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7,991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의료계가 척추·근골격계 MRI 검사 건강보험 급여화를 앞두고 비급여 존치를 원칙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질환이나 재정, 환자규모 등을 고려해 제한적으로 급여를 인정하는 것은 검토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대한신경외과의사회 박진규 회장은 7일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생각을 밝혔다. 박 회장은 지난달 의협이 구성한 ‘척추·근골격계 MRI 검사 급여화 대응 협의체’ 위원장에 임명된 바 있다. 이날 박 회장은 “특위는 신경외과,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 등 5개과의 학회·의사회에서 위원을 추천받아 구성될 것”이라며 “특위는 이달내로 시작하게 된다. 비급여 존치를 원칙으로 하되, 제한적으로 급여를 인정하는 것도 검토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7년 8월 9일 발표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에 따르면 올해 척추 MRI, 내년 근골격계 MRI 급여화가 예정돼 있다. 그는 “재정이 어디까지 허락할지, 어느 수준까지 급여가 필요한지 등을 파악해, 복지부에 먼저 제안을 하려고 한다”며 “아직 기간이 있으니 질환, 재정, 환자규모 등 고려하고 외국사례 등을 철저히 분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
지난해(2019년) 전국 35개 대학병원들의 연구수익이 2018년 대비 5.3% 늘어난 6,074억원을 기록하며 6,000억원대를 돌파했다. 이 중 연구수익이 상승한 병원은 21곳, 하락한 병원은 14곳이었다. 여전히 서울대병원이 연구수익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10%(1,054억원→1,159억원) 상승해 입지를 더 견고히 했다. 분당서울대병원도 11.5%(400억원→447억원) 준수하게 상승했다. 이른바 BIG5 병원으로 불리는 곳 중 연세의료원 연구수익이 18.4%(416억원→492억원) 상승해 BIG5 병원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삼성서울병원은 0.7%(820억원→826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의 지난해 연구수익은 2018년(282억원)보다 –7.9% 감소했다. 고려대의료원의 연구수익도 –3.3%(272억원→263억원) 감소했고, 가천대길병원도 –12.7%(233억원→203억원) 떨어졌다. 특히 한림대의료원과 조선대병원, 아주대병원의 연구수익은 각각 –28.6%(40억원→28억원), -30.3%(8억원→5억 5,800만원), –36.4%(29억원→18억원)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국립대병원
올해 1분기 유비스트(UBIST)에서는 제약사 별 취급제품의 원외처방액(이하 처방액)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에 따르면 처방액이 200억이 넘는 주요 의약품 중 고혈압과 고지혈증 치료제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본지에서는 1분기 좋은 성적을 거뒀던 고지혈증 치료제 관련 내용을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편집자 주] ◆리피토, 원외 처방액에서 꾸준히 우수한 결과 보여줘 올해 1분기 처방액에서 화이자의 리피토는 469억원의 성적을 기록해 처방액 200억원 이상을 기록한 다른 고지혈증 치료제와의 큰 격차를 나타냈으며 처방액 2위로 집계된 표적항암제 ‘타그리소(239억원)’와는 약 2배 가량 앞서는 모습을 보임으로 처방액 강자의 모습을 여지없이 보여줬다. 회사 측은 리피토의 높은 성장 배경에 대해 “리피토는 현재까지 다양한 환자군 대상으로 진행된 다수의 대규모 임상을 통해 심혈관질환 개선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인된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딩 품목이다”라며 “국내에서는 1999년 출시 후 20년 동안 이상지질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 치료 개선을 함께 해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리피토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은 전 세계적으로 8만 명 이상의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8일(월)부터 장애인 치과 주치의 시범사업을 새로 실시하고, 기존 의과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을 내실화한 장애인 건강주치의 2단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장애인 치과 주치의 시범사업은 중증장애인이 주치의로 등록한 치과의사를 선택해 치아우식 등 구강건강상태를 지속적·포괄적으로 관리받도록 하는 제도다. 치아 건강은 삶의 질과 직결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장애인의 경우 근육강직 등으로 평소 치아관리가 어렵고, 치료 자체도 난이도가 높아 구강건강 수준이 전반적으로 열악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1년부터 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설치해 왔으나 상급의료기관 위주로 추진되고 있어, 장애인 치과 주치의를 중심으로 지역 치과병·의원에서 장애인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부산광역시, 대구 남구, 제주 제주시 거주 중증장애인 및 소재 치과 병·의원이 대상이 되며, 6월 8일부터 1년 간 운영할 계획이다. 장애인 치과 주치의는 중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 1회 우식·결손치아, 치석·치태 등 구강건강상태, 구강관리습관(칫솔질 방법 및 횟수, 흡연, 음주) 등을 평가하고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연 2회 불소도포, 치
