모를 두피의 탈모 부위에 매끄럽게 이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인 피부 반응형 기기인 UGraft Zeus®를 소개한다. The severely ba
KAT6은 호르몬 민감성 유방암 및 기타 암에서 새로운 표적이다. KAT6A/B 과다발현은 가장 흔한 하위형인 ER+/HER2- 유방암 환자의 불량한 임상 예후와 상관관계가 있다. 이 분자는 강력한 전임상 활성을 입증했다. InSilico는 이 새로운 분자에 대한 데이터를 12월 초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다. 이 계약은 선지급과 마일스톤 지급을 포함하며 잠재적 복합 가치가 5억 달러를 초과하고 판매 로열티가 있다. 이탈리아 피렌체 및 뉴욕, 2024년 1월 5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선도적인 국제 제약 및 진단 회사인 Menarini Group(이하 'Menarini')과 Menarini Group의 완전 소유 자회사로 암 환자에게 전환적 암 치료법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는 Stemline Therapeutics, Inc.('Stemline')가 오늘 임상 단계의 생성형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생명공학 회사인 InSilico Medicine('InSilico')과 함께 호르몬 민감성 암 및 기타 종양학 적응증에 대한 잠재적 치료제로서 InS
테라젠이텍스는 2024년 1월 1일부로 임직원 36명에 대한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부사장(1명)△영업본부 - 김대율 *이사(3명)△서울지점 강시형△서울지점 김동식△강원지점 박진한 *이사대우(5명)△서울지점 최 철△마케팅부 이용훈△개발부 구완모△인사총무부 채상훈△구매,수탁부 김길종 *부장(2명)△생산본부 전영준△생산본부 이명기 *차장(2명)△개발부 이지현△경영지원부 육혜연 *과장(3명)△생산본부 우성훈△생산본부 이대진△생산본부 박수영 *대리(12명)△생산본부 유승은 △생산본부 권동성 △생산본부 김형준 △생산본부 홍석현 △생산본부 이희영△생산본부 오영환 △생산본부 윤현희 △생산본부 이담이 △생산본부 강민규 △생산본부 정윤미△중앙연구소 한대하 △중앙연구소 이유진 *주임(8명)△생산본부 허위향 △생산본부 안예림 △생산본부 이경원 △생산본부 정지숙 △생산본부 송다영△생산본부 김지은 △중앙연구소 이인재 △글로벌사업부 안혜영
의대정원 확대에 앞서 의대가 증원된 환경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 있다. 의대 교수진과 학생은 현재 상황으로서는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전망을 제시했다. 특히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현재 진행중인 전국적인 기초의학 교수의 부족 현상에 더해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규모적·역량적 한계로 인한 평가 및 관리의 어려움 등이 언급됐다. 정원 확대 후의 상황을 예측하기 위해 서남의대의 폐교 후 늘어난 정원을 수용했던 전북의대와 원광의대의 당시 상황에 대해서도 소개됐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과 보건의료특별위원회는 제4차 의대정원 확대 연속토론회 ‘정원 확대 이전 의과대학의 준비 - 부실의대 방지를 위해 노력할 것들’을 12월 28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최근 정부는 전국 의과대학에 정원 확대 수요조사를 진행해 발표한 바 있다. 총 1,000명에서 3,000명 가까이 증원을 신청했는데, 이중에는 현재 정원의 4배 이상을 증원할 수 있다고 신청한 대학도 있어 현실적인 가능 여부의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토론회 시작 전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은 “의대정원 확대는 별도 조직을 구성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최근 수요조사는 의과대학,
필라델피아, 2023년 12월 27일 /PRNewswire/ -- Rx-360®은 2024년 이사회를 발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비영리 단체로서 본 이사회는 의약품 공급망 보안, 재료 품질 및 환자 안전이라는 Rx-360® 임무를 계속 추진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2023년 조직의 성공적인 성장에 따른 것이다. Rx-360® 2023년 이사회 참석자는 다음과 같다. Scott Kammer(의장): Takeda Rob Welsh(명예 의장): Avantor Jennifer Stone(부의장): PTC Therapeutics Kathleen Silva(재무관): MilliporeSigma(Merck KGaA) Christian Liebl: Schreiner MediPharm(비서) Bill Campagna: E
서울, 한국 2023년 12월 26일 /PRNewswire=연합뉴스/ -- 위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혁신적인 유제품 보충제인 캐스토마(Castoma)가 한국에 출시되었다. 캐스토마는 위염, 궤양, 역류 등의 위 문제가 있는 수 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편안함과 안락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14,500명이 위궤양 치료를 받았으며 이 중 72%가 남성이다. 나이를 보면 50대가 26%, 40대가 22%를 차지하여 40~50대가 48%이다. 스트레스와 생활습관으로 인해 발생하는&n
국가와 지자체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을 실현하기 위해 물리적·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개선해 나가도록 규정한 법안이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건강도시 조성 의무를 담은 ‘국민건강증진법’이 시행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모든 지자체가 차질 없이 건강도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건강도시 지표를 개발해 보급한다. 건강도시 지표는 ▲건강도시 추진을 위해 필요한 비전, 조직, 예산, 중장기 계획 등의 인프라 구축 여부 ▲공공·민간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과 지역 주민 참여 보장 여부 ▲건강도시 사업계획 수립 및 평가체계 구축 여부 ▲건강도시 관련 정보 수집·공개·환류 여부 등을 확인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건강도시 지표와 함께 ‘건강도시 지표 활용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자체 설명회와 컨설팅 등을 실시해 입법 취지가 현장에서 잘 구현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가 대한창상학회(회장 전영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교수)와 요양병원에 종사하는 의료진 15명을 대상으로 ‘상처 관리 워크숍 - 음압 창상 치료(Wound Workshop -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시지바이오가 대한창상학회와 함께 진행한 첫 상처 관리 워크숍으로, 대학병원에서 퇴원한 후 요양병원, 재활의료기관, 가정간호 등을 통해 상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빠른 치유를 돕고, 일상생활 복귀에 도움을 주고자 마련됐다.행사에는 서현석 위원장(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교수)이 ‘창상치료의 기초’와 ‘음압 치료의 원리’를 주제로 이론 강의를 진행했으며, 백규원 부회장(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권경민 위원장(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김민경 위원장(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이 시지바이오의 음압 창상 치료 기기 ‘큐라시스2(CuraSYS 2)’와 음압 창상피복재 ‘큐라백(CuraVAC)’을 이용해 욕창 부위에 따른 드레싱 시술법을 시연했다.큐라시스는 폼 형식의 음압 창상피복재인 큐라백과 함께 사용하는 음압 창상 치료 기기로, 상처 부위에 음압을 적용해 상처에서 발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