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47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보건복지부가 지원하는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National OncoVenture, NOV)은 신약 개발 전문가 단체인 ‘FEBPS(Foreign Experienced Korean Biotech/Pharmaceutical Societies)’와 공동으로 ‘NOV-FEBPS Anti-cancer Symposium’을 ‘국내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 (Korea Oncology Drug Pipelines)’이라는 주제로 오는 19일 오후 1시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KoNECT) 회의실에서 화상으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산학연·병원 물질제공 관계자가 직접 참여해 위 주제에 대해 가상신약개발모델 사업성과를 발표하고 정보를 교류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자로는 제넥신 박종섭 CMO, 메드팩토 황선진 전무, 유틸렉스 제훈성 연구소장, 다이노나 김정식 연구소장, 샐랩메드 송성원 대표, ABL바이오 유원규 연구소장, 아이디언스 이원식 대표, 온코닉 김정훈 대표, CMG 제약 김진성 연구소장, 인큐릭스 정경채 대표 등 국내 혁신 신약 개발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박영환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장은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의 사업기간 동안 물질제공자와 공동으로 신약개발을 진행하면서, 사
올해로 창립 40주년을 맞은 대한초음파의학회는 16일부터 17일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제51차 대한초음파의학회 학술대회 및 창립 40주년 기념식을 ‘From 1980 to the Future of KSUM’이라는 주제 하에 온라인 학술대회로 진행하고 있다. 1980년 5월 학회 창립 이후 1992년 아시아초음파의학회 학술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하고, 2006년에는 68개국에서 3000명 이상이 참여한 세계초음파의학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국제 수준의 학회로 성장했다. 2011년을 국제화의 원년으로 선포했고, 2018년에는 총 41개국 1800여명이 참석한 ‘AFSUMB 2018(아시아초음파의학회 학술대회)’을 성공적으로 개최해 국제학술대회로 자리잡았다. 총 25개국 1000여명의 초음파의학 관련 전문가들이 등록한 이번 학술대회는 실시간 접속자 수가 700~800여명을 유지할 정도로 높은 참여를 보이고 있다. 학회 기간 동안 복부, 근골격계, 두경부, 비뇨생식기계, 소아, 심혈관계, 유방, 물리 분야 등에서 초음파 관련 최신 지견을 포함한 초청 강의 156편, 구연 발표 35편이 열띤 토론으로 이어졌고, 73편의 전자 포스터 발표가 이루어졌다. 청중들은 Q&am
최근 20년 동안 팬데믹의 공포에 빠트린 전염병들이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 사스(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와 신종 독감을 거쳐 2015년 메르스(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를 겪으면서 전염병에 대해 많은 경험을 쌓고 있다.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COVID19가 인접국가인 우리나라에 2020년 1월 20일 처음 확진된 후 10개월이 지났다. 전염병은 심리학의 단계에서 시작해서 수학의 단계를 거쳐 의학의 단계에서 극복된다고 한다. 초기 전염병에 대한 정보가 없고 사람이 죽어 나갈 때 심리적으로 극심한 공포를 겪는다. 모든 생활이 정지되고 제한되는 락다운(Lockdown)이 시행된다. 심리학의 단계다. 시간이 지나면서 병에 대한 전염경로와 감염자에 대한 역학을 파악하며 심리학에서 수학의 단계로 넘어간다. 수학의 단계는 병에 대해 알게 된 의학 지식과 축적된 경험, 통계적 수치를 바탕으로 감염예방의 기준을 만들고 이를 활용하여 제한된 생활을 회복해 간다. 마지막 의학의 단계는 백신과 치료약이 개발되거나, 일명 집단면역으로 불리는 허드 면역(herd immunity)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오늘(17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405건의 안건을 처리한다. 2021년도 예산안을 비롯해 사회서비스원 설립 공청회 개최, 2건의 청원과 399건의 법률안도 상정될 예정이다. CCTV 설치, 의료인 면허관리 강화 등 18·19일 양일간 법안소위에서 심사될 법안들에 대해 보건의료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본지는 이번에 상정되는 보건의료분야 주요 법안들을 정리해 봤다. [편집자 주] 의료법=김남국 안규백 의원이 발의한 수술실 CCTV 설치법이 상정됐다. 박재호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요양병원 CCTV 설치 의무화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전혜숙 의원의 개정안은 의사·치과의사·약사(약사법)가 의약품 처방·조제 시 의약품정보를 확인을 위해 DUR 활용을 의무화했다. 강선우 박주민 강병원 권칠승 의원 등이 발의한 성범죄, 강력범죄 등을 저지른 의료인의 자격을 정지하는 내용의 개정안은 다수가 상정됐다. 이밖에도 양향자 의원의 수술설명 의무화, 정춘숙 의원의 비급여 관리 강화, 김상희 의원의 쇼닥터 방지, 최혜영 의원의 산부인과의 여성의학과 명칭 변경, 이종성 의원의 의료인 및 의료기관 종사자 예방접종 의무화 등이 법안소위로 회부될 예정이다. 약사법=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모두 매출액은 상승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로 확인됐다. ◆일동홀딩스, 매출액 1534억원 달성…전기 대비 4.2% 성장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534억원, 영업이익 -62억원, 당기순이익 -53억원이다. 2분기 매출 1473억원에 비해서는 4.2% 올랐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3분기에 마이너스 실적으로 전환되면서 적자 전환을 면하지 못한 모습이다. 