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56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FDA 자문위원회는 29일(현지시간) 6대 0 만장일치로 로슈의 아바스틴 유방암 (전이 HER2 음성 유방암) 적응증 추가를 거절했다. 이에 앞서 FDA본부에서 아바스틴 유방암 사용 거절에 대한 로슈의 항의 청문회가 2일간 개최되었고 FDA측에서도 적응증 추가 결정여부에 주목해 왔다. FDA는 지난 12월 4건의 임상연구를 검토한 후 아바스틴(Avastin: bevacizumab)을 전이 유방암 환자에게 파크리탁셀과 병용 투여한 결과 전반적인 생존율 연장이나 암 진행지연 효과가 충분치 않다는 결론을 내렸었다. 따라서 아바스틴 사용 설명서에 유방암 적응증의 삭제절차를 진행했었다유방암 적응증 삭제 결론은 FDA 자문위원회가 지난 7월 12대 1로 적응증을 삭제 결정한 심의에 따른 것이다. 당초 FDA는 아바스틴이 파크리탁셀과 병용할 경우 효과를 나타낸다는 제안에 대해 2008년 2월 우선 심사 혜택을 주었었다. 유방암 적응증 거절에 대한 FDA 조치에 로슈는 강력 항의하고 유방암 환자들이 FDA 자문위원회에 증언하기도 했다. 회사측은 불치의 질병으로 고생하는 여성들이 이 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관측통은 FDA가 아바스틴 유방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김태한)는 지난 28일부터 워싱턴 D.C.Convention Center에서 3일간 열리는 2011 Bio Conference에 참가한다.이번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CMO 사업을 위해 단독부스를 설치하고,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반시설 및 기술에 대해 다국적 제약회사에 알리는 활동을 시작한다.Bio Conference는 매년 1만5,000명 이상이 참가하는 바이오 분야 세계 최대의 컨벤션으로 꼽히고 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 의약품 생산 사업(CMO)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장기적으로 바이오 신약 사업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CMO는 제약회사의 의뢰를 받아 의약품 생산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사업을 말한다.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계별 바이오 플랜트 계획을 갖고 있다. 1단계로 3,300억원을 투자해 3만 리터급 동물세포 배양기를 갖춘 초현대식 바이오 제약 제조시설을 갖출 계획이다.오는 2012년 말까지 공장건설을 완료하고, 2013년 상반기부터 치료용 바이오 의약품을 본격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 의약품은 미국 FDA, 유럽 EMA 가 인정하는 의약품 생산 적합 기준인 cGMP에 맞춰 생산한다.추후 바이오 신약을 연구,
박찬경 연세 본 정형외과 원무부장 모친상. 2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일 5시30분, 02-2227-7597
노인인구 증가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의료기기 수요가 늘어나자 새로 제조 및 수입에 참여하는 업소가 급증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지난 5월 월간 의료기기 허가현황 분석결과, 업허가 54건, 품목허가 207건을 허가했다고 29일 밝혔다.지난달 의료기기 제조업허가는 지난 4월의 19건보다 10건(52.63%)이 증가한 29건이 허가됐으며, 수입업허가는 4월 24건보다 1건(4.17%)이 증가한 25건이었다.반면 의료기기 제조품목허가의 경우 4월의 141건보다 32건(22.70%)이 감소한 109건, 수입품목허가는 86건보다 12건(13.95%) 증가한 98건인 것으로 확인돼 국내 제조 보다 수입품목이 늘어난 추세를 보였다.품목별 허가를 살펴보면 *기도형보청기(12건), *저주파자극기(6건), *의료용 자외선 소독기(5건), *레이저 수술기 및 *매일착용소프트 콘택트렌즈(각 4건)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특히 ‘기도형보청기’는 올해 현재 품목별 누적 허가건수에서도 가장 많이 허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국내 역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경제적 여유가 증가하면서 노인층의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도 *의료용자외선소
자격이 미비하고 해외연수 등으로 부재중이거나 선택진료의사로 지정되지 않은 의사들을 선택진료에 운용하는 병원들에게 ‘경고’가 내려졌다.서울대병원을 비롯해 총 8개 대학병원이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벌인 ‘선택진료비’공판 결과, 서울고등법원은 ‘자격이 없고 부재중이거나 비지정인 의사’를 선택진료에 공공연히 운용해오던 병원들이 이를 시정해야 한다고 판결했다.진료지원과목의 선택진료의사를 주진료과목 선택진료의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위임하는 데 대해서는 환자의 동의를 얻으면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지만 선택진료의사의 기준은 분명히 한 것이다.앞서 병원들은 임상강사와 임상전임강사, 촉탁의, 겸임임상조교수 등 선택진료의사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의사들의 명의로 선택진료를 청구하며 “실제로는 자격이 있는 의사에 의해 선택진료가 실시됐기 때문에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또 선택진료의사가 진료를 본 날짜와 실제 수납이 이뤄진 날짜는 다른 경우가 있고 일부 실수는 행정적인 것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이같은 주장들은 재판부로부터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으므로 무효’라는 판단을 받았다.