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치료에 있어 SGLT-2 억제제 단독 치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DPP-4 억제제 병용요법이 새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10월 30일부터 11월 1일 롯데호텔 부산에서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가 개최된 가운데,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의 병용요법의 임상적 효과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은영 교수는 CKM 증후군(심장-신장-대사증후군)의 개념을 소개하면서, 대사질환을 개별질환이 아닌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특히 SGLT-2 억제제를 조기사용하면 위험인자 조절뿐만 아니라 장기예후 개선에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교수가 제시한 연구 결과에서는 GFR이 60일 때 SGLT-2 치료를 시작하면 GFR이 10 미만으로 줄어들 때까지의 시간을 약 11년 늦출 수 있었던 반면, GFR이 이미 30까지 떨어진 이후 SGLT-2 억제제를 사용하면 GFR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는 기간을 6년 밖에 늦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심혈관, 신장 고위험군에서, 미국에서는 당화혈색소 수치와 관계없이 SGLT-2 억제제를 사용하도
본격적인 고령화시기에 접어든 요즘, 비만이나 당뇨병, 갑상선질환, 골다공증, 희귀 내분비질환 만성질환의 증가로 내분비대사분과 전문의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내분비내과 전문의 수는 줄어드는 것이 추세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10월 31일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의 미래위원회 세션에서 춘천성심병원 내분비내과 류옥현 교수는 내과 분과전문의 약 1만명 중 내분비대사 분야는 9.4%로, 내분비대사 전문의 1인당 담당 인구는 약 5만명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2000년대 초반 연 35명이던 신규 전문의 배출은 올해 9명 남짓으로 급감하며 충원률도 10% 내외에 불과했다. 류 교수는 “매년 20명 내외가 퇴직할 것으로 생각되는 만큼, 앞으로도 내분비 전문의 수는 더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해외와 비교하면 더 심각하다. 류 교수는 내분비 전문 의사가 미국 대비 50%, 일본 대비 70~80%나 부족하다고 했다. 하지만 해외 상황도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미국의 경우 올해만 2700명의 내분비 전문의가 부족한 것으로 추산됐고, 이런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약 10년간 신규임용 전임의가 5.5%씩은 증가돼야 했지만 연 2.7
2025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학연산 심포지엄이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롯데호텔 부산에서 열린다. 이번 학술대회는‘Beyond the Barriers’를주제 아래 내분비대사의 다양한 분야인 당뇨병, 비만, 지질, 갑상선, 골대사, 뇌하수체, 부신 및 생식 등 전 영역에 걸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깊이 있는학문적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풍성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또 Plenary lectures와Presidential lecture를 비롯해 내분비학 전 분야를 망라한 Scientificsessions, 내분비학의 내일을 설계하는 자리가 될 Endocrine summit 2025 등다채롭고 의미 있는 세션들이 준비됐다. 30일 학술대회 개회식에서 성연아 회장은 “대한내분비학회는 학문적 발전과 더불어 임상 연구 산업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해 왔다”며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학문과 실무, 연구와 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협력의 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개회식을 통해 지난 4월 별세한 김성운 前 이사장(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를 추모하는 시간도 가졌다. 김성운 전 이사장은 1979년 경희의대 졸업 후 1
대한내분비학회가 5월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개최한 제13회 서울국제내분비학술대회(The 13th Seoul International Congress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in conjunction with the 44th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이하 SICEM 2025)는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SICEM 의 주제는 다양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내분비-대사 분야의 최신 지식과 연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특별한 장을 마련하고자 ‘Facing the Challenges’로 정했다. 기조 강연은 중국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Mingzhao Xing 교수가 갑상선암의 진행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 변이들 간의 연관 관계가 갑상선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해, 갑상선암의 유전자 기반의 위험도 계층화 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에 대해 강연했고, 영국 셰필드 대학의 Eugene McCloskey 교수는 골다공증 및 기타 만성 비감염성 질환에서의 치료 개입 임계치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내분비내과 홍은경 교수가 제35대 대한내분비학회 이사장에 2025년 1월 1일자로 취임한다. 임기는 2026년 12월 31일까지 2년간이다. 대한내분비학회는 1982년 설립된 이후 40년 넘게 내분비 호르몬 및 질환에 대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의학발전과 건강 증진에 공헌하고 있다. 현재 1600여명이 넘는 회원이 등록돼 있으며, SCIE급 국제학술지인 ‘Endocrinology and Metabolism(EnM)’과 교과서 ‘내분비대사학’을 발간하고 있다. 홍은경 신임 이사장은 “현대인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으로 일컫는 내분비대사질환의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대한내분비학회의 활발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향후 내분비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선도하는 학회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홍은경 이사장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내분비당뇨갑상선센터장, 내분비내과 분과장, 내과 과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한당뇨병학회와 부회장과 대한내과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한 2015년에는 최고 보건의료인 100인(Top 100 Health Pr