작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273억원, 영업이익 -103억원, 당기순이익 -31억원이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20.5%, 영업이익은 40.0% 올랐으며 당기순이익은 67.8% 감소했다. ◆일동제약, 매출액 1465억원 달성…전기 대비 6.8% 성장 일동제약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465억원, 영업이익 55억원, 당기순이익 10억원으로 확인됐다. 지난 2분기 실적과 비교하면 매출액 1373억원에서 6.8% 상승했으며, 영업익 72억원에서 23.3%, 당기순이익 60억원에서는 82.6% 하락했다. 작년 3분기 매출액은 1296억원으로 올해 3분기에 13.1%나 상승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4000만원, -49억원에서 올해 흑자 전환에
부산대병원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아왈브로스병원(PT Famon Awal Bros Sedaya)과 끄나리병원(RSIA Kenaria Graha Medika)에 ICBM 기반의 원격협진시스템 구축을 완료 했다고 16일 밝혔다. ICBM이란 기본적으로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로 이를 모바일 기기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5월 보건복지부 ‘2020년 ICT 기반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시범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되면서 ㈜IRM, ㈜딥노이드, (주)하이웹넷과 컨소시엄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코로나19로 해외 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현지에 직접 방문해 원격협진시스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원격협진시스템이란 현지 병원에서 실시된 혈액 및 소변검사, 혈압, 혈당, 영상자료 등 각종 기초 검사결과 데이터를 국내 의료진이 원격으로 확인해 병명 진단이나 치료방향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지 병원에 원격의료 장비와 Web-PACS, 인공지능 원격판독시스템을 구축해 인도네시아의 의료기관과 의료인, 환자에게 국내의 우수한 의료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조혈모세포이식을 앞둔 혈액질환 환자에서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공존할 경우 생존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관리를 통해 난치성 혈액질환의 현존하는 유일한 완치법인 조혈모세포이식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임현국 교수 연구팀(뇌건강센터 왕성민 교수,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 가톨릭대학교 임상약리학과 한승훈 교수)은 2002년부터 2018년 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조혈모세포이식치료를 받은 혈액질환 환자 총 7170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분석했다. 조혈모세포이식 전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를 동반한 환자들은 5년 생존율이 각각 59.4%와 60.0%였다. 두 장애가 없는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71.5%로 나타났다. 반면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동시에 있을 경우 5년 생존율은 55.5%로 현저히 낮아져 사망률이 없는 경우에 비해 약 1.2배 높았다.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악성 혈액질환으로 알려진 백혈병 환자의 사망 예측과 관련된 생존율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불안장애와는 상관없이 우울증이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주요 위험인자임을 발견했다. 또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11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천안함생존자예비연전우회와 공동주관과 국민의힘 이명수, 윤창현 의원 주최로 보훈정책 혁신 국회세미나를 개최했다. 지난 2월과 6월 두 번의 보훈정책 혁신 세미나에 이어 3번째 열린 이번 세미나는 국가유공자 지정에 있어 의사자(사회적 의인)를 비롯해 경찰, 소방, 해양경찰 등 공무원 사상자까지 국가유공자 지정을 확대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관련 전문성과 유공자 지정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제를 중심으로 열렸다. 故임세원 교수 의사자 인정을 계기로 의사상자와 경찰, 소방 등 공직자까지 아우르는 보훈정책 혁신에 관한 서울대 김석호 교수의 발제는 우리 사회적 보훈 개념 도입과 제도 확대 문제를 제기했다. 김석호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의인에 대한 개념이 아직 불명확한 상황에서 의사자 인정에 대한 논란과 소송이 있어왔고, 이로 인해 타인을 위해 희생해도 아무런 보상도 기대할 수 없다는 냉소주의의 확산을 염려했다”며 “향후 보훈처와 복지부로 나뉜 시스템을 일원화하고 심사위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시민의 참여를 보장해 공공성을 제고하고 인정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켜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어 2018년 천안