이용호 의원(남원·임실·순창, 재선)이 5일 21대 국회 개원 후 제1호 법안으로 ‘공공의대법’을 대표발의했다. 국립공공의대는 2018년 폐교된 서남대 의대 정원을 토대로 감염, 응급, 외상, 분만 등 공공의료 전문가를 배출해 의료 인력의 심각한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 간 의료격차를 좁히기 위한 것으로, 국가 책임 공공보건을 위해 필수적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그 중요성과 시급성이 더 강조되고 있다. 공공의대는 이용호 의원이 서남대학교 폐교 대안으로 최초 제안했고, 2018년 민주당과 보건복지부가 전북 남원에 공공의대 설립을 발표했다. 당시 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현 원내대표)이 공공의대법을 대표발의하고 이용호 의원이 공동발의하면서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이용호 의원은 “20대 국회 말미에 통과직전까지 갔으나, 미래통합당 극소수 의원들과 의사협회의 반대로 임기만료 폐기됐다”며 “1호 법안인 이번 법안은, 보건복지위원회 검토보고 내용을 일부 수정 반영해 대표발의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의대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정과제이자 남원과 전북의 핵심 지역현안이다. 지역현안을 챙기고 총선 공약이행을 위한 21대 국회 첫번째 입법활동”이라면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이틀째 50명대로 집계됐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6월 7일 0시 현재, 신규 확진자가 57명 발생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만 1776명(해외유입 1292명(내국인 87.1%))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1명으로 총 1만 552명(89.6%)이 격리해제 돼, 현재 951명이 격리 중이다. 금일 추가 사망자는 없이, 누적 사망자는 273명(치명률 2.32%)이다. 유형별로는 지역발생이 53명, 해외유입이 4명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27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19명, 인천 6명, 검역 2명, 대구·울산·충북 1명씩 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101만 2769명 중 97만 4512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6481명이 검사 중에 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지난달 29일 이후 8일만에 50명을 넘어섰다. 격리 환자도 900명을 돌파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6월 6일 0시 현재, 신규 확진자가 51명 발생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만 1719명(해외유입 1288명(내국인 87.3%))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5명으로 총 1만 531명(89.9%)이 격리해제 돼, 현재 915명이 격리 중이다. 사망자 추가는 없으며 누적 사망자는 273명이다(치명률 2.33%). 신규 51명은 지역발생이 43명, 해외유입이 8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23명, 인천 11명, 경기 8명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누적의사 환자도 100만명을 돌파했다. 총 100만 5305명 중 96만 5632명이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2만 7954명이 검사 중에 있다.
간호조무사의 근무기관종별 고용형태 중 정규직 비율이 85.8%로 높은 데 반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74.2%로 상대적으로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최근 발표한 ‘근로환경 개선 등을 위한 간호조무사 활동 현황 및 활용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간호조무사 고용형태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이 25.8%로 높게 나타났다. ▲병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통합병동 15.9%, 재활병동 13.7% ▲종합병원은 통합병동 24.9%, 재활병동 50.9% ▲상급종합병원은 통합병동 39.1%, 재활병동 49.6%가 비정규직이었다. 간호조무사들의 근로환경 처우도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간호조무사들의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율은 54.9%였으며, 간호조무사가 근무하는 기관에 노동조합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90.5%, ‘승진제와 승급제도가 모두 없다’고 응답한 비중은 68.6%로 노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취약해 보였다. 임금분야에서는 종합병원과 의원 정규직 간호조무사의 월 평균 임금총액은 약 210만원, 총 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 정규직 평균은 약 202만원에 불과했다. 대신
