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가 지났지만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폭염’이 계속되어 많은 사람들이 더위로 ‘잠 못 이루는 밤’을 지내고 있다.
흔히 불면증이란, 잠을 이루지 못하는 수면장애를 의미한다. 밤에 잠들기 어려운 경우, 자주 깨는 것, 수면을 취해도 피로 회복이 되지 않는 것 등의 증상이 모두 불면증에 포함된다. 바쁜 현대인들은 이를 당연한 증상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여기기 쉽지만 증상이 지속되고, 일상에 문제를 야기한다면 하나의 질병으로 생각해야 한다. 또한 그 이면을 살펴보면 그리 가볍지만도 않고, 많은 사람들이 앓는 질환이기도 하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2011년) 불면증 진료인원은 2011년 38만 3천명으로 5년간 약 17만 6천명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6.7%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불면증이 지속된다면 비만이나 고혈압 등의 성인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무기력감, 집중력 저하, 우울증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또한 잠을 자야한다는 강박관념에 수면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불면증이 계속 되는 악순환의 고리가 이어진다. 이는 불면증이 한 달 이상 지속되는 만성 불면증으로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신경과 김혜윤 교수는 “최근 열대야로 인해 급성 불면증을 겪고 있다면, 여름이 지나도 불면증이 지속될 수 있다. 때문에 적절한 치료나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한수면연구학회에서 권장하는, 건강한 수면을 위한 10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김혜윤 교수는 “불면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수면위생이 중요하다”면서 “특히 요즘 같은 폭염이 계속되는 날씨에서는 수면 위생을 지키려는 노력으로 불면증이 만성화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