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47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인구정책실 인구정책총괄과장 임숙영(보건산업정책국 보건산업정책과장 부이사관) 일자 2020. 3. 5.
명지병원(이사장 이왕준)이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따라 진료 대응 단계를 기존 4단계에서 5단계로 격상, 입원환자 전수에 대해 입원 전 RT-PCR 검사를 시행하는 등 좀 더 촘촘한 대응 체계를 갖추고 나섰다. 명지병원은 그동안 안심외래진료, 선별진료소, 폐렴안심병실, 일반 진료 등의 다학제 4단계 진료체계를 운영해 왔으나, 2일부터는 한 단계를 추가, 입원환자가 입원 예정일 하루 전에 안심외래를 방문, RT-PCR 검사를 실시하고 음성판정을 받은 환자는 일반 병실로, 양성 환자에 대해서는 음압격리병실로 각각 입원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입원 예정 환자는 코로나19 검사 후 자가 대기를 하게 되는데, 당일 긴급 입원 또는 지방 환자의 경우에는 별도로 분리된 입원선별병동(ASU: Admission Screening Unit)에서 검사 결과를 기다리며 입원 대기를 하게 된다. 이와 함께 기존의 폐렴안심병실이 폐렴감시병동(PSU: Pneumonia Survaillance Unit)으로 변경되면서 E2에서 E3병동으로 이동했다. 기존의 입원환자 중 코로나19 검사가 되어있지 않은 환자 중 폐렴 증상이 발견되면 폐렴감시병동(PSU)으로 전동 후 RT-P
존슨앤드존슨메디칼은 에티콘(Ethicon) 사업부가 ‘세계 비만의 날(World Obesity Day)’을 맞아 전문 기관과 함께 비만 및 치료에 대한 오해와 병적비만 환자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비만 예방과 치료에 큰 걸림돌이 되며 비만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대한 접근방법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전했음을 4일 밝혔다. 에티콘은 지난 20년 동안 기술 혁신, 주요 연구, 교육, 정책, 지지 활동 등을 후원하고 치료 장벽을 허물며 비만대사수술과 과학적 연구 및 치료 진전을 위해 기여하고 있다. 한국에서 3년 동안 발생한 비만대사수술 관련 온라인 키워드 10만여개를 수집〮분석해 오는 6월 종합 보고서를 발행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비만대사수술은 고도비만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장기적 치료법으로 입증됐는데 체중 감량과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수면 무호흡증 등 여러 질환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며 “에티콘은 비만대사수술에 대한 인식수준을 진단하고 환자가 필요한 내용을 파악해 눈높이에 맞는 교육자료를 개발함으로 병적비만 환자가 적절한 시기에 치료 받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유병재 한국존슨앤드존슨메티칼 대표이사는 “2018년 보건복집 ‘국가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병원장 이문수)은 오는 13일부터 응급실 옆 제5주차장을 폐쇄하고 16일부터 철거를 시작한다. 제5주차장은 그동안 응급 환자와 외래 환자에게 큰 주차편의를 제공해왔던 주차용적 158대 규모의 주차타워다. 이번 주차타워 철거는 순천향대천안병원의 새 병원 착공과 도로 확장(2→4차선)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 하지만 적지 않은 주차용적의 감소는 환자들의 주차불편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병원은 주차불편 해소를 위해 새 병원 부지를 착공 직전까지 환자전용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발렛파킹 서비스 규모도 61대에서 110대로 늘리기로 했다. 그밖에 다른 2곳의 주차타워(제1, 제2주차장)에는 이면주차를 허용함으로써 부족한 주차용적을 보충하고, 각 층에는 유도직원도 둬 주차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이문수 병원장은 “주차장 철거로 환자 여러분께 불편을 드려 송구하다”면서, “지역사회의 자부심이 되는 최고의 새 병원 건립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건양의대 내과학교실 배장호 교수가 건양대 의과대학 제16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배장호 신임 의과대학장은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내과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메이요클리닉에서 연수했다. 지난 2000년부터 건양대병원에 근무하면서 내과부장, 교육수련부장 등의 주요 보직을 거쳐 진료부원장 겸 심장혈관센터장으로 재직해왔다. 또 대한심장학회 연구이사, 대한심혈관중재학회 기획이사, 대한심장학회 대외협력위원,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회 비상임정부위원 등을 역임하고 심장질환 국제서적을 비롯해 150편 이상의 논문을 발간하는 등 활발한 연구와 대외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심장내과 교수로서 관상동맥조영술 3만례 이상,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5천례 이상 집도 경험 등 심장질환 치료의 세계적 대가로 알려져 있다. 배장호 학장은 “건양의대가 한 단계 도약할 중요한 시기에 의과대학장을 맡게 되어 책임이 막중하다”라며,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통해 우수한 의료인을 양성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기는 2020년 3월 1일부터 2년이다.