상급종합병원의 중증환자 진료수가는 인상되고, 경증은 인하된다. 또 경증외래환자의 본인부담률이 기존 60%에서 100%로 조정된다. 아울러 안전한 진료환경 조성을 위한 비상경보장치 설치, 보안인력 배치 비용 등이 입원환자 안전관리료에 반영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5일 2020년 제9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의료전달체계 기능 정립을 위한 수가 개선 방안, ▲입원환자 안전관리료 수가 개선 등을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의료전달체계 기능 정립을 위한 수가 개선 방안 2019년 9월에 발표된 ‘의료전달체계 개선 단기대책’의 후속 조치로 의료전달체계 기능 정립을 위한 건강보험 수가 개선 방안이 심의․의결됐다. 우선 상급종합병원이 중증환자 위주로 진료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도록 중환자실 입원료, 다학제통합진료료, 입원 의료 질 평가지원금이 인상된다.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료는 10% 인상되고, 중환자실 간호사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인력 신고체계도 개선된다. 이를 적용하면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료는 간호1등급의 경우 38만 3000원에서 10% 인상된 42만 2000원이 된다. 인력신고체계는 기존 병원 내 전체 중환자실 인력을 합산해
코로나19 시국을 틈타 원격의료에 대한 찬반 여론이 분분한 가운데, 대한병원협회가 최근 의료계의 총의를 모으는 절차 없이 원격의료에 대해 ‘원칙적 찬성’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중소병원살리기 특별위원회(위원장 이필수)와 대한지역병원협의회(의장 이상운)는 5일 성명서를 내고 이 같은 병협의 독단적 행태에 강한 유감을 표하며, 병협이 기존 입장을 즉각 철회하고 대한의사협회와 원격의료 대응방향 재논의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TF는 “병협은 비록 ▲초진환자 대면진료 ▲적절한 대상질환 선정 ▲환자 쏠림현상 방지 ▲의료기관 역할 종별 차별금지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권 보장이라는 전제를 달았지만, 누가 봐도 원격의료를 병협이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원격의료가 가져올 위험에 충분히 대비하지 않은 채 섣불리 시행할 경우 국민 건강에 위중한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누차 경고해 왔다. 또한 국민 건강증진에 도움 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지도 않아, 그간 수차례 시도된 의료법 개정을 통한 원격의료 시행 논의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TF는 “정부도 국민의 편의성을 위한 원격의료 도입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시행을 위해서
한국바이오협회(회장 서정선)는 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주한 대사관 및 바이오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2020 주한 대사관 바이오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후원으로 개최된 이번 간담회는 2018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3회째이며 주한미국주정부 대표부 7곳과 스웨덴, 스위스, 독일, 아세안 국가 등 총 18개국의 대사관 및 관계자가 참석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대사관 관계자들은 각국의 코로나19 대응현황 공유와 한국 정부 및 기업과의 협력방안 등을 발표하며 기업의 관심을 끌었다. 해외 진출에 관심을 가진 기업 또한 적지 않았으며 국내 기업으로는 유한양행, SK바이오팜 등 37개 기업이 참석했다. 바이오협회가 내건 이번 간담회의 테마는 ‘COVID-19에 대한 각국의 대응 및 한국과의 협력’이다. 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위축된 경제여건에서 K-BIO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활로를 제시하기 위함이다”라고 본 간담회의 의의를 밝혔다. 서정선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 판데믹 와중에도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주제이다”라며 “오늘의 자리가 동남아국가와 신남방국가들과의 네트워크를 구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이 서울시가 지난 4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서울시 남산생활치료센터’ 의료지원을 수행한다. 보라매병원은 지난 3월 16일부터 서울시가 태릉선수촌 올림픽의 집에 설치해 운영해 온 ‘서울시 태릉생활치료센터’의 의료지원을 위해 ‘서울형 생활치료센터 의료지원단‘을 신설하고, 현장에 의료진과 행정인력 등 지원 인력을 파견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어, 최근 서울시 태릉생활치료센터의 운영이 종료됨에 따라 보라매병원은 서울시가 지난 4일부터 새로 운영에 돌입한 남산생활치료센터로 지원단을 파견해 의료지원을 이어나가게 됐다. ‘서울시 남산생활치료센터’는 코로나19 확진자 중 경증 및 무증상 환자의 관리를 담당하는 치료시설로,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서울유스호스텔 내에 마련됐다. 이곳에서 간호사와 행정인력으로 구성된 15명의 보라매병원 의료지원단은 입소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화상진료 및 상담, 검사와 투약, 증상 모니터링 등 기존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보라매병원 내에 설치된 중앙모니터링센터를 통한 화상 진료지원, 모바일 문진 애플리케이션 등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도 동일하게 운영한다. 김병관 원장은 “현재 코로나19