선택진료의사로 지정돼지 않은 의사를 선택진료에 활용해 환자들에게 불이익을 제공할 의도가 있었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은 정부의 치매종합 관리대책(치매와의 전쟁)의 효율적 추진 방안의 일환으로 치매환자의 치료관리비 지원금을 공단 시스템을 통해 지급한다고 밝혔다.지급 대상은 보건소에 등록된 전국 가구 평균 소득 50% 이하의 60세 이상 치매환자이며, 월 3만원 한도의 치매치료관리비를 공단이 발췌해 신청인의 계좌를 통해 지급한다(자체 사업을 하는 서울시 제외). 공단이 치매치료관리비를 지급함에 따라 그동안 치매환자가 요양기관에 납부한 약제비 영수증을 가지고 보건소를 방문해 지급받는데서 오는 불편이 해소되게 됐다.치매는 우리사회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질환으로 65세 이상 노인 535만7천명 중 치매환자가 46만9천명이며, 유병률이 8.8%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3조원에 이르고 중증 치매환자의 치료비용이 초기 환자의 9배에 이르는 등 조기 관리가 치료와 비용절감에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치료약을 조기에 복용할 경우 치매의 중증화가 방지되어 8년 후 시설입소율이 80%까지 낮아지고,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개선으로 환자 본인과 가족의 삶의 질이 동시에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단은
주요 상위제약사 가운데 올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한 업체는 ‘녹십자’가, 가장 낮은 실적은 ‘한미약품’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KTB투자증권 등에 따르면 녹십자는 전년 2분기 보다 매출액이 9.5% 증가하고, 한미약품의 경우 14.4%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영업이익의 경우 한미약품이 194%로 가장 많이 오르고, LG생명과학이 -65.5%로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동아제약의 2분기 매출액은 2,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2,214억원 대비 1.9%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분기 2,102억원과 비교해도 7.2% 늘어났다. 이는 4~5월 합산 원외처방조제액이 전년 동기대비 3%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처방실적 회복 속도는 예상보다 느리다는 의견이다.영업이익 역시 전년 보다 올랐다. 2분기 추정 영업이익은 290억원으로 전년 동기 286억원보다 1.2% 증가했다. GSK와의 코프로모션 수수료 수익이 유입되면서 양호한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녹십자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1,607억원보다 9.5% 상승한 1,760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1,426억원과 비교하면 23.4%나 증가한 수치다.영업
의료계가 강하게 반대해 오던 ‘한의약육성법 일부개정안’이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전격 의결됐다.한의약육성법 개정안은 한의약의 계속적인 연구개발과 발전을 위해 ‘한의약’의 정의에 “과학적으로 응용·개발한 한방의료행위 및 한약사(韓藥事)”를 추가했다.개정안과 관련 대한의사협회에서는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현대의학에 기초한 의료와 한방의료로 이원화돼 있고 의료법은 두 영역을 분리해 의사든 한의사든 면허된 의료행위 이외의 의료행위는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는 전제로, 한의사들이 영역을 침범해 현대의료기기 이용을 허용케 하는 단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거센 반대의 목소리를 높여왔었다.의협은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정책방향에 대해 강력히 시정을 요구하고, 법률적 검토 작업 및 국회에 재개정안을 통한 재논의 등 다각적인 대응책을 꾀한다는 전략으로 추이가 주목된다.한편, 정신과를 정신건강의학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보고·업무검사 명령을 거부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공무원은 업무검사 등을 행할 때 증표 및 조사명령서를 지니도록 규정한 ‘의료법 개정안’도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됐다.본회를 통과한 보건복지부 소관 주요 법안 내용은 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카바수술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 위원 구성에 대해 현행을 유지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이에 심평원은 빠른 시일 내에 위원회 회의를 개최해 전향적연구 적응증 및 관리지침을 확정한다는 방침을 전했다.이번 위원회 구성은 카바수술 관련 고시 개정(고시 제2011-55호, 5.30)에 따른 후속 조치로, 위원회는 개정된 고시에 따라 카바수술 전향적 연구의 대상 환자 및 질환을 정하게 된다.카바수술을 시행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은 위원회가 정한 적응증으로 전향적 연구계획서를 작성해 의료기관 내 설치된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승인을 득한 후 이를 위원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심평원은 “위원에 대한 기피․제척 등 연구기관의 이의가 제기됨에 따라 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 관련 단체 및 학회, 연구기관의 의견수렴을 수차례 거치는 등 이의제기 내용을 검토하게 됐고, 이에 따라 위원회 구성이 다소 지연됐다”고 말했다. 이어 심평원은 위원회 위원 기피․제척에 대한 연구기관의 의견을 검토한 결과, ① 위원회 구성이 객관적으로 공정한 심의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고 ②학문적 소신