APAC 컨센서스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아태지역 당뇨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권고안이 학술대회에서 소개됐다. 혈당 변동성의 세밀한 관리를 위한 CGM의 필요성과 지속 사용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지난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개최된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CGM 가이드라인과 APAC Consensus 권고안에 따른 CGM의 사용’에 대해 알아보는 런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발표는 조선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류영상 교수가 맡았다. 먼저 류영상교수는 최근 당뇨 혈당측정에 있어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혈당을 측정하게 되면 공복혈당이나 당화혈색소를 주로 측정하는데 일반적인 측정방식으론 혈당 변동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고, 당화혈색소 자체가 평균값이기 때문에 고혈당이나 저혈당 등 세밀한 변동성을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것. 때문에 최근 연속혈당측정기(CGM)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ADA 2023년 가이드라인을 통해 CGM이 인슐린 주사치료를 하는 환자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게 됐다. 특히 CGM은 일시적으로 사용이 단절될 경우 당화혈색소가 악화될 수 있어, 지속적 사용이 중요하다. 류 교수
이오플로우의 서종옥 마케팅본부장이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학연산심포지엄에 참여해 차세대 인슐린펌프 개발의 비전과 방향성을 발표하며 의료진의 관심을 당부했다. 그는 패치형 인슐린 펌프와 AID 기반 기술이 당뇨 관리의 새로운흐름을 선도할 것이라며, 향후 발전될 기술들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밝혔다. 서 본부장에 따르면 세계 인슐린 주입기 시장은 약 40조원규모, 인슐린 펌프 시장은 약 6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거대한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존재감은 미미한 실정으로, 때문에 국내 기업의 진입에 대해 기대가 커지고 있다. 서 본부장은 “현재 인슐린 주입기 시장에서 ‘패치형 인슐린 펌프’가 성장세”라며“특히 AID(Automated Insulin Delivery) 기반인슐린 펌프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고 설명했다. 또 CGM 시장도 연간 16조원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3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서 본부장은 한 다국적제약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들이고정된 인슐린 투여 시간이 생활에 불편을 준다고 응답했으며, 약33%의 환자가 월 1회 이상 인슐린 투여를 건너뛴다고 답변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네레논은 SGLT-2 억제제와 병용 시 고칼륨혈증 발생률이 단독 사용보다 낮아, 두 약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CKD 환자들에게 추가적인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소개했다.지난 31일부터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가 개최된 가운데, 학술대회 첫날인 31일 종근당이 후원하는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최연경 교수는 ‘Clinical experience in optimizing treatment strategies for CKD in T2D’를 주제로 ‘케렌디아(성분명 피네레논)’의 임상적 혜택에 대해 소개했다. 이를 위해 최 교수는 FODELIO-DKD, FAGARO-DKD 연구를 통합한 FIDELITY 연구에 대해 설명했다. FODELIO-DKD 연구는 주로 만성신장질환에 집중한 반면, FAGARO-DKD 연구는 심혈관계 사망률 및 치명률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다. 최 교수는 “FIDELITY 연구에서 피네레논 투여 후 4개월 뒤 평균 36%의 알부민뇨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약 4년간 평균 30% 정도로 지속됐다. 이는 CKD 진행을 늦추기 위한 적절한 알부민뇨 감소 기준을 충족시키는 결과”라며, CKD
대한내분비학회가 10월 31일부터11월 2일까지 호텔 인터불고 대구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Everything about Endocrinology’라는주제 아래 당뇨병과 비만, 지질, 갑상선, 골대사, 뇌하수체, 부신및 생식 등 내분비대사 전 분야를 아우르는 지식의 장이 될 예정이다. Plenary lecture와 Presidentiallecture를 비롯해 다양한 심포지엄에서 각 분야의 저명한 국내외 연사들의 강연을 마련됐다. 대한내분비학회 정윤석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가 회원들의 학문적 교류와발전, 친목을 도모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회원여러분의 건강과 건승을 기원하며, 본 학술대회에 적극적인 참여와 많은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대한내분비학회에서 주최하는 The 12th Seoul International Congress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in conjunction with the 43rd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Korean Endocrine Society(이하 SICEM 2024)가 4월 11일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시작해 13일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세계 각국의 내분비학의 권위자들과 활발한 학문적 교류를 목표로 매년 성장하고 있는 SICEM은, 이번 SICEM 2024에서 총 32개국 1488명의 국내외내분비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또한 초록은 총 652편이 접수돼 SICEM 역사상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며, 당뇨병, 비만, 갑상선, 골대사, 뇌하수체/부신 등의 다양한 내분비학의 연구를 논의하는 55개 세션 (심포지엄 20개, 해외 주요학회와의 조인트심포지엄 5개, 기조강연 4개, 특별심포지엄 6개 등)으로 진행됐다. 국가와 분야의 경계를 넘어 하나의 내분비학을 의미하는 ‘One Endo’를 주제로 개최된 SICEM 2024에서는 저명한 석학들을 기조강연의 연사로 초청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