간호계가 3차 추경에 약속된 코로나 간호사 수당이 제외되고, 정부가 병원 경영난을 간호사 희생으로 타개하려 한다며 분개했다. 대한간호협회는 5일 이 같은 내용의 ‘한국에 간호정책은 없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간협은 “최근 정부가 내놓은 일련의 정책들을 보면서 전국의 44만 간호인들은 ‘간호 정책이 없다’는 실망을 넘어 분노까지 자아내고 있다”며 “대구 지역병원 간호사 3200명은 코로나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코로나 병동에서 일했다. 그러나 이들에게 돌아온 수당 등 보상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3차 추경에서 필요한 예산 311억원을 편성하겠다고 했지만 엊그제 정부가 발표된 추경 예산 35조 3000억원에는 쏙 빠졌다”며 “환자들을 돌본 간호사 수당을 누가 어떤 이유로 제외시켰는지 정부는 간호사와 국민들에게 직접 설명해야 한다. 간호사 수당예산 311억원은 전체 추경 예산안의 0.09%에 불과하다. 간호사에게 지급할 수당조차 이처럼 인색한 정부라면 앞으로 누가 감염병 환자를 돌보겠다고 나서겠는가”라고 토로했다. 최근 복지부 직제 개편안에서도 코로나 환자 곁을 24시간 지키며 바이러스와 싸웠던 간호사들을 위한 간호정책과 신설은 거론조차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조흥식)은 앞으로 3개월 동안 전문가·유관기관 및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중장기 의료급여 제도의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정책토론회를 통해 올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추진 중인 ‘제2차 의료급여 3개년 기본계획 수립 연구’안에 대한 전문가 견해 및 정책 실무자 의견을 사전 수렴할 계획이다. 또한 전문가·유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간 논의사항은 지역사회 중심의 의료급여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중장기 의료급여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첫 정책토론회는 6월 5일(금) 10시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해 ‘저소득층 의료보장 확대’, ‘지역사회 중심의 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이라는 주제로 기본계획 추진과제를 논의했다. 다음 토론회에서는 중장기 제도 개선이 필요한 과제의 추진 방향을 논의하는 한편, 앞으로 기본계획 연구 분과별로 종합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7월 중순부터는 권역별로 ‘찾아가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중앙 정책 연구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간 소통을 통해 지역별 의료급여 운영현황 및 정책 욕구를 파악해 ‘제2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5일 연속 30명 이상을 기록했다. 600명대까지 떨어졌던 격리 중 환자는 900명대로 근접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6월 5일 0시 현재, 신규 확진자가 39명 발생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만 1668명(해외유입 1280명(내국인 87.2%))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7명으로 총 1만 506명(90.0%)이 격리해제 돼, 현재 889명이 격리 중이다. 사망자 추가는 없으며 누적 사망자는 273명이다(치명률 2.34%). 5일 신규 확진자는 지역발생이 34명, 해외유입이 5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15명, 경기 13명, 인천 6명 등 수도권에 집중됐고, 경북 2명, 대구·충남·검역 각 1명씩 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99만 960명 중 95만 526명은 음성판정을 받았다. 검사 중 환자는 567명 늘어 현재 2만 8766명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5일 국립중앙의료원(NMC) 대강당에서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국립중앙의료원이 주관하는 코로나19 대규모 환자 발생 대비 ‘코로나19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 모의훈련’이 펼쳐졌다. 이번 훈련은 수도권 내 코로나19 대규모 감염 발생 시 행정 경계에 따른 의료공백 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병상 공동대응체계 구축계획’에 따라 처음 실시하는 모의훈련으로 시·도, 소방본부, 의료기관 등 관계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병상 공동 활용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훈련은 토론기반 도상훈련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 질병관리본부, 소방청, 시·도, 협력병원, 공동생활치료센터, 민간전문가 등 약 50여명이 참석했다. 