알보젠코리아(대표이사 이준수)는 초저용량 경구피임약 ‘머시론’이 ‘세계 여성의 날(3월 8일)’을 맞아 여성 소비자의 건강한 일상을 응원하기 위해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에 1천만원 규모의 기부금을 전달했다고 4일 밝혔다. 기부금은 저소득 미혼모 가족의 자립을 돕는 CSR 브랜드 ‘헬로우 헬시 맘(Hellow! Healthy Mom)’의 일환으로 임신∙출산∙양육 과정 중 경제적인 자립과 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에게 아이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전달된 후원금은 한부모 가정을 대상으로 ▲보증금과 월세 등의 주거비 ▲본인 및 자녀 위한 긴급 의료비 ▲양육 물품 구매비 등을 지원하는 형태로 활용될 계획이다. 머시론 PM 김혜빈 차장은 “엄마 혼자서도 아이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일조하고자 기부금을 전달하게 돼 더욱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머시론은 모든 여성의 다양한 선택과 건강한 삶을 지지하는 브랜드로 나눔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알보젠코리아는 지역사회 어려움 해결과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 지원을 위해 2019년 5월 CSR 브랜드 ‘Hellow(헬로우)’를 론칭했으며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서울의 상급종합병원들이 코로나19 조기 종식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서울대병원은 기존 진료량을 줄여 인력·병실을 확보, 대구·경북 환자 치료를 위한 병동을 운영하고, 세브란스병원과 고려대학교의료원은 의료인력을 직접 파견했다. 서울대병원은 4일부터 기존 병상 약 50개를 위기대응병동으로 바꿔 대구·경북에서 수술과 시술이 필요한 환자를 받아 치료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최근 기존 진료량을 30% 감축해 의료진과 병실을 확보했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확진자가 4000명을 넘어가면서 대구·경북 지역은 의료기관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현재 상황에서 큰 문제 중 하나는 암‧심혈관계 질환 등 중증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이다. 감염보다 훨씬 더 위급하고 치료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입원 순서에서 뒤처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정승용 진료부원장은 “대학병원의 본연의 역할은 중증 희귀난치질환 치료다. 감염병으로 인한 위기상황은 맞지만 정작 치료가 급한 환자를 외면할 수는 없다”고 운영 취지를 밝혔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주말동안 기존 병실 리모델링을 마치고 관련기관과 협의해 환자를 이송 받을 계획이다. 위기대응중환자실 10병상과 외과계 위기대
제약계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지원의 손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특히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된 대구·경북 중 확진자가 2705명(3월 3일 기준)으로 전국 코로나19 확진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대구에 대한 응원과 지원의 물결이 계속되고 있다. 국제약품은 보건용 마스크 3만장을 대구시청에 지원했다. 동아쏘시오그룹은 7천만원 상당의 다양한 구호물품을 기부했다. 보령홀딩스는 마스크 3만장과 비접촉식체온계 300개를 대구 의료진에 전달했다. 셀트리온그룹은 대구지역에 4억원의 성금을 전달했다. 한국콜마는 대구 지역에 손소독제 1만개를 전달했다. ◇국제약품, 보건용 마스크 3만장 지원 및 생산 증대로 마스크 부족 현상 해소 나서 국제약품은 자체 생산하고 있는 마스크를 전달하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 경북 지역 지원에 나섰다. 공적판매 물량의 수급생산량과 밀려드는 주문량에도 불구하고 생산시간 연장을 통해 마스크 부족 현상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마스크 수급에 어려움을 겪던 대구시청에는 보건용 마스크(KF94) 3만장을 긴급 지원했다. 국제약품 관계자는 “국민이 대구 경북지역의 어려움에 힘을 보태는 지금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릴 수 있어 기쁘다”며