인천광역시의사회는 오늘(29일) 오후 5시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을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한다고 밝혔다.지난 28일 국회 법사위에서 한방 출신의 한의약정책관이 “IPL은 태양광의 이용을 명시한 황제내경에도 나와 있어 한의사도 쓸 수 있다”고 말한 것은 궤변이라며 문제 삼았다.인천시의사회는 국가의 녹을 먹는 공직자로서 할 수 없는 잘못되고 무책임한 말이 아닐 수 없으며 황제내경에 나와 있는 내용은 ‘겨울철에 양생을 위해 잠자는 시간을 늘리고 햇빛을 쪼여라’는 내용 등으로 이를 IPL 치료에 연관 짓는 것은 한마디로 전 세계적인 웃음거리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한방은 중의학과 다르다고 1986년 한방의 한(漢)자를 한(韓)으로 바꾼 사람들이 갑자기 중국서적 황제내경을 운운하는 것도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IPL(intensive pulsed light)은 1993년 미국의 ESC Medical 회사에서 Photoderm 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됐다고 전제했다.1995년 색소성병변, 노인성반점 등의 치료로 미국 FDA에 승인을 받았으며 그 후 1996년 혈관병변에 대한 치료, 1997년에는 제모로도 승인을 받은 치료로 △혈색소,
대웅제약의 ‘올메텍정’을 비롯한 15품목이 이르면 내달 1일부터 약가가 인하된다.보건복지부는 29일 미래제약의 ‘페이낙주’를 비롯한 58품목에 대해 급여화를 고시했다. 또 453품목에 대해서는 급여상한금액 및 업체명 등을 변경하고 기존 약제급여목록에 포함돼 있던 119품목은 삭제했다.복지부가 발표한 ‘약제급여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에 따르면, 총 453품목 가운데 428품목은 기존의 중외, 중외제약, 중외신약으로 표기됐던 업체명이 각각 JW중외제약, JW중외신약으로 변경된다. 약가가 인하되는 품목은 ‘란스톤엘에프디티정30mg’(제일약품) 1,549원→1,441원, ‘란스톤엘에프디티정15mg’ 937원→871원, ‘오놀캡슐’(한국유나이티드바이오켑제약) 1,193원→1,170원, ‘실로스탈정’(한국유나이티드바이오켐제약) 576원→568원, ‘글루코다운오알서방정500mg’(한올바이오파마) 101원→94원, ‘글루코다운오알서방정 750mg’ 126원→118원 등이다. 이들 품목의 약가인하는 내달 1일부터 시행되며, 이 가운데 제일약품의 ‘란스톤엘에프디티정30mg’와 ‘란스톤엘에프디티정15mg’는 오는 2013년 7월 1일까지 각각 1,239원, 750원으로 추가 인
노바티스의 개발 약물인 INC424(성분명 룩솔리티닙)가 현재 적절한 치료제가 없는 골수섬유증 환자치료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2건의 임상3상 결과에서 입증됐다.키나제(JAK)억제제인 INC424는 JAK 돌연변이에 의한 적혈구증가로 발병하는 희귀 혈액암치료제로 개발 중인 임상약물이며, 미국 바이오테크 ‘인사이트’사로부터 라이센스를 획득했다.현재 사용되는 치료제(이하 BAT)와 효과와 INC424의 비교한 COMFORT-II 연구는 219명의 골수섬유증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럽내 56개 임상기관에서 실시됐다.연구결과, 치료 48주 후에 INC424로 치료한 골수섬유증 환자의 28.5%에서 비장용적 크기가 35% 이상 감소를 보인 반면 BAT 치료군에서는 같은 정도의 비장크기 감소를 보인 환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치료 24주 만에 INC424 투여 환자의 31.9%에서 비장용적 크기가 35% 이상 감소한 것과 달리 대조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COMFORT-II 임상연구자이자 이탈리아 플로렌스 대학 카레기병원 혈액학과 교수인 알레산드로바누치 박사는 “INC424는 골수섬유증 환자에서 가장 흔한 JAK 돌연변이가 없을 때에도 자율적으로 활성화되는
한국얀센(대표이사 김상진)은 7월 1일부터 쉐링프라우코리아/한국MSD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레미케이드(성분명: 인플릭시맙)의 국내 판권을 넘겨받는다. 식약청은 28일 한국얀센에 레미케이드의 허가권 양수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레미케이드의 판권이전은 머크와 존슨앤드존슨 간의 합의에 의한 것으로 레미케이드 뿐 아니라 국내에서는 발매 전인 후속약물, ‘골리무맙(Golimumab)’의 판권양도를 포함됐다. 