㈜휴온스네이처(대표 천청운)의 건강식품 브랜드 ‘트리뮨(TRIMMUNE)’이 국내산 6년근 홍삼을 맛있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트리뮨 면역홍삼 젤리스틱’을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트리뮨 면역홍삼 젤리스틱’은 국내산 6년근 홍삼농축액과 홍삼분말에 사양벌꿀, 감초농축액 등이 배합돼 홍삼 고유의 진한 맛과 달콤함을 탱글한 젤리 형태로 즐길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다. 스틱 한 포에 홍삼의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가 6mg(일일권장섭취량 20g 기준)을 함유해 하루 한 포로 면역력증진∙피로개선∙항산화 등 홍삼의 기능성을 챙길 수 있다. 이 밖에도 휴온스네이처는 홍삼 고유의 맛과 향, 기능성을 충분히 느끼길 원하는 이들을 위해 프리미엄 홍삼정 ‘트리뮨 진홍삼정 24 데일리’를 선보인다. ‘트리뮨 진홍삼정 24 데일리’는 100% 국내산 6년근 홍삼만을 진하게 농축한 진액으로, 하루 한 스푼씩 그대로 섭취하거나 따뜻한 물에 타서 차로도 즐길 수 있다. 홍삼 건강기능식품 선택의 지표가 되는 ‘진세노사이드’가 24mg(일일 권장량 3g 기준)이 함유돼 환절기에 저하되기 쉬운 면역력 증진과 피로 개선,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개선, 기억력 개선, 항산화
러시아 국부펀드(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이하 RDIF)와 한국의 바이오테크 기업 지엘라파(GL Rapha)가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백신으로 등록된 스푸트니크 V(Sputnik V) 백신을 한국에서 연간 1억 5천만회분 이상 생산하는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오는 12월 스푸트니크 V 백신 생산을 시작해 2021년 1월 스푸트니크 V를 출시, 전세계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러시아에서 실시한 스푸트니크 V 백신 3상 임상의 1차 중간 분석에 따르면, 20건의 코로나 19 확진 사례 중 백신 접종을 받은 군과 위약을 투여 받은 군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92%의 효과를 보였다. 러시아에서 현재 4만명의 지원자가 이중 눈가림,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 시험으로 이루어진 3상 임상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2만명 이상이 스푸트니크 V 1차 접종을 마쳤고 1만 6천명 이상이 2차 접종까지 마쳤다. 전세계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약 12억 회분 이상의 스푸트니크 V 백신 공급 요청이 있었으며, 해당 백신은 한국, 인도, 브라질, 중국 등에서 RDIF 글로벌 파트너들이 생산할 예정이다. RDIF는 이들 파트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한종현)는 최근 동아쏘시오그룹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마솥(GAMASOT)’이 ‘2020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Spotlight Awards)’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동아쏘시오그룹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마솥(GAMASOT)’은 동아쏘시오그룹의 재무∙비재무적 성과와 사회적책임 이행을 위한 노력들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지난 7월 처음 발행됐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마솥(GAMASOT)’은 국제 가이드라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에 따라 작성됐으며, 조직문화, 사회, 환경분야 등의 내용이 담겼다. '스포트라이트 어워드(Spotlight Awards)'는 세계적인 홍보, 마케팅 조사기관인 LACP(League of American Communica-tion Professionals,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가 주관하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제작물 경연대회다. 애뉴얼리포트, 브로슈어, 영상, 뉴스레터 등 기업에서 발행하는 각종 간행물을 대상으로 11개 분야에서 최고의 작품을 선정한다. 올해에는 500여 개의 출품작이
1형 당뇨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시작된 SNS 기반 캠페인이 성황리에 종료됐다. 대한당뇨병연합은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 등 온라인을 기반으로 진행한 ‘1형 당뇨병 바로 알기 챌린지’ 캠페인이 총 365개의 인증사진을 비롯해 약 5만 3000명의 참여 및 공감을 이끌어내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16일 밝혔다.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10월 7일부터 지난 13일까지 약 한 달여간 진행된 이번 캠페인은 사회적인 오해와 편견이 만연한 1형 당뇨병을 바로 알리기 위해 시작됐다. 검지를 들어 1형 당뇨병의 숫자 ‘1’을 표현한 사진을 SNS 계정에 올리는 이번 캠페인의 최초 주자로는 ▲대한당뇨병학회 윤건호 이사장 ▲대한소아내분비학회 황진순 회장 ▲대한당뇨병연합 오한진 자문위원 ▲한국소아당뇨인협회 홍보대사 가수 조권 ▲개그맨 정태호가 참여했으며, 이후 의료진, 연예인은 물론 스포츠 선수, 보건 교사 및 일반인에게 확대됐다. 특히 이번 캠페인은 소아 청소년 시기 1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장학금 마련으로 연결되어 더욱 큰 의미를 가졌다. 연속혈당측정기(CGM), 센서 연동 인슐린펌프(SAP) 등을 생산·판매하는 의료기기 기업인 메드트로닉(Medtron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는 13일 노인센터 5층 대강당에서 ‘2020년 암관리사업 성과보고회 및 우수사례 평가대회’를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매년 개최해 온 다양한 사업주체의 2020년 암관리사업 실적을 공유하는 성과보고회와 올해 처음 개최된 우수사례 평가대회로 나누어 진행됐다. 