한미약품은 진통소염 복합신약 ‘낙소졸’의 임상 4상 결과가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국제 학술지 ‘PLOS ONE(Jan 2020)’에 등재됐다고 3일 밝혔다. PLOS ONE은 2004년 간행된 글로벌 학술지로 세계 207국에서 발간된 219개 연구 영역의 논문 20만여건이 등재돼 있다. 본 임상 4상 연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문성환 교수(정형외과)가 책임연구자를 맡고 국내 8개 센터에서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로 진행됐으며 한국인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범용적인 진통소염 단일제 ‘Celecoxib’와 낙소졸을 비교해 12주간 위장관 증상 예방효과(LDQ, GSRS), 통증 개선효과(VAS), 삶의 질(EQ-5D), 안전성 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낙소졸 투여군이 Celecoxib 대비 모든 평가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동등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진통소염 효과와 위장관계 부작용 조절 효과도 확인됐다. 회사 관계자는 “낙소졸에는 한미약품만의 차별화된 제제기술이 함축됐으며 방출지연, 차광 등 기능을 가진 총 6겹의 고난이도 기능성 마이크로 코팅 기술도 적용됐다”며 “관절염 통증 개선 효과는 유지하면서 심혈관계 위험성 및 위장관계 부작용은
◆국내 발생현황확진환자 4812명사망자 28명 ◆국외 발생현황감염 환자 85996명(사망 3082명) 보고 아시아:중국 80151명(사망 2943)홍콩 101명(사망 2), 대만 41명(사망 1), 마카오 10명, 일본 268명(사망 6), 싱가포르 108명, 태국 42명(사망 1), 말레이시아 24명, 베트남 16명, 인도 3명, 필리핀 3명(사망 1), 캄보디아 1명, 네팔 1명, 러시아 3명, 스리랑카 1명, 아프가니스탄 1명, 파키스탄 4명, 인도네시아 2명 중동:이란 1501명(사망 66), 쿠웨이트 56명, 바레인 47명, 아랍에미리트 21명, 이라크 19명, 오만 6명, 레바논 10명, 이스라엘 7명, 이집트 2명, 알제리 1명, 카타르 3명 아메리카:미국 69명(사망 1), 캐나다 24명, 브라질 2명, 멕시코 5명, 에콰도르 1명, 도미니카공화국 1명 유럽:이탈리아 2036명(사망 52), 독일 157명, 프랑스 191명(사망 2), 영국 43명, 스페인 114명, 오스트리아 18명, 크로아티아 7명, 핀란드 6명, 스웨덴 15명, 스위스 30명, 벨기에 1명, 덴마크 5명, 에스토니아 1명, 조지아 3명, 그리스 7명, 북마케도니아 1명,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는 2일 지오영(대표이사 회장 조선혜)과 백제약품(대표이사 회장 김동구)이 참여한 가운데 공적 마스크의 약국 공급 원활화 방안에 대해 협의하는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본 간담회에는 김대업 대한약사회장의 주재로 지오영 조선혜 회장과 안희석 부사장, 백제약품 김동구 회장과 김안식 사장, 이광민 대한약사회 정책기획실장이 참석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지오영과 백제약품이 당일 확보한 공적 마스크 물량을 오후 5시까지 약사회 상황실에 보고하면 상황실에서는 익일 공급될 지역과 물량을 결정해 통보하기로 했다”며 “그 후 양사는 오후 10시까지 당일 공급내역(공급 약국, 수량 등)을 식약처 마스크 T/F 및 약사회 상황실로 보고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양사는 전국 23000여 모든 약국에 거래 유무 상관없이 동일 조건과 동등 수량〮가격으로 공급하게 된다”며 “약국은 국민에게 1인 5매 이내로 1매당 1500원 이하에 공적 마스크를 판매하며 마스크 선택 요령, 올바른 착용법, 코로나 예방 행동 수칙을 안내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매일 240만 매의 마스크 공급이 약국을 통해 이뤄진다고 해도 수요를 충족시키기 역부족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가 미국 의학 분야 논문평가기관인 엑스퍼츠케이트(Expertscape)에서 정형외과 연구분야 최고전문가(expert)로 선정됐다. 엑스퍼츠케이트는 펍메드(PubMed)에 등록된 의학 관련 연구 논문을 데이터화한 후 분야별로 전문성을 평가해 상위 1%로 꼽히는 성과를 낸 연구자를 최고전문가(expert)로 선정한다. 이번 결과는 지난 2010년부터 10년간 발표된 5만 3000여 편의 생의학 논문을 평가한 결과로, 정석원 교수가 상위 0.082%로 세계 엑스퍼츠(experts) 2020으로 선정됐다. 정석원 교수는 그간 SCI급 학술지에 80편이 넘는 논문을 게재했다. 특히 회전근 개 파열 및 어깨 관절 불안정증, 스포츠 손상에 대한 임상 연구와 함께 근노화 관련 근위축 및 근육지방변성과 재생에 대한 지속적인 기초 연구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에는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근육 변성에 있어 흡연이 미치는 유전자 변화 양상’을 주제로 대한관절경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연제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대한정형외과학회 젊은 과학자상, 대한견주관절학회 젊은 연구자상, 미국견주관절학회 최고 학술상인 ‘니어 어워드(Neer Award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병원장 최정윤)은 2일 원내 간호사 등 직원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현장 의료인력의 현재 상황’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관리병동(음압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본원은 현재 중환자를 위한 9개 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8시간씩 