이로써 한국얀센은 최근 식약청으로부터 허가받은 건선치료제 스텔라라를 포함 향후 2~3년 내 3개의 자가면역질환치료제를 보유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한국얀센은 새롭게 자가면역질환사업부를 조직했으며, 신사업부에 사내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자가면역질환 사업부 책임자인 류재현 이사는 “이번 양도양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들이 약을 공급받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환자와 의료진의 편의를 도모하고 시장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전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얀센 김상진 대표는 “레미케이드는 전 세계 150만 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사용된 약제로,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지평을 연 제품”이라며, “이외에도 다양한 생물학적 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제도내실화와 함께 보장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문창진 차의과대학 보건대학원장은 29일,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3주년을 맞아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국제심포지엄에서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 좌표와 지향점’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올해 3월 현재 요양등급을 받은 대상자는 32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노인인구의 5.8%에 해당한다. 이 중 28만명이 요양서비스를 이용 중에 있다. 주요 특성은 80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가 47%, 여성 71%, 치매ㆍ중풍질환자가 54%라는 점이다. 3월 현재 입소시설은 3865개소이며, 재가기관은 1만1202개소로 제도시행 초기에 비해 약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 문창진 원장은 내실화와 보장성 강화의 동시 추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문창진 원장은 “OECD 가입국 중 가장 급속한 고령화가 예견되고 베이비붐 은퇴가 시작된 만큼 장기요양보험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내실화와 보장성 강화 동시 추진이 필요하다”며 “등급외자 중 치매ㆍ중풍 등 장기요양서비스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보장성을 확대할 필
논란이 되고 있는 일반피임약과 응급피임약을 의약분업 예외 품목으로 지정하고, 관련 진료를 급여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진정으로 산부인과를 걱정하는 의사들 모임(이하 진오비)는 29일, ‘응급피임약과 피임 관련 진료에 대한 청원서’를 대통령에게 보냈다고 밝혔다. 이번 대통령 청원은 최근 응급피임약에 대한 일반의약품 지정 논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진오비는 청원서에서 성관계 후 즉시 복용하지 않으면 피임 효과가 현저히 감소해 원치 않은 임신과 불법 낙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응급피임약을 의약분업 예외 약품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응급피임약은 피임 실패율이 작게는 5%, 크게는 42%로 높고 부작용이 많아 강간 등 사전 피임이 불가능한 응급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와 관련 진오비는 “부작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들에게 사전 피임을 대체 할 수 있는 피임약으로 잘못 알려져 오남용 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며 “실패율이 가장 높은 피임법인 응급피임약이 오남용 되면 일반 피임약과 콘돔 등 사전 피임 율이 더욱 감소해 원치 않은 임신과 낙태, 성병과 골반 염 등의 발생을 높여 여성들의 건
보건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건의료분야의 자료 연계가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자료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단일 건강보험체계의 이점을 잘 살려 보건정책 수립 등 공익적 목적을 위한 연구자료 생성은 물론 개인정보도 보호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즉, 보건의료를 둘러싼 수많은 자료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정작 각개전투에 불과한 상황이라는 것이다.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허대석, 이하 보의연)은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자료연계 체계 구축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NECA 보고서 ‘근거개발을 위한 보건의료 자료연계 전략계획 연구’를 발간했다.이를 위해 연구진은 국내 보건의료분야 자료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료를 연계해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는 외국 사례를 수집했다. 이와 병행해 국내 보건의료분야 전문가 167명을 대상으로 보건의료분야 자료 연계의 필요성 및 기반조성을 위한 선결요건 등을 조사했다.설문조사 결과 92%인 152명이 자료 연계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했고 그 이유로는 근거 중심의 공공보건정책 수립(54.5%)이 가장 많았고 연구의 질 향상(30.5%), 중복조
