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5년간 약 4조 7000억원을 투입해 지역 공공병원을 20개소 이상 확충하고, 권역외상센터와 모자의료센터를 각각 10개소에서 13개소, 19개소에서 34개소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 최대 20개소의 지방의료원이 인턴·레지던트 수련병원으로 지정·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시·도 13개 공공보건의료지원단도 17개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일 더플라자호텔에서 2021년도 제1차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이하 보정심)를 개최했다. 이번 보정심은 위원 수 확대, 균형 있는 위원회를 구성토록 하는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에 따라 위원을 확대 위촉한 이후 개최되는 첫 회의로,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보정심 운영계획 및 운영세칙 개정안, 보건의료발전계획 수립 추진경과 및 방향을 심의·논의했다. 복지부는 그간 정책 연구(국립중앙의료원 수행), 지방의료원 등 관계 기관 및 전문가 간담회, 공청회 등을 거쳐 ‘모든 국민 필수보건의료 보장’을 비전으로 한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안(2021~2025)’을 마련해 보정심에서 심의·확정했다.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은 ①누구나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공공보건의료 ②양질의 적정한 공공보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20일 대전 유성구 ICC 호텔에서 ‘전국 공공보건의료지원단 및 재단 연석회의’를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개최했다. 이번 연석회의는 공공보건의료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 발맞춰 공공보건의료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전국 공공보건의료지원단 및 재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연구과제 성과를 공유했다. 총 2부로 나눠진 연석회의는 주제발표 후 질의응답 및 토론형식으로 진행됐고 ▲1부에는 공공보건의료 강화 및 필요성에 따른 시도 지원단 및 재단의 기능과 역할(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임준 센터장, 경남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정백근 단장, 강원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조희숙 단장,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안순기 단장) ▲2부에서는 전국 지원단 및 재단의 핵심 연구과제 성과(제주·강원도·대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팀장)의 주제로 참석자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진행됐다. 안순기 단장은 “우리의 일상과 미래에 큰 전환이 일어난 중대한 시대에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존재는 의미가 크다”며 “전국 지원단 및 재단이 유기적인 협력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대전 시민을 위한 양질의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30일 관절염·재활센터 3층 대강당에서 지원단 출범식과 공공보건의료 심포지엄을 비대면 방식으로 개최했다.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대전의 공공보건의료 강화 및 민간-공공 의료기관간 네트워크 활성화 등 지역특성에 맞는 공공보건의료 정책 시행을 위해 출범한 것으로, 출범식에는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 대전광역시 허태정 시장, 대전시의회 권중순 의장, 대전 서구 을 박범계 국회의원, 유성구 을 이상민 국회의원이 비대면으로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현장에서는 충남대학교병원 윤환중 원장이 축사했다. 또한 공공기관 최초로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충남대학교병원 연주단 공연이 식전 행사로 진행했다. 출범식에 이어 진행된 심포지엄은 ‘코로나19 2차 확산을 대비하는 지역 공공보건의료 대응 방향’으로 전문가들을 초청해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 대응 방향과 공공의료발전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이석구 교수가 좌장을 맡아 ▲대전광역시 코로나19 유행 특성과 추이 예측(대전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남해성 단장) ▲대전광역시 병상 자원 관리 방안(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안순기 단장)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협력 방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