3교대로 일하고 있다”며 “중환자가 예견된 문제가 있는데 비해 코로나19 환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고 급박한 상황의 연속이라 하루가 지나는 것도 모를 정도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레벨D 방호복을 입고 작업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5배는 힘이 든 편이며 생리현상의 경우 해결이 불편해 수분섭취도 최소화하고 있다”며 “양압 보조기와 고글 착용 등 별도 장비 착용으로 통증과 불편함을 느끼지만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새로운 업무로 인한 숙련도 감소로 환자분들에게 손해가 될까 걱정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환자들이 중증 상태인 만큼 진정제 사용과 인공호흡기를 착용시키고 있으며 활력 증후 불안정으로 인해 승압제를 사용하면서 24시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며 “갑작스런 환자 컨디션 악화와 감염 상태를 받아들이지 못한 환자의 흥분 등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도 겪지만 우리 간호 인력들은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회가 출범한 가운데 첫 날 회의부터 정쟁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였다. 여당은 보건당국이 방역과 수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야당은 사고 수습을 위해 정보를 공개하고 정부부처와 집중적으로 협의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회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회는 2일 국회본청 복지위 회의실에서 376회 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를 열고 위원장과 간사 선임의 건을 의결했다. 위원장은 여야 사전 협의에 따라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이 선임됐고, 간사는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 미래통합당 김승희 의원, 민주통합의원모임 김광수 의원이 선임됐다. 김진표 위원장은 “중차대한 시기에 위원장을 맡아 책임감을 느낀다. 코로나19 사태를 조기 종료하고 경제적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며 “현장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핀셋특위로 운영해 주시길 당부드린다. 보건당국과 현장 의료인력에 도움이 되는 위원회를 운영하는 것이 제 소명”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첫 회의 인사말에서 여야 위원들은 각자의 정당에 따라 코로나19사태 수습을 위한 상반된 진단처방을 내렸다. ◇與 초당적으로 위기극복에 집중 “정쟁으로 가면 안 돼” 먼저 여당 의원
◆국내 발생현황확진환자 4212명사망자 22명 ◆국외 발생현황감염 환자 84591명(사망 3020명) 보고 아시아:중국 80026명(사망 2912)홍콩 100명(사망 2), 대만 40명(사망 1), 마카오 10명, 태국 42명(사망 1), 싱가포르 106명, 일본 254명(사망 5), 베트남 16명, 러시아 2명, 아프가니스탄 1명, 파키스탄 4명, 네팔 1명, 말레이시아 24명, 캄보디아 1명, 스리랑카 1명, 인도 3명, 필리핀 3명(사망 1) 중동:이란 978명(사망 54), 레바논 10명, 쿠웨이트 46명, 아랍에미리트 21명, 이스라엘 7명, 이집트 1명, 바레인 47명, 오만 6명, 이라크 13명, 알제리 1명, 카타르 3명 아메리카:미국 69명(사망 1), 캐나다 20명, 브라질 1명, 멕시코 2명, 에콰도르 1명 유럽:프랑스 100명(사망 2), 독일 129명, 핀란드 3명, 이탈리아 1577명(사망 34), 영국 23명, 스웨덴 13명, 스페인 66명, 스위스 18명, 오스트리아 10명, 크로아티아 7명, 벨기에 1명, 덴마크 3명, 에스토니아 1명, 조지아 3명, 그리스 7명, 북마케도니아 1명, 노르웨이 15명, 루마니아 3명, 네덜란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영국 전역의 주요 병원 의료관계자 100여명을 초청해 ‘램시마SC 런칭 심포지엄(Remsima SC Launching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심포지엄은 영국 류마티스 분야 권위자인 로열 알렉산드라 병원(Royal Alexandra Hospital) 마틴 페리(Martin Perry) 교수, 유니버시티 칼리지 병원(University College Hospital) 마이크 에렌슈타인(Mike Ehrenstein) 교수, 영국 법인 소속 의사 출신 다니엘 케이시(Daniel Casey) 의과학 담당이 발표자로 참여한 가운데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 ‘램시마SC’의 소개 및 임상 데이터 결과 설명 등으로 진행됐다. 임상 결과를 발표한 마틴 페리 교수는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인 램시마SC가 출시되면 환자 상태에 따라 IV제형과 SC제형의 선택적 처방이 가능해진다”며 “치료옵션이 확대된다는 측면에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큰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지난 2018년 11월 영국 법인 설립 이후 램시마SC 직판을 위해 인프라 구축과 영업∙마케팅 전문 인력도 확보했으며 이미 영국