모의훈련은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수도권 통합환자분류반 설치 운영 ▲병상 배정 ▲중증환자 이송 등 대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상황에 대한 기관 간 협력체계를 점검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도상훈련을 통해 확인한 문제점은 조별 발표 및 토의 시간을 갖고 개선사항을 도출했으며, 이는 향후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체계 세부 운영 지침’ 보완에 활용될 예정이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은 지난 3일 주한 미8군 19지원사령부와 코로나19 K-방역 시스템에 대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19지원사령부의 부사령관(John C. Brookie)과 미8군의 보건위생관 등이 참석했으며,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권기태 교수가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공동대응’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이날 강의는 △코로나19 연구 기반 치료 프로토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체계 △코로나19 관련 비상대응팀 구성 △중환자실 및 응급실의 코로나19 치료 시스템 개선 △음압 병동 운영법 △의료진 감염예방을 위한 지침 △드라이브스루 운영법을 주제로 진행됐다. 강의 후 △집단생활 감염환자 추적관리 및 진단법 △임상경험 △병원 내 방역관리 △한국병원과 미군과의 코로나19 대응방법에 대해 질의응답의 시간도 가졌다. 주한미군 부사령관은 “이번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의료진을 포함한 한국 의료진의 헌신적인 의료 행위에 경의를 표한다”고 전했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손진호 병원장은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적극 공유하는 등 현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서울의료원이 4일 가수 폴킴, 수안과 함께 의료진을 위로하고 응원하는 ‘서울의료원 잠시 멈춤 콘서트’를 진행했다. 현재 서울의료원은 1월 30일 첫 코로나19 확진환자를 진료한 것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전환한 후 100일간 총 403명의 코로나19 확진환자를 진료해왔고, 현재도 134명의 코로나19 확진환자가 입원해 있다. 코로나19 확진환자 진료를 맡은 의료진은 약 450명으로 감염예방 차원에서 의료원과 집을 오가는 생활만 하고 있다. 의료진 중 다수는 감염 차단을 위해 의료원에서 마련한 임시숙소에서 생활하며 가족을 자주 만나지도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의료원은 코로나19 전담병원 전환 100일을 맞아 의료진에게는 일상이 되어버린 코로나19 확진환자 진료에 ‘잠시 멈춤’을 주고 다시 나아가고자 이번 공연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특히 가수 폴킴과 수안이 무료로 참여해 더 특별했다. 병원 관계자는 “의료진을 위로하고 응원하기 위한 특별한 문화공연을 기획하던 중, 폴킴 측에서 ‘의료진에게 노래를 불러주고 싶다’고 먼저 제안해 왔고 함께 논의하며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또 “폴킴 측에서 음향장비도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자사의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치료제 ‘레파타(Repatha, 성분명: 에볼로쿠맙)’의 최신 치료 지견을 소개하는 온라인 기반의 학술 교류의 장 ‘리얼(REAL, REIMBURSEMENT IN ASCVD & FH PATIENTS FOR LIPID MANAGEMENT)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리얼 심포지엄은 올해부터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적응증에 급여 확대된 첫 PCSK9 억제제 레파타를 의료 전문가들에게 소개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경험 및 고민을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레파타 심포지엄은 2번의 강연 세션과 토론 및 질의응답 세션으로 구성돼 지난 4월 29일을 시작으로 7월까지 14회에 걸쳐 의료 전문가들과 교류하고 있으며 심포지엄의 진행을 위해 지역 별 심혈관계 질환 분야 의료 전문가 42명이 좌장과 연자를 맡았다. 첫 번째 강연은 ‘LDL 콜레스테롤 치료: 빠를수록, 낮을수록 더 효과적이다’를 주제로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지질 관리 현황과 치료에 있어 의학적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심혈관계 사건을 경험한 환자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지난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자사의 경구용 JAK 억제제 ‘린버크(Rinvoq, 성분명: 유파다시티닙, Upadacitinib)’가 하나 이상의 항류마티스제제(DMARDs)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성인의 중등증에서 중증 활동성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식약처 허가는 중등증에서 중증의 활동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4,443여 명이 참여한 5개의 제3상 SELECT 임상시험(SELECT-NEXT, SELECT-BEYOND, SELECT-MONOTHERAPY, SELECT-COMPARE, SELECT-EARLY)을 근거로 한다. 제3상 임상 결과 린버크는 단독 사용 혹은 기존의 합성 항류마티스제제(csDMARD)와 병용 시 위약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아달리무맙군 대비 낮은 질병 활성도(DAS28-CRP≤3.2)와 개선된 임상적 관해(DAS28-CRP<2.6) 도달율이 확인됐다. 린버크는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를 사용한 치료에 실패했거나 내약성이 없는 환자, 메토트렉세이트 사용 경험이 없거나 불충분한 반응을 보인 환자(MTX-IR, Methotrexate inadequ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