센터 부족으로 50여일에 걸쳐 이뤄지고 있는 의사국가시험의 실기시험이 최대 1주일까지 단축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8일, “내년에 실기시험 센터를 추가로 건립하기 위해서 190여억원의 예산안을 추계해 기획재정부에 상정했다”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이어 “현재는 기존센터를 포함해 총 4개 센터를 확보하려고 하지만 시험기간을 최대로 줄이기 위해 할수 있으면 더 많이 확보할 계획”이라며 “상황에 따라 4개의 센터를 증설해 현행 두개의 센터를 비롯, 총 6개의 센터를 운영하고 시험기간을 1주일까지 단축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처럼 복지부가 논란이 많았던 실기시험센터의 숫자를 증설하는 데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사회적 파장이 끊이지 않았던 의사국시의 신뢰도가 회복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앞서 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은 내년도 의사국시 필기시험의 기출문제를 시범적으로 공개하기로 했다. 그간 관행처럼 굳어진 기출문제의 복원으로 인해 발생한 ‘족보’ 논란과 일부 출판사들이 복원된 문제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면서 불러일으킨 사회적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다. 실기시험센터의 증설 역시 지난 3월, 의사국시 실기시험을 유출한 혐의로 ‘전국의대 4학
최근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에자티(Majjid Ezzati) 박사와 하버드 보건대학의 다네이(Goodarz Danaei) 박사 연구진이 의학학술지(The Lancet)에 발표한 연구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에 당뇨병 만연 및 발생 정도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하게 증가 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WHO의 후원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1980년 이후 당뇨병에 대한 전 세계적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에 세계 성인 당뇨 환자수가 3억 4,700만 명으로 이는 1980년보다 2배 증가한 수치이다.당뇨 발생 증가 결과, 매년 전 세계적으로 고혈당과 당뇨로 약 3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증가분의 70%는 인구 증가와 노화에 기인하고, 기타 30%는 질병 만연 현상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당뇨 비율이 1980년 남녀 각기 8.3%와 7.5%에서 2008년에는 9.8%와 9.2%로 증가했다. 이들 연구진은 당뇨병이 전 세계 각 지역마다 가장 흔한 질환으로 만연되고 있는 반면,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은 많은 지역에서 오히려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다네이 박사는 고혈당 당뇨 환자 검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의 식생활이나
JW중외그룹이 영업 마케팅, R&D, 관리직군을 포함한 정기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 JW중외그룹(대표 이경하)은 JW홀딩스와 JW중외제약에서 근무할 대졸 신입 및 경력사원 60여명을 모집한다고 28일 밝혔다. 모집분야는 ▲영업·마케팅 (ETC·헬스케어·진단시약) ▲개발 ▲생산 ▲관리 부문이다. 업무 특성 상 개발 분야는 영어 능통자를 우대하며, 위기관리 담당자는 관련 분야 경력 5년 이상이면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관리 부문에서는 홍보, 위기관리, 경영기획, 법제, 특허 등 다양한 직군의 인원을 선발한다.모집 기한은 오는 7월 8일까지며, 홈페이지(www.jw-pharma.c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된다. 서류 전형 이후에는 실무 및 임원면접 등의 채용절차를 거치게 되며, 최종합격자는 내달 개별 통보를 통해 발표될 계획이다. 이밖에도 JW중외그룹은 28일 경희대를 시작으로 다음달 5일까지 전국 주요 대학에서 채용설명회를 개최하고 우수 인재 영입에 적극 나선다는 전략이다. JW중외그룹 관계자는 “채용설명회, 채용트위터 등 지원자와의 적극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진취적 인재를 조기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올바이오파마는 개발 중인 개량형 항체분자인 ‘HL-036’이 지식경제부의 2011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바이오분야에서 항체 바이오베터 과제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한올바이오파마는 지경부로부터 5년간 47억5,000만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HL-036은 현재 비임상 시험 단계에 있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임상시험 진입 단계까지 추진될 것으로 알려졌다.한올이 개발 중인 HL-036은 ‘엔브렐’, ‘레미케이드’, ‘휴미라’ 등으로 많이 알려진 항 TNF 항염증 항체의약품을 개량한 것이다. 주사제가 아닌 점안액이나 경구용 제품으로 개발해 환자 편이성이 높으면서도 기존 치료제로 치료되지 못하던 국소염증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기존 항 TNF 항체의약품은 정맥주사나 피하주사를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제품의 경우 분자의 크기가 커서 피부나 눈, 소장, 대장과 같은 조직에는 약물이 잘 분포되지 않아 많은 양을 투약해야 하기 때문에 결핵 발병이나 패혈증세 유발과 같은 전신 부작용의 문제점이 있었다.HL-036은 항체 분자를 최적의 크기로 재설계한 후 한올의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