한국다케다제약(대표이사 문희석)은 지난 1일부터 림프종 치료제 ‘애드세트리스주(브렌툭시맙 베도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개정(제2020-50호)’에 따라 피부T세포림프종(Cutaneous T-Cell Lymphomas, CTCL) 환자에게 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피부T세포림프종은 악성 T세포의 피부 이상 축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재발이 빠르고 반복돼 환자 삶의 질이 낮아지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애드세트리스주는 한가지 이상의 전신요법을 받았던 CD30 양성 피부T세포림프종 성인 환자 중 ▲병기 IIB이상의 균상식육종 ▲원발성 피부 역형성대세포림프종 ▲세자리 증후군 환자의 2차 치료 이상에서 급여가 인정된다. 이번 급여 적용은 이전에 한 가지 이상의 전신요법을 받은 CD30양성 균상식육종 및 원발성 피부 역형성대세포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다기관, 오픈라벨 3상 임상시험인 ALCANZA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ALCANZA 연구 결과 반응률(ORR)은 67%로 기존 치료제군의 20% 대비 우월한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됐으며(p<0.001) 1차 평가
상장제약사의 주주총회가 3월 들어서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전년과 같이 이번에도 13일, 20일, 27일 등 금요일에 주주총회가 대거 개최된다. 전자공시시스템 기준 3월 11일 DHP코리아 주주총회를 시작으로 13일 부광약품, 삼천당제약 등이 주주총회를 진행한다. 일정별로는 △17일 SK케미칼 △19일 동화약품, 한독 등 3개사 △20일 대원제약, 동국제약, 보령제약, 일동홀딩스, 종근당홀딩스 등 19개사 △23일 경동제약 등 4개사 △24일 코오롱생명과학,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등 7개사 △25일 녹십자홀딩스, 동아쏘시오홀딩스 등 5개사 △27일 JW홀딩스, 셀트리온 등 12개사다. 올해에도 금요일인 13일, 20일, 27일에 주주총회가 몰리는 ‘슈퍼 주총데이’가 불가피해 3년째 시행 중인 ‘주주총회 분산 프로그램’의 한계도 드러나는 상황이다. 특히 조사일 기준(2월 28일 15시) 조사된 54개사 중 금요일 주주총회 개최는 33개사로 전체 61%에 달해 여러 종목을 보유한 투자자의 경우 의결권 행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코로나19의 확산이 주주총회 개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할 부분이다. 확진환자 수가 3천7백명을 돌파하고 검사진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보건의료 분야 총선 공약이 나왔다. 핵심은 ‘감염병 대응 강화’와 ‘의료인력 확충’이다. 질병관리본부의 ‘청’ 승격 및 지역본부 신설, 보건복지부 복수차관제, 감염병 전문병원 및 음압병상 확대가 담겼고, 의대정원 확대 및 조정, 의사과학자 육성 방안 등도 포함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조정식 정책위의장은 1일 국회본청 206호 당대표회의실에서 21대 총선 보건의료분야 공약을 발표했다.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더불어민주당은 우선 질병관리본부를 ‘청’으로 승격시켜 그 위상과 역할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자체와의 상시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6개 권역에 질병관리본부 지역본부와 5개 검역사무소를 추가 설치하고, 역학조사 인력 및 관련 조직을 대폭 보강하는 한편, 긴급 상황실을 설치해 24시간 운영 체계를 유지한다. 또한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조직역량과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의료 분야를 전담하는 복수차관제를 도입하고, 보건정책 총괄과 공중보건 위기 집중대응을 위해 ‘건강정책실’과 ‘건강위해대응 정책관’을 신설한다. 감염병에 대한 상시 연구역량을 제고하고,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을 주도할 ‘감염병 전문연구기관’도 설립한다.
코로나19 확진환자가 3000명을 돌파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월 29일 16시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확진환자가 3150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일 9시 대비 219명이 늘어난 수치이다. 새롭게 확진된 환자 219명 중 181명은 대구, 19명은 경북에서 발생했다. 사망자는 1명 늘어나 총 17명이 됐다. 격리해제된 환자는 28명, 격리 중인 환자는 3105명이다. 검사 결과 음성판정은 5만 5723명이 받았고, 현재 3만 5182명이 검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