성과보고회는 윤환중 원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김제룡 대전지역암센터소장, 정진규 대전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장, 정해교 대전광역시 보건복지국장의 축사로 ▲암관리사업 실적(대전지역암센터 정지윤) ▲대전충남지역암등록사업 실적(대전충남지역암등록본부 김강산) ▲대전암생존자통합지지사업 실적(대전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홍은정) ▲권역호스피스사업 실적(권역호스피스센터 김은숙)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 실적(호스피스완화의료팀 김은정) 순서로 진행했다. 우수사례 발표는 ▲대전지역암센터의 보건소 협업 암관리 실적(대전지역암센터 김소영) ▲건강검진 덕분에, 더! 건강하게 비대면형 플랫폼(국민건강보험공단 하태운) ▲존엄한 생애말기 지원 사업 활성화(대전보훈병원 한수희) ▲대전시 자치구별 지역암관리 계획 수요자 조사를 통한 설계(5개구 보건소) 순서로 진행했다. 윤환중 원장은 “대전광역시의 든든
베르티스(대표 한승만)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금융위원회가 정부 5개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와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기업 1000개를 선정,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여러 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베르티스는 보건복지부의 자체 심사를 통과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건강∙진단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향후 대출∙보증∙투자 등 적극적인 금융 지원과 경영, 재무관리,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받게 됐다. 베르티스는 프로테오믹스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해 암 및 각종 주요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 마커를 개발하고 이를 진단 서비스로 제공하는 기업으로, 유방암을 92%(특허 기준)의 정확도로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혈액 검사법 ‘마스토체크(MASTOCHECK)’가 대표 서비스다. 마스토체크는 혈액으로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대표 유방암 검진법인 X선 촬영에서 낮은 정확도를 보이는 치밀 유방의 경우에도 정확도가 유지돼 유방암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일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올해 초 갑작스럽게 발생한 코로나19 감염증은 빨리 끝나기를 바라는 모두의 바람과 달리 1년 가까이 그 확산세를 유지하며 전 세계적인 팬데믹이 되었다. 지난 2월 영남대병원이 소재한 대구 지역에서는 특정 종교단체로부터 집단 감염이 발발하여 무서운 속도로 확산해갔다. 이에 영남대병원은 늘어나는 검사 수요에 대응하고자 2월 26일 오전 8시 30분부터 드라이브 스루(YU Thru) 선별진료소 운영을 시작했다. 기존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며 느꼈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의견을 모았고, 감염의 우려를 최소화하고자 커피나 패스트푸드 체인점 등을 이용할 때 고객이 매장 내부에 입장할 필요 없이 차를 탄 채로 주문에서부터 메뉴 수령까지 한 번에 이뤄지는 시스템인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을 차용하기로 했다. 설치 당시 참고할 사례가 많지 않아 설치 위치와 각 단계의 순서 배치, 결제 방식 등 여러 의료진의 논의 끝에 ‘YU Thru’가 탄생했다. 기존에도 드라이브 선별진료소가 운영되고 있었으나 접수부터 진료, 수납, 검체 채취까지 차 안에서 내리지 않고 원스톱 시스템을 적용한 것은 영남대병원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의료진과 환자, 환자간의 교차 감염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중견 제약약사들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대한뉴팜, 국제약품, 알리코제약, 삼일제약을 2020년 누적 매출액이 높은 순서대로 알아보고, 3분기 실적을 2분기 실적 및 작년 3분기 실적과 비교해본다. ◆대한뉴팜, 3분기 매출액 395억으로 1위…2.1% 상승 대한뉴팜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95억, 영업이익 74억이며, 당기순이익은 -11억으로 적자다. 2분기 매출액 387억과 영업이익 66억에 비하면 각각 2.1%, 12.6% 올랐으며, 당기순이익은 38억에서 130.3% 줄어들었다. 작년 실적은 매출액 321억, 영업이익 53억, 당기순이익 31억이었다. 올해와 비교하면 각각 23%, 40.1% 올랐고 당기순이익만이 137.1% 하락해 아쉬움을 자아낸다. 현재 수액 대표기업으로 자리잡은 대한약품은 골다공증, 천식 등의 제네릭을 통해 파이프라인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국제약품, 3분기 매출 334억…작년보다 3% 하락 국제약품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34억, 영업이익 12억, 당기순이익 6억으로 확인됐다. 저번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345억에서 3.0% 하락했으며, 영업이익은 11억에서 4.9%, 당기순이익은 2억에서 155.2% 상승한 셈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세 자리수에 머물고 있다. 수도권에서만 12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3만 6000명 이상이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1월 1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6명, 해외유입 사례는 32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만 8546명(해외유입 4136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55명으로 총 2만 5691명(90.00%)이 격리해제돼, 현재 236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56명이며,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493명(치명률 1.73%)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81명, 경기 41명, 인천 2명, 강원 19명, 광주 7명, 충북 8명, 충남 5명, 경북 2명, 경남 3명이 발생했다.해외유입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18명, 지역단계에서 14명 확인됐다. 국적은 내국인 22명, 외국인 10명이었다. 누적의사환사 278만 6878명 중 272만 1954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3만 6378명이 검사 중에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지난 12일 JW 메리어트 호텔(서울 반포동 소재)에서 ‘제17기 건강보험심사평가 최고위자과정(H.E.L.P., HIRA Executive Leadership Program)’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수료식에는 H.E.L.P. 제17기 수료생, 총동문회 동문, 심사평가원 임원 및 실장단 등 80여명이 참석해 수료를 축하했다. 제17기 수강생들의 수료패 수여와 17기 대표인 서동삼 세원셀론텍(주) 본부장 등 임원진의 공로상, 우수 수강생의 시상이 이어졌다. 김선민 원장은 축사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등 어려운 상황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 제17기 수료생들의 열정과 화합에 박수를 보내고, 오히려 함께 극복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심평원의 가족으로서 발전적이고 긍정적인 관계가 지속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올해로 17기쨰 67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한 심평원의 건강보험심사평가 최고위자과정은 5월 7일 첫 강의를 시작으로 6개월 14차수의 과정 동안 보건의료정책, 약제관리,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외부인사 특강 등 다양한 보건의료 주제와 자유토론으로 진행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200명에 육박하며 70일만에 최고치로 집계됐다. 수도권에서만 113명이 발생한 가운데 격리환자는 2100명을 돌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1월 1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2명, 해외유입 사례는 29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만 8133명(해외유입 4065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33명으로 총 2만 5537명(90.7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108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50명이며,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488명(치명률 1.73%)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74명, 경기 36명, 강원 23명, 전남 9명, 충남 7명, 광주 5명, 인천 3명, 경남 2명, 대구·세종·제주 각 1명씩 발생했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14명, 지역사회단계에서 15명 확인됐고, 국적은 내국인 7명, 외국인 22명이었다. 누적 의사환자 276만 1411명 중 270만 3159명은 음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3만 119명이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울산대학교병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12일 발표한 제2차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성과평가에서 최고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울산대병원은 지난 2019년 첫 발표된 제1차 평가에 이어 올해도 만점에 가까운 99.41점으로 A등급을 받으며 2회 연속 평가 최고등급을 받는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5개 평가 영역 중 ▲자료 제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참여율 ▲간호 인력 처우 개선 지원 정도 ▲제공인력 배치 기준 준수율 4가지 항목에서 모두 만점을 받았다. 이번 평가에서 전체 병원 평균이 82.5점으로 대부분 병원이 B등급을 받는 가운데 만점에 가까운 성적으로 높은 수준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환자들에게 제공하며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울산대병원 김정미 간호본부장은 “우수한 간호 인력을 통해 환자들에게 최상의 간호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2회 연속 최고등급으로 인정받았다”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실의 증설을 통해 더욱 수준 높은 서비스를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한편, 간호사들에게도 근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울산대병원은 간호간병통합병동을 2016년 첫 시행 후 매년 확대해